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색인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Omega Centauri; ω Cen), NGC 5139는 센타우루스자리 방향에 있는 구상성단이다. 1677년 에드먼드 핼리가 발견했다. 지구에서 약 15,800 광년(4,859 파섹)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메가는 우리은하의 구상성단 중 가장 거대한 것으로서 직경이 약 150 광년에 달한다. 약 1천만 개의 별들이 성단 속에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산되며, 총 질량은 태양의 4백만배에 상당한다. 오메가는 다른 구상성단들과 구분되는 특징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사실 우리은하에게 잡아먹힌 왜소은하의 중심핵이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32 처지: 메시에 54, 광년,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 금속함량, 구상성단, 국부은하군,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우라노메트리아, 우리은하, 요한 바이어, 큰개자리 왜소은하,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제미니 천문대, 중간질량 블랙홀, 질량 중심, 첨단관측카메라, 캅테인의 별, 파섹, 태양, 태양질량, 에드먼드 핼리, 허블 우주망원경, 킬로그램, 세인트헬레나, 센타우루스자리, 속도분산, 알마게스트, 안드로메다 은하, 신판일반목록, 시선속도, 왜소은하, 왕립학회.

메시에 54

M54 M54(NGC 6715)는 궁수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메시에 54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광년 · 더보기 »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는 궁수자리에 있는 왜소 타원 은하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금속함량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구상성단 · 더보기 »

국부은하군

국부은하군의 3차원 지도 국부은하군(局部銀河群)은 우리 은하가 포함된 은하군으로, 안드로메다 은하를 포함한 크고 작은 40개 이상의 은하로 이루어져 있. 지름 5백만 광년으로, 우리 은하 뿐만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도 속해있.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국부은하군 · 더보기 »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이 드 라카유 아베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1713년 3월 15일 ~ 1762년 3월 21일)는 프랑스의 천문학자, 측지학자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 더보기 »

우라노메트리아

.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는 요한 바이어가 만든 천체 지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우라노메트리아 · 더보기 »

우리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 모습. 우리은하(―銀河) 는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우리은하 · 더보기 »

요한 바이어

바이어가 집필한 우라노메트리아에 실려 있는 오리온자리 그림.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년 ~ 1625년 3월 7일)는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법률가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요한 바이어 · 더보기 »

큰개자리 왜소은하

자리 왜소 은하(Canis Major Dwarf Galaxy)는 큰개자리에 있는 불규칙 은하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큰개자리 왜소은하 · 더보기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AD 83년경 ~ 168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학자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제미니 천문대

제미니 천문대(- 天文臺)는 서로 다른 지역에 세워진 두 대의 8.1m 천체망원경으로 구성된 천문대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제미니 천문대 · 더보기 »

중간질량 블랙홀

중간질량 블랙홀(Intermediate-mass black hole)은 크기가 초대질량 블랙홀보다작고 항성 블랙홀보다 큰 중간급의 블랙홀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중간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질량 중심

량 중심(質量中心)은 물체 전체의 질량의 중심점으로, 전체 질량이 질량 중심에 있는 것처럼 외부 계와 작용.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질량 중심 · 더보기 »

첨단관측카메라

측카메라(Advanced Camera for Surveys, ACS)는 허블 우주 망원경에 탑재된 3세대 관측.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첨단관측카메라 · 더보기 »

캅테인의 별

인의 별(Kapteyn's Star)은 화가자리에 있는 분광형 M0의 준왜성으로, 야코부스 카프타인이 1897년 발견하였.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캅테인의 별 · 더보기 »

파섹

섹(parsec)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파섹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태양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태양질량 · 더보기 »

에드먼드 핼리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 Edmund라 적기도 함, 1656년 11월 8일 ~ 1742년 1월 14일)는 영국의 천문학자, 기상학자,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에드먼드 핼리 · 더보기 »

허블 우주망원경

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천문 관측용 망원경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허블 우주망원경 · 더보기 »

