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소행성체

색인 소행성체

양계 천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오일러 다이어그램 소행성체(小行星體, minor planet)란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중 행성도 아니고 100% 혜성도 아닌 천체이.

20 처지: 목성, 국제천문연맹, 트로이군, 정역학적 평형, 천체, 카이퍼 대, 케르눈노스, 태양, 태양계 소천체, 타원면, 혜성, 행성, 세레스,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소행성, 소행성체, 소행성체 센터, 해왕성 바깥 천체, 왜행성, 1801년.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목성 · 더보기 »

국제천문연맹

국제천문연맹(國際天文聯盟)은 천문학계의 국제적인.

새로운!!: 소행성체와 국제천문연맹 · 더보기 »

트로이군

천문학에서 트로이군()은 행성이나 위성 등 어떠한 큰 천체에 대해 항상 상대적인 위치가 같은 소행성체나 위성을 말하며, 트로이군 천체들은 큰 천체의 궤도 앞뒤 60° 지점, 즉 L4와 L5 라그랑주 점에 존재.

새로운!!: 소행성체와 트로이군 · 더보기 »

정역학적 평형

정역학적 평형(靜力學的平衡, hydrostatic equilibrium)은 연속체 역학에서 유체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각 지점의 흐름 속도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상태를 말. 중력 따위의 힘이 압력경도력에 의해 상쇄되면 정역학적 평형 상. 예컨대 지구 대기를 보면, 대기압 경도력이 중력으로 인해 대기가 얇고 밀도 높은 껍질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주고, 중력은 대기압 경도력으로 인해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버리는 것을 막아준.

새로운!!: 소행성체와 정역학적 평형 · 더보기 »

천체

양한 천체의 모습. 천체(天體)는 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천체 · 더보기 »

카이퍼 대

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카이퍼 대(Kuiper Belt) 또는 에지워스 카이퍼 대(Edgeworth-Kuiper belt)는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태양으로부터 약 30 AU)보다 바깥쪽의 황도면 부근에 있는, 천체가 밀집한, 구멍이 뚫린 원반형의 영역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카이퍼 대 · 더보기 »

케르눈노스

군데스트룹 가마솥의 케르눈노스 부조. 케르눈노스(Cernunnos)는 켈트 다신교에서 나타나는 "뿔 난 남신"을 가리키는 켈트학의 관습적인 이름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케르눈노스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태양 · 더보기 »

태양계 소천체

양계 천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오일러 다이어그램 태양계 소천체(Small Solar System body)란 태양계의 천체중 행성이나 왜행성보다 작고 위성이 아닌 천체를 일컫.

새로운!!: 소행성체와 태양계 소천체 · 더보기 »

타원면

학에서, 타원면(楕圓面)은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를 으깬 모양의 곡면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타원면 · 더보기 »

혜성

헤일-밥 혜성. 1997년 3월 촬영 혜성(彗星) 또는 살별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 등을 불러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으나,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

새로운!!: 소행성체와 혜성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행성 · 더보기 »

세레스

세레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소행성체와 세레스 · 더보기 »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AU이며, 개수는 2015년 1월 기준이다.)'' 센타우루스 소행성군()은 궤도 긴반지름이 목성형 행성들 사이에 있는 태양계 소천체를 말하며, 궤도가 목성형 행성의 궤도와 한 번 이상 교차하기 때문에 궤도가 수백만 년 정도밖에 유지되지 않을 만큼 불안정.

새로운!!: 소행성체와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소행성 · 더보기 »

소행성체

양계 천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오일러 다이어그램 소행성체(小行星體, minor planet)란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중 행성도 아니고 100% 혜성도 아닌 천체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소행성체 · 더보기 »

소행성체 센터

소행성체 센터(Minor Planet Center; MPC)는 소행성체(소행성 따위) 및 혜성에 관한 관측자료를 수집하는 전세계 규모의 공식적 기관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소행성체 센터 · 더보기 »

해왕성 바깥 천체

여덟 개의 가장 큰 해왕성 바깥 천체 해왕성 바깥 천체는 태양계에서 궤도 장반경이 해왕성의 그것보다 긴 천체를 말. 카이퍼 대나 산란원반, 오르트 구름에 있는 천체가 이에 속. 대표적인 천체인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되었지만 그 후로 오랫동안 해왕성 바깥 쪽에서는 천체가 발견되지 않았.

새로운!!: 소행성체와 해왕성 바깥 천체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소행성체와 왜행성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소행성체와 1801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