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혼

색인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156 처지: 동방 18현, 동인, 류성룡, 문묘, 백인걸, 강황, 경기도, 경연, 고려, 고령 신씨, 공조, 병조, 관찰사, 북관대첩, 북인, 기묘사화, 기대승, 기축옥사, 비변사, 김덕령, 김류, 김굉필, 김효원, 김효원 (배우), 김자점, 김장생, 김종직, 김집 (1574년), 김상헌, 김성일, 김안국, 김식, 대광보국숭록대부, 대사헌, 남곤, 남인, 노론, 노수신, 우참찬, 우성전, 장유, 임진왜란, 이량, 이발, 이귀, 이기, 이기 (1476년), 이이, 이정암, 이조, ..., 이연경, 이산해, 이황, 인조반정, 의정부, 을사사화, 적성, 전생서, 전설사, 정랑, 정개청, 정구 (1543년), 정인홍, 정철, 정여립, 정엽, 조광조, 조상, 조헌, 조선, 조선 명종,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숙종, 조선 선조, 조식, 조식 (1501년), 좌의정, 좌찬성, 좌참찬, 종묘, 진주, 진사, 징비록 (드라마), 찬성, 참의, 참판, 창녕 성씨, 추증, 친청파, 유교, 윤문거, 윤전, 윤증, 윤휴, 윤선도, 윤선거, 윤원거, 윤원형, 윤훤, 윤황, 파평 윤씨, 파주시, 생원, 영의정, 혼인, 현감, 최영경, 허목, 사칠논쟁, 사헌부, 삼현수간, 성리학, 성담수, 성수침, 성혼, 성삼문, 성석린, 성석용, 서인, 송갑조, 송익필, 송준길, 송한필, 송시열, 소론, 함흥차사, 한국방송공사, 한성부, 한성부판윤, 안방준 (1573년), 심의겸, 심통원, 홍여순, 황윤길, 황신, 1535년, 1539년, 1551년, 1564년, 1572년, 1584년, 1589년, 1591년, 1592년, 1594년, 1595년, 1598년, 1602년, 1623년, 1633년, 2015년, 2월, 6월, 6월 25일, 6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6 더) »

동방 18현

동방 18현(東方 十八賢) 또는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은 문묘에 종사된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

새로운!!: 성혼와 동방 18현 · 더보기 »

동인

동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동인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성혼와 류성룡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성혼와 문묘 · 더보기 »

백인걸

휴암 백인걸 백인걸(白仁傑, 1497년 - 1579년 9월 29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파 정치인이며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성혼와 백인걸 · 더보기 »

강황

강황(薑黃, 학명: 쿠르쿠마 아로마티카)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성혼와 강황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성혼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성혼와 경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성혼와 고려 · 더보기 »

고령 신씨

령 신씨(高靈 申氏)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혼와 고령 신씨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성혼와 공조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성혼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성혼와 관찰사 · 더보기 »

북관대첩

북관대첩(北關大捷)은 1592년~1593년 함경도에서 의병장 정문부가 경성과 길주 등지에서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반란을 일으킨 국경인과 여진족들을 모두 무찌르고 함경도를 탈환한 전투이.

새로운!!: 성혼와 북관대첩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성혼와 북인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성혼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기대승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성혼와 기축옥사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성혼와 비변사 · 더보기 »

김덕령

덕령(金德齡, 1567년~1596년 8월)은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김덕령 · 더보기 »

김류

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성혼와 김류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성혼와 김굉필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김효원 · 더보기 »

김효원 (배우)

효원(1954년 8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성혼와 김효원 (배우)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성혼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성혼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성혼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김상헌 · 더보기 »

김성일

성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성혼와 김성일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김안국 · 더보기 »

김식

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성혼와 김식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성혼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성혼와 대사헌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성혼와 남곤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성혼와 남인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성혼와 노론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노수신 · 더보기 »

우참찬

우참찬(右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정헌대부 또는 자헌대부로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성혼와 우참찬 · 더보기 »

우성전

우성전(禹性傳, 1542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

새로운!!: 성혼와 우성전 · 더보기 »

장유

장유(張維, 1588년 1월 22일(음력 1587년 12월 25일)∼1638년 4월 30일(음력 3월 1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장유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성혼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량

이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이량 · 더보기 »

이발

이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이발 · 더보기 »

이귀

이귀(李貴, 1557년 ∼ 163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이귀 · 더보기 »

이기

이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이기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성혼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이이 · 더보기 »

이정암

이정암(李廷馣, 1541년 ~ 160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황해도에서 의병을 모아 연안성을.

새로운!!: 성혼와 이정암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성혼와 이조 · 더보기 »

이연경

이연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이연경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성혼와 이산해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성혼와 이황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성혼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성혼와 의정부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성혼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적성

적성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성혼와 적성 · 더보기 »

전생서

전생서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동물의 사육을 담당하던 관청이.

