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6 처지: 동국대학교, 동국정운, 묘법연화경, 경기도, 법주사, 보은군,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보물 (제501호 ~ 제600호), 국립중앙도서관, 용인시, 조선,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책, 청주시, 충청북도, 석가모니, 속리산, 소헌왕후, 한국어, 훈민정음,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활자, 12월 30일, 1970년.
- 한국의 불경
- 한글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Dongguk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본교)와 경상북도 경주시(분교), 경기도 고양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캠퍼스를 둔 4년제 사립 대학으로, 나라의 운명이 위기에 놓여 있던 1906년 불교계 선각자들이 교육구국(敎育救國)의 목표를 갖고 불교인재를 길러내고자 설립한 명진학교(明進學校)에서 시작.
보다 석보상절와 동국대학교
동국정운
《동국정운》(東國正韻)은 1448년(세종 30년)에 반포된 한국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 운서(韻書)이.
보다 석보상절와 동국정운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보다 석보상절와 묘법연화경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보다 석보상절와 경기도
법주사
법주사(法住寺)는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에 있는 절이.
보다 석보상절와 법주사
보은군
보은군(報恩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보다 석보상절와 보은군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석보상절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보물 (제501호 ~ 제6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보다 석보상절와 대한민국의 보물 (제501호 ~ 제600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National Library of Korea)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용인시
용인시(龍仁市)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보다 석보상절와 용인시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석보상절와 조선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보다 석보상절와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보다 석보상절와 조선 세종
책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책(冊)은 일정한 목적으로 쓴 글 및 참고 자료 등을 덧붙여 묶은 것이.
보다 석보상절와 책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보다 석보상절와 청주시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보다 석보상절와 충청북도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보다 석보상절와 석가모니
속리산
속리산 (俗離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보은군과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이.
보다 석보상절와 속리산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보다 석보상절와 소헌왕후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보다 석보상절와 한국어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보다 석보상절와 훈민정음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이.
보다 석보상절와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조선 세조 5년)에 편찬한 조선의 불교 서적이.
보다 석보상절와 월인석보
활자
속 활자. 활자(活字)는 글을 인쇄하기 위해 만든 글자틀을 말. 낱글자를 사각기둥 위에 양각으로 새. 좁은 의미의 활자는 주로 활판 인쇄에 사용되며 사각기둥 모양의 금속 윗면에 글자를 거꾸로 새긴 것을 말. 과거에는 나무에 새긴 것(목활자), 흙으로 만든 것(흙활자) 등도 사용되었으나 새김면이 약해 부서지기 쉽고 먹이 스며들어 약해지는 문제가 있어 많이 보급되지는 못.
보다 석보상절와 활자
12월 30일
12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4번째(윤년일 경우 365번째) 날에 해당.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석보상절와 1970년
참고하세요
한국의 불경
한글
- KS X 1001
- KS X 1002
- 국규 9566
- 국립한글박물관
- 동국정운
- 석보상절
- 선종영가집
- 야민정음
- 용비어천가
- 찌아찌아어
- 코드 페이지 949
- 한글
- 한글 맞춤법
- 한글 음절
- 한글 학회
- 한글날
- 훈민정음
또한 석보상절 권11, 석보상절 권23, 24, 석보상절 권6, 9, 13, 19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