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사보이아 공국

색인 사보이아 공국

사보이아 공국()은 1416년부터 1860년까지 사보이아 가문이 통치했던 나라이.

50 처지: 라틴어, 로마 가톨릭교회, 루도비코 디 사보이아 공작, 루이 11세, 만토바 공국, 발레다오스타주, 밀라노 공국, 베르첼리, 베르사유궁, 공작, 공작령,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아마데오 3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대립교황, 니스 (프랑스), 이탈리아, 이탈리아왕, 은자,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황제), 카를로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위트레흐트 조약, 샹베리, 예루살렘왕,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공작, 사르데냐 왕국, 사보이아가, 피에몬테주, 피에몬테어,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2제국,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랑수아 1세 (프랑스), 프란체스코 자친토 디 사보이아 공작, 토리노, 합스부르크가, 필리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필리포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9세 디 사보이아 공작, 신성 로마 제국, 시칠리아 왕국.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라틴어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루도비코 디 사보이아 공작

비코 디 사보이아(1413년 2월 24일 - 1465년 1월 29일) 또는 루이 1세 드 사부아()는 1440년부터 그가 사망하던 1465년까지 사보이아 공국을 다스리던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루도비코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루이 11세

이 11세(1423년 7월 3일 ~ 1483년 8월 30일)는 신중왕이라고 불린 프랑스의 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루이 11세 · 더보기 »

만토바 공국

만토바 공국(Ducato di Mantova)은 이탈리아 북부에 있었던 국가로,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해있었.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만토바 공국 · 더보기 »

발레다오스타주

발레다오스타 주()는 이탈리아 서북쪽 끝에 있는 주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발레다오스타주 · 더보기 »

밀라노 공국

밀라노 공국()은 1395년부터 1797년까지 이탈리아 반도 북부의 도시 밀라노를 거점으로 삼은 도시국가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밀라노 공국 · 더보기 »

베르첼리

베르첼리(Vercelli)는 북부 이탈리아 피에몬테 주 베르첼리 현에 있는 코무네로, 베르첼리 현의 현도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베르첼리 · 더보기 »

베르사유궁

예배당 1783년 정원에 세워진 마리 앙투아네트의 전원적인 연못 ''Hameau'' 베르사유궁()은 프랑스의 베르사유에 있는 왕궁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베르사유궁 · 더보기 »

공작

공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공작 · 더보기 »

공작령

공작령(公爵領)은 공작이 지배하는 영역을 말. 독일과 이탈리아처럼 중앙 집권화가 근대에 이르기까지 부진했던 지역에서는 공작령이 주권을 가진 국가로서 유지되기도 하였.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공작령 · 더보기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1759년 7월 24일 ~ 1824년 1월 10일)는 사르데냐의 왕(재위 1802년 ~ 1821년)이자 이탈리아 최초의 국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더보기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1820년 3월 14일 ~ 1878년 1월 9일)는 사르데냐 왕국의 왕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 더보기 »

비토리오 아마데오 3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Vittorio Amedeo III, 1726년 6월 26일 ~ 1796년 10월 16일)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비토리오 아마데오 3세 · 더보기 »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디 사보이아(이탈리아어: Vittorio Amedeo I di Savoia;, 1587년 5월 8일~1637년 10월 7일)는 1630년에서 1637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Vittorio Amedeo II, 1666년 5월 14일 ~ 1732년 10월 30일)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 더보기 »

대립교황

립교황()은 기독교의 역사에서 비합법적으로 교황권을 행사한 사람을 가리.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대립교황 · 더보기 »

니스 (프랑스)

스(니사르드)는 프랑스 남부의 항만 도시로 프랑스의 지중해 연안에 위치해 있. 마르세유와 제노바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권 인구는 대략 100만명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니스 (프랑스)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이탈리아왕

이탈리아왕 왕위의 상징인 랑고바르드의 철관. 이탈리아왕()은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중세 이탈리아 왕국을 지배한 군주.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이탈리아왕 · 더보기 »

은자

은자(隱者)는 일반 사회와의 관계를 끊고 은둔 생활하는 사람을 말. 특히 기독교나 불교 등 여러 종교의 종교인 또는 종교적인 배경을 가진 은자가 다수 알려져 있.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은자 · 더보기 »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황제)

스문트(1368년 2월 15일 ~ 1437년 12월 9일) 또는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는 보헤미아, 헝가리, 크로아티아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황제) · 더보기 »

카를로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를로 1세 디 사보이아(1468년 3월 92일 - 1490년 3월 13일)는 투사공이라는 별명을 지녔던 1482년부터 1490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자 1485년부터 1490년까지의 명목상 예루살렘, 키프로스, 아르메니아의 군주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