새로운!!: 성혼와 전생서 · 더보기 »

전설사

전설사(典設司)는 각종 의례나 행사에 사용되는 천막, 장막을 관리하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성혼와 전설사 · 더보기 »

정랑

정랑(正郞)은 조선시대 육조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이.

새로운!!: 성혼와 정랑 · 더보기 »

정개청

정개청(鄭介淸, 1529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정개청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성혼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성혼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성혼와 정철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정여립 · 더보기 »

정엽

정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정엽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성혼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상

조상(祖上)은 자손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성혼와 조상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성혼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성혼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식

조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성혼와 조식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성혼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성혼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성혼와 좌찬성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성혼와 좌참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성혼와 종묘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성혼와 진주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성혼와 진사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성혼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찬성

성은 다음의 뜻으로 쓰인.

새로운!!: 성혼와 찬성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성혼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성혼와 참판 · 더보기 »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혼와 창녕 성씨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성혼와 추증 · 더보기 »

친청파

청파(親淸派)는 청나라에 협조하거나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귀순한 사람이.

새로운!!: 성혼와 친청파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성혼와 유교 · 더보기 »

윤문거

윤문거(尹文擧, 1606년 ~ 1672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윤문거 · 더보기 »

윤전

윤전(尹烇, 1575(선조 8)∼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초명은 찬(燦).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회숙(晦叔), 호는 후촌(後村). 병사(兵使)선지(先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돈(暾)이고, 아버지는 증참판 창세(昌世)이며, 어머니는 청주 경씨(淸州慶氏)로 부제학(副提學) 혼(渾)의 딸이다. 황(煌)의 아우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새로운!!: 성혼와 윤전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성혼와 윤증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성혼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성혼와 윤선거 · 더보기 »

윤원거

윤원거(尹元擧, 1601년 ~ 1672년)는 조선의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윤원거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성혼와 윤원형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성혼와 윤훤 · 더보기 »

윤황

윤황(尹煌, 1572년 ~ 163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윤황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혼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성혼와 파주시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성혼와 생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성혼와 영의정 · 더보기 »

혼인

서양의 결혼식 혼인(婚姻)은 가족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으로, 쌍방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이.

새로운!!: 성혼와 혼인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성혼와 현감 · 더보기 »

최영경

영경(崔永慶, 1529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선비이며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최영경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성혼와 허목 · 더보기 »

사칠논쟁

사칠논쟁(四七論爭)은 사단칠정론을 두고 벌어진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 사단(四端)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지단(義之端),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지단(禮之端),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지단(智之端)이라고 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단(端)을 모아서 사단이라고 하며, 칠정이란 예기에 나오는 사람이 갖고 있는 일곱 가지 감정, 즉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을 말. 이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 주장을 사칠론이라고 하며, 또한 이것은 사람의 견해에 따라 의견을 달리하며 조선시대의 성리학에 있어서 오랫동안 논쟁 대상이 되었.

새로운!!: 성혼와 사칠논쟁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성혼와 사헌부 · 더보기 »

삼현수간

삼현수간(三賢手簡)은 주로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사이에 왕래한 편지를 후대에 4첩(帖)으로 제작한 것이.

새로운!!: 성혼와 삼현수간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성혼와 성리학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성혼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성수침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성혼와 성혼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성혼와 성삼문 · 더보기 »

성석린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서예가이.

새로운!!: 성혼와 성석린 · 더보기 »

성석용

성석용(成石瑢, 1352년 ~ 1403년 4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성석용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성혼와 서인 · 더보기 »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송갑조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성혼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성혼와 송준길 · 더보기 »

송한필

송한필(宋翰弼, 1539년 ~ ?)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송한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성혼와 소론 · 더보기 »

함흥차사

흥차사(咸興差使)는 조선 태종 이방원이 태조의 환궁을 권유하려고 함흥으로 보낸 차사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성혼와 함흥차사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성혼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성혼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성혼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혼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성혼와 심의겸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성혼와 심통원 · 더보기 »

홍여순

홍여순(洪汝諄, 1547년 ~ 160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성혼와 홍여순 · 더보기 »

황윤길

황윤길(黃允吉, 1536년 ~ ? 생몰년 미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성혼와 황윤길 · 더보기 »

황신

황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혼와 황신 · 더보기 »

15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혼와 1535년 · 더보기 »

15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혼와 1539년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혼와 1551년 · 더보기 »

15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혼와 1564년 · 더보기 »

15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혼와 1572년 · 더보기 »

1584년

15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성혼와 1584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589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591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성혼와 1592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594년 · 더보기 »

1595년

15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595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598년 · 더보기 »

1602년

16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602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623년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1633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혼와 2015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성혼와 2월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성혼와 6월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성혼와 6월 25일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성혼와 6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묵암 성혼, 우계 성혼, 성 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