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덕왕

색인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92 처지: 동사강목, 문무왕, 물범과, 물시계, 발해, 발해 무왕, 발해 고왕, 가체, 경덕왕, 공자, 계림잡전, 관문성, 불교, 불국사, 김 (성씨), 김부식, 김대문, 김교각, 김인문, 김유신, 김순원, 등주, 당 현종, 당나라, 효성왕, 효소왕, 자의왕후, 잡찬, 이찬, 일연, 음력 10월, 음력 2월, 음력 9월, 정전제, 태대각간, 태종무열왕, 태종무열왕릉비, 혜공왕, 예조, 사소부인 (성덕왕), 삭주, 삼국유사, 삼국사기, 피휘, 선덕왕, 성덕왕, 해동제국기, 한산주, 안정복, 하서주, ..., 신라, 신라의 역대 국왕, 신목왕후, 신문왕, 신증동국여지승람, 화랑세기, 698년, 700, 702년, 703년, 704년, 705년, 706년, 707년, 708년, 709년, 710년, 712년, 713년, 714년, 715년, 716년, 717년, 718년, 719년, 720년, 721년, 722년, 723년, 724년, 726년, 727년, 728년, 730년, 731년, 732년, 733년, 734년, 735년, 736년, 737년, 742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2 더)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성덕왕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성덕왕와 문무왕 · 더보기 »

물범과

물범과는 기각상과에 속하는 과로, 물범·바다표범·물곰(문화어) 등으로 통칭.

새로운!!: 성덕왕와 물범과 · 더보기 »

물시계

의 물시계 물시계 또는 누각(漏刻) 또는 누수기(漏水器)는 물이 그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용기로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여 그 양을 측정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계이.

새로운!!: 성덕왕와 물시계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성덕왕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무왕

발해 무왕 대무예(渤海 武王 大武藝, ? ~ 737년, 재위: 719년 6월 ~ 737년)는 발해의 제2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발해 무왕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성덕왕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가체

(加髢) 혹은 다리, 다래는 일종의 가발로,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들이 사용하였.

새로운!!: 성덕왕와 가체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경덕왕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성덕왕와 공자 · 더보기 »

계림잡전

《계림잡전》(鷄林雜傳)은 신라의 학자 김대문(金大問)이 성덕왕 때에 펴낸 책이.

새로운!!: 성덕왕와 계림잡전 · 더보기 »

관문성

문성(關門城)은 경상북도 경주시와 울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성곽이.

새로운!!: 성덕왕와 관문성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성덕왕와 불교 · 더보기 »

불국사

불국사(佛國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성덕왕와 불국사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성덕왕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성덕왕와 김부식 · 더보기 »

김대문

문(金大問, ?~?)은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문장가이며 관료이자 학자이.

새로운!!: 성덕왕와 김대문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성덕왕와 김교각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성덕왕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성덕왕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순원

순원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성덕왕와 김순원 · 더보기 »

등주

등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덕왕와 등주 · 더보기 »

당 현종

당 현종 이융기(唐玄宗 李隆基, 685년 9월 8일 ~ 762년 5월 3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

새로운!!: 성덕왕와 당 현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성덕왕와 당나라 · 더보기 »

효성왕

효성왕(孝成王, 706년 ~ 742년, 재위: 737년 ~ 742년)은 신라의 제34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효성왕 · 더보기 »

효소왕

효소왕(孝昭王, 687년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 재위: 692년 8월 20일(음력 7월 3일)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은 남북국 시대의 남국인 신라의 제32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효소왕 · 더보기 »

자의왕후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

새로운!!: 성덕왕와 자의왕후 · 더보기 »

잡찬

잡찬(迊湌)은 신라 시대 17관등에서 3등으로 파진찬의 위이며 소판(蘇判),잡판(迊判),잡간(迊干)이.

새로운!!: 성덕왕와 잡찬 · 더보기 »

이찬

이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덕왕와 이찬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성덕왕와 일연 · 더보기 »

음력 10월

음력 10월(陰曆十月)은 음력에서 열 번째 달이.