를로 3세 디 사보이아(1486년 10월 10일 - 1553년 8월 17일)는 선량공 카를로(il Buono)라고도 불렸던 1504년에서 1553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를로 에마누엘레 1세(이탈리아어: carlo Emanuele I di savoia, 프랑스어:Charles Emanuel I de savoie, 1562년 1월 26일~1630년 7월 26일)는 사보이 공국의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를로 에마누엘레 2세(1634년 6월 20일 ~ 1675년 6월 12일)는 사보이 공국의 군주이자 키프로스와 예루살렘의 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를로 에마누엘레 3세(Carlo Emanuele III, 1701년 4월 27일 ~ 1773년 3월 20일)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 더보기 »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를로 에마누엘레 4세(Carlo Emanuele IV, 1751년 5월 24일 ~ 1819년 10월 6일)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 더보기 »

위트레흐트 조약

영어, 스페인, 라틴어로 인쇄된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의 첫 번째 판. 위트레흐트 조약()은 단순한 하나의 조약이 아니라 네덜란드의 도시 위트레흐트에서 1713년 3월에서 5월 중에 체결된 다양한 개개의 조약들의 결합을 통해 위트레흐트의 평화를 성립시킨 평화 조약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위트레흐트 조약 · 더보기 »

샹베리

샹베리()는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에 위치한 사부아 주의 도시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샹베리 · 더보기 »

예루살렘왕

예루살렘 왕국의 문장. 다음은 십자군 원정 이후 존재했던 팔레스타인의 라틴 기독교 국가 예루살렘 왕국의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예루살렘왕 · 더보기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공작(1528년 7월 8일 ~ 1580년 8월 30일)는 1553년부터 그의 사망까지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사르데냐 왕국

사르데냐 왕국은 이탈리아 북서부에 있던 왕국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사르데냐 왕국 · 더보기 »

사보이아가

사보이아가()는 지금의 이탈리아와 에스파냐 등에서 군주를 배출한 가문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사보이아가 · 더보기 »

피에몬테주

에몬테 주 피에몬테 주()는 이탈리아의 북서부에 자리한 주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피에몬테주 · 더보기 »

피에몬테어

에몬테어는 이탈리아 피에몬테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피에몬테어 · 더보기 »

프랑스 제1공화국

랑스 제1공화국()은 프랑스 대혁명 때 국민공회에 의해 세워졌.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프랑스 제1공화국 · 더보기 »

프랑스 제2제국

랑스 제2제국 (1852년-1870년) 또는 제2제정은 나폴레옹 3세 통치기간의 프랑스의 정부 체제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프랑스 제2제국 · 더보기 »

프랑코프로방스어

랑코프로방스어가 사용되는 지역.파란색: 보호됨옅은 파란색: 일반 지역하늘색: 역사적 전환 지대 프랑코프로방스어(Franco-Provençal language)는 오일어와 오크어로 구분되는 언어학적 하위 그룹을 형성하는 몇 가지 방언을 지닌 로망스어군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프랑코프로방스어 · 더보기 »

프랑수아 1세 (프랑스)

랑수아 1세(1494년 9월 12일 - 1547년 3월 31일)는 프랑스의 국왕으로 1515년 랭스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치른 뒤, 1547년까지 통치하였.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프랑수아 1세 (프랑스) · 더보기 »

프란체스코 자친토 디 사보이아 공작

스코 자친토 디 사보이아(1632년 9월 14일 ~ 1638년 10월 4일)는 1637년에서 1638년까지 어머니 프랑스의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섭정하에 있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프란체스코 자친토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토리노

리노의 야경 토리노()는 이탈리아 북서부의 산업 도시로 피에몬테 주의 주도이자 토리노 현의 현도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토리노 · 더보기 »

합스부르크가

합스부르크 가() 혹은 오스트리아 가문은 유럽 왕실 가문들 중 가장 영향력있던 가문 중 하나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합스부르크가 · 더보기 »

필리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리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1465년 8월 17일 - 1482년 9월 22일)는 1472년부터 1482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필리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베르나르 반 오를레의 작품, 미망인 오스트리아의 마르게리타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1480년 4월 10일 - 1504년 9월 10일)는 미남공(il Bello)이라는 별칭을 지녔던 1497년부터 사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필리포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리포 2세 디 사보이아(1438년 2월 5일 - 1497년 11월 7일)는 1496년부터 1497년까지의 잠깐의 통치를 했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필리포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1383년 9월 4일 - 1451년 1월 7일) 또는 대립교황 펠릭스 5세()는 사보이아의 귀족이자 아메데오 7세 백작과 본 드 베리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아메데오 9세 디 사보이아 공작

복자 아메데오 9세 디 사보이아(1435년 2월 1일 - 1472년 3월 30일)는 1465년부터 1472년까지의 사보이아 공작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아메데오 9세 디 사보이아 공작 · 더보기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중세에서 근대 초까지 이어진 기독교 성향이 강한 유럽 국가들의 정치적 연방체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시칠리아 왕국

시칠리아 왕국()은 1130년부터 1816년까지 시칠리아 섬과 이탈리아 반도 남부를 지배하였던 왕국이.

새로운!!: 사보이아 공국와 시칠리아 왕국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사보이 공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