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서울 문묘와 한자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서울 문묘와 한자의 차이

서울 문묘 vs. 한자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문묘 대성전에는 공자(公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대 성인(四大 聖人)인 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공문 10철(孔門 十哲) 및 송조 6현(宋朝 六賢)과 우리나라 18현인(東方 十八賢)의 위패를 종사하고 있다. 문묘와 함께 있는 성균관(成均館)은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위치에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國子監)·국학(國學)·태학(太學)·반궁(泮宮) 등으로도 불렸다.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서재(西齋)로 구성되었다. 성균관·문묘는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으나 정종 2년(1400)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후 태종(1407)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전쟁이 끝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전국적으로 자금을 모아 선조 34∼35년(1601∼1602)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36∼37년(1603∼1604)에 동무·서무·신문·중문을, 39년(1606)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 확충하였다. 인조 4년(1626)에는 정록청(正錄廳)·존경각(尊經閣)·양현고(養賢庫) 등을 재건하였으며, 고종6년(1869)의 한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균관·문묘를 구성하는 건물 중에서 보물로 지정된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 등 모두 5동이다. 서울 문묘 일원은 성균관대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일곽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숭교방(崇敎坊)이었던 곳이다. 원래 입구에 반교(伴橋)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문묘 일원은 크게 남쪽의 대성전 일곽과 그 후편의 명륜당 일곽으로 나뉘었다. 대성전 일곽에는 공간제향(祭享)을 이루는 문묘시설의 건물군이 있고, 명륜당 일곽에는 시설교학(敎學)의 건물군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묘 일원에는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三門) 등 5동 건물을 제외하고, 서무 서북쪽으로 제기고와 제학당, 전사청과 숙수청이 각각 일곽을 형성하고 있고, 명륜당 남쪽 앞 마당 좌·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 동편에 있는 진사식당, 그 북쪽의 창고, 명륜당 북동쪽으로 존경각(尊經閣)·육일각(六一閣)·정록청·서리청·향관청(享官廳) 등의 건물들이 있다.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는 비천당(丕闡堂)이 있으며, 그 뒤쪽에 계성사(啓聖祠)가 별도로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서울 문묘와 한자의 유사점

서울 문묘와 한자는 공통적으로 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서울 문묘와 한자의 비교.

서울 문묘에는 70 개의 관계가 있고 한자에는 96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0.00%입니다 = 0 / (70 + 96).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서울 문묘와 한자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