새로운!!: 성덕왕와 음력 10월 · 더보기 »

음력 2월

음력 2월((陰曆二月)은 음력에서 두 번째 달이다. 이 달에는 중기인 춘분과 절기인 경칩 혹은 청명이 들어있으며, 음력 2월 30일이 없는 해도 있다. 월건은 묘(卯)이다.

새로운!!: 성덕왕와 음력 2월 · 더보기 »

음력 9월

음력 9월(陰曆九月)은 음력에서 아홉 번째 달이.

새로운!!: 성덕왕와 음력 9월 · 더보기 »

정전제

정전제(丁田制)는 722년(신라 성덕왕 21)에 시작된 신라의 토지제도이.

새로운!!: 성덕왕와 정전제 · 더보기 »

태대각간

각간(太大角干) 혹은 태대서발한(太大舒發翰)은 문무왕 8년인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김유신에게 종전 17관등과 대각간에 한 단계 더 얹어 표창한 관직 이름으로, 상설이 아니라 임시직이.

새로운!!: 성덕왕와 태대각간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성덕왕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종무열왕릉비

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무열왕릉에 있는 신라 중기(7세기)에 건립된 신라 태종무열왕의 능비(陵碑)이.

새로운!!: 성덕왕와 태종무열왕릉비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혜공왕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성덕왕와 예조 · 더보기 »

사소부인 (성덕왕)

사소부인(四炤夫人/四召夫人, ? ~ ?)은 신라의 왕족으로 성덕왕의 딸이.

새로운!!: 성덕왕와 사소부인 (성덕왕) · 더보기 »

삭주

삭주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성덕왕와 삭주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성덕왕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성덕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성덕왕와 피휘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선덕왕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성덕왕와 성덕왕 · 더보기 »

해동제국기

동제국전도 《해동제국기》(海東諸國紀)는 조선 초기의 학자 · 문신 · 정치가인 신숙주(申叔舟)가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작성한 일본국과 유구국(琉球國)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 한문 역사서이.

새로운!!: 성덕왕와 해동제국기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성덕왕와 한산주 · 더보기 »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새로운!!: 성덕왕와 안정복 · 더보기 »

하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하서주(河西州) 또는 명주(溟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성덕왕와 하서주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성덕왕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성덕왕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목왕후

신목왕후 김씨(神穆王后 金氏, 655년 이전 ~ 700년 6월 1일)는 신라 신문왕의 왕비이며, 효소왕과 성덕왕의 모후이.

새로운!!: 성덕왕와 신목왕후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성덕왕와 신문왕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성덕왕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화랑세기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성덕왕와 화랑세기 · 더보기 »

6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698년 · 더보기 »

700

700(칠백)은 699보다 크고 70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성덕왕와 700 · 더보기 »

7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2년 · 더보기 »

7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3년 · 더보기 »

7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4년 · 더보기 »

7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5년 · 더보기 »

7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6년 · 더보기 »

7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7년 · 더보기 »

7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8년 · 더보기 »

7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09년 · 더보기 »

7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0년 · 더보기 »

7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2년 · 더보기 »

7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3년 · 더보기 »

7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4년 · 더보기 »

7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5년 · 더보기 »

7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6년 · 더보기 »

7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7년 · 더보기 »

7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8년 · 더보기 »

7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19년 · 더보기 »

7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0년 · 더보기 »

7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1년 · 더보기 »

7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2년 · 더보기 »

7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3년 · 더보기 »

7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4년 · 더보기 »

7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6년 · 더보기 »

7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7년 · 더보기 »

7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28년 · 더보기 »

7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0년 · 더보기 »

7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1년 · 더보기 »

7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2년 · 더보기 »

7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3년 · 더보기 »

7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4년 · 더보기 »

7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5년 · 더보기 »

7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6년 · 더보기 »

7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37년 · 더보기 »

7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덕왕와 74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융기, 김흥광, 성덕 대왕, 성덕대왕, 신라 성덕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