킬로그램

국제 원기의 컴퓨터 생성 이미지. 킬로그램(“kilogram”이라는 철자는 국제 도량형국 및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 영국 국립도량형국(National Measurement Office), 캐나다 국립연구소(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도량형연구소(National Measurement Institute)에서 채택한 현대식 표기법이다. 전통적인 영국 영어 표기인 “kilogramme” 또한 때때로 사용된다.)은 SI 단위계에서 사용하는 질량의 기본 단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킬로그램 · 더보기 »

세인트헬레나

세인트헬레나()는 앙골라 서쪽 해안으로부터 2,800 km 떨어진 남대서양 가운데에 있. 영국의 해외 영토인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속하며, 수도는 제임스타운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세인트헬레나 · 더보기 »

센타우루스자리

센타우루스자리(Centaurus)는 천구의 남쪽에 있는 별자리이다. 프톨레마이오스의 목록에 있는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현대의 88개 별자리에도 속한다. 현재 한국의 위도에서는 별자리의 북쪽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볼 수 없다.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센타우루스자리 · 더보기 »

속도분산

속도분산(速度分散, σ)은 천문학에서 산개성단, 구상성단, 은하, 은하단, 초은하단 같은 무리 지어진 천체의 평균속도에 대한 통계적 분산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속도분산 · 더보기 »

알마게스트

히파르코스에 의해 지구(Earth)로부터의 태양(Sun)과 달(Moon)과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지구중심적 구조. 알마게스트는 2세기의 항성과 행성의 경로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그리스 수학과 천문학의 논문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알마게스트 · 더보기 »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_는 지구로부터 약 780 킬로파섹(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이다. 이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major galaxy)이며, 메시에 31(M31) 또는 NGC 224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옛 문헌에서는 종종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Andromeda大星雲)으로 표현되었다. 은하의 명칭은 은하가 보이는 별자리, 즉 안드로메다자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여기서 안드로메다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안드로메다 공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별자리이다. 폭이 대략 22만 광년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 및 삼각형자리 은하와 대략 44개의 작은 은하들을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초기의 탐사들은 우리은하가 더 많은 암흑물질을 포함하며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클 것이라고 시사하였지만, 2006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관측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2,000~4,000억 개의 별들을 포함할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은하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의 질량이 8.5 × 1011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은 1.5 × 101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2006년의 연구가 우리은하의 질량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의 ~80%임을 제시하였지만, 2009년의 연구에서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이 거의 같음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37억 5천만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 서로 병합하여 거대타원은하 또는 거대 원반은하를 형성할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겉보기 등급은 3.4등급으로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밝다. 때문에 광공해가 적은 지역에서 달이 없는 밤에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큰 망원경을 통해 촬영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시직경)이 보름달보다 여섯배나 크기 때문에 표면밝기 문제로 인해 오로지 밝은 중심 영역만이 맨눈이나 쌍안경,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보인다. 그래서 은하는 실제로 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보인다.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안드로메다 은하 · 더보기 »

신판일반목록

나선은하 NGC 3982는 밝은 별, 푸른 성단, 어두운 먼지대로 채워진 많은 나선팔들을 보여준다. 은하의 폭은 30,000 광년으로, 지구로부터 큰곰자리 방향으로 6,8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데, 작은 망원경으로도 볼 수 있다. 성운 및 성단에 관한 신판일반목록() 또는 신판일반목록(新版一般目錄, 줄여서 NGC)은 천문학에서 유명한 심원천체 목록으로, 1888년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가 존 허셜의 성운 및 성단에 관한 목록의 새로운 판으로 작성한 것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신판일반목록 · 더보기 »

시선속도

시선속도(視線速度)란 어떤 물체의 시선방향으로의 속도를 말. 즉, 관측자 쪽으로 일직선방향으로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속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시선속도 · 더보기 »

왜소은하

고래자리 방향으로 1억 1,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왜소은하 ESO 540-31. 왜소은하(矮小銀河, dwarf galaxy)는 수십억 개까지의 별로 구성된 작은 은하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왜소은하 · 더보기 »

왕립학회

자연 지식의 향상을 위한 런던 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는 1660년 창립된 지식인 및 학자들의 모임이.

새로운!!: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와 왕립학회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NGC 5139, Ω 성단, Ω성단, 오메가 성단, 오메가 센타우리, 오메가성단, 센타우루스 ω.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