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수 (수학)

색인 수 (수학)

복소수와 이의 부분집합들 - 자연수 (ℕ), 정수 (ℤ), 유리수 (ℚ), 실수 (ℝ), 복소수 (ℂ) 수(數)는 양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해 온 추상적인 개념이.

40 처지: 무리수, 무한, 무한소, 물건, 방정식, 고정소수점, 복소수, 분수 (수학), 분할복소수, 부동소수점, 기수 (수학), 기수법, 대수적 수, 자연수, 이원수, 음수, 정수, 초실수, 초월수, 추상대수학, 유리수, 팔원수, 상수, 순서수, 수 목록, 수사 (품사), 옛날, 양 (크기), 역사, 허수, 사람, 사원수, 산술, 소수 (기수법), 소수 (수론), 실수, 십육원수, 시스템, P진수, 0.

무리수

무리수(無理數, irrational number)는 두 정수의 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없는 실수를 말. 즉,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소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무리수 · 더보기 »

무한

무한대 기호 ∞를 여러 가지 글씨체로 쓴 것. 무한(無限, ∞)이란 개념은 수학, 철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며, 대체로 끝이 없거나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말.

새로운!!: 수 (수학)와 무한 · 더보기 »

무한소

무한소 기호 수학에서, 무한소(無限小, infinitesimal)란 일반적으로 모든 양수보다 작지만 0보다는 큰 상태를 가리.

새로운!!: 수 (수학)와 무한소 · 더보기 »

물건

물건(物件)이란 대한민국, 일본, 독일 등 일부 대륙법계의 법역(法域)에 있어서, 법률상, 물권 또는 소유권의 객체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그 주체인 인(자연인 또는 법인)에 대한 개념이.

새로운!!: 수 (수학)와 물건 · 더보기 »

방정식

방정식(方程式)은 미지수가 포함된 식에서, 그 미지수에 특정한 값을 주었을 때만 성립하는 등식이.

새로운!!: 수 (수학)와 방정식 · 더보기 »

고정소수점

정소수점은 소수점을 사용하여 고정된 자리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이.

새로운!!: 수 (수학)와 고정소수점 · 더보기 »

복소수

수학에서, 복소수(複素數)는 a+bi (a,b는 실수) 꼴의 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복소수 · 더보기 »

분수 (수학)

이크를 네 등분한 뒤 한 조각을 가져갔을 때, 가져간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일이며, 남은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삼이다. 수학에서, 분수(分數)는 어떤 정수 a를 0이 아닌 정수 b로 나눈 몫을 a/b의 형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부분이 전체를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식이.

새로운!!: 수 (수학)와 분수 (수학) · 더보기 »

분할복소수

상대수학에서, 분할복소수(分割複素數)는 가환환 \mathbb R/(\mathrm j^2 - 1)의 원소이.

새로운!!: 수 (수학)와 분할복소수 · 더보기 »

부동소수점

Z3에는 부동소수점 산술 기능이 포함되었다. (뮌헨의 국립 독일 박물관) 부동소수점(浮動小數點, floating point) 또는 떠돌이 소수점 방식은 실수를 컴퓨터 상에서 근사하여 표현할 때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수를 따로 적는 것으로, 유효숫자를 나타내는 가수(假數)와 소수점의 위치를 풀이하는 지수(指數)로 나누어 표현.

새로운!!: 수 (수학)와 부동소수점 · 더보기 »

기수 (수학)

ℵ0은 가장 작은 무한 기수이다. 수학에서, 기수(基數)는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기수 (수학) · 더보기 »

기수법

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은 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수법을 통해서 나타나는 각각의 숫자는 다른 수들과 구별되는 표기 방식을.

새로운!!: 수 (수학)와 기수법 · 더보기 »

대수적 수

복소평면 속의, 유리수 계수 1차~4차 다항식의 근인 대수적 수들의 분포. 1차 다항식의 근은 녹색, 2차는 적색, 3차는 하늘색, 4차는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낮은 차수의 대수적 정수의 분포. 낮은 차수의 다항식의 해는 붉은 색의 점, 비교적 고차 다항식의 해는 푸른 색의 점으로 나타내었다. 수론에서, 대수적 수(代數的數)는 유리수 계수의 일계수 다항식의 근을 이루는 복소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대수적 수 · 더보기 »

자연수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자연수 · 더보기 »

이원수

이원수는 다음 사람의 이름이.

새로운!!: 수 (수학)와 이원수 · 더보기 »

음수

음수(陰數)는 -1, -2, -, -1.414 처럼 0보다 작은 실수를 말. 보통 음부호(-)를 붙여서 음수임을 표시.

새로운!!: 수 (수학)와 음수 · 더보기 »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새로운!!: 수 (수학)와 정수 · 더보기 »

초실수

실수선은 실수선보다 더 조밀하다. 실수선 위의 각 점은 이에 무한히 가까운 무한한 수의 초실수들에 대응한다. 반대로, 표준 부분 함수는 유한 초실수를 가장 가까운 실수로 대응시킨다. 비표준 해석학에서, 초실수(超實數)는 무한대와 무한소를 포함하지만 실수에 대한 모든 1차 논리 명제가 그대로 성립하는 수 체계이.

새로운!!: 수 (수학)와 초실수 · 더보기 »

초월수

월수(超越數)는 계수가 유리수인 어떤 다항 방정식의 해도 될 수 없는 복소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초월수 · 더보기 »

추상대수학

상대수학(抽象代數學)은 대수 구조를 다루는 여러 수학적 대상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수 (수학)와 추상대수학 · 더보기 »

유리수

수학에서, 유리수(有理數)는 두 정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유리수 · 더보기 »

팔원수

원수(八元數) 또는 케일리 수()는 유일한 8차원 비가환 비결합 노름 나눗셈 대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팔원수 · 더보기 »

상수

상수(常數)란 수식에서 변하지 않는 값을 뜻. 이것은 변하는 값 변수와 반대이.

새로운!!: 수 (수학)와 상수 · 더보기 »

순서수

\omega^\omega 이하의 순서수들의 형상화 집합론에서, 순서수(順序數)는 정렬 전순서 집합들의 "길이"를 측정하는 수의 일종이.

새로운!!: 수 (수학)와 순서수 · 더보기 »

수 목록

수 목록은 다음과 같.

새로운!!: 수 (수학)와 수 목록 · 더보기 »

수사 (품사)

수사(數詞) 또는 셈씨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이.

새로운!!: 수 (수학)와 수사 (품사) · 더보기 »

옛날

옛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수 (수학)와 옛날 · 더보기 »

양 (크기)

양(量)은 많고 적음을 비교하거나 세거나 잴 수 있는 크기의 정도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수 (수학)와 양 (크기)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수 (수학)와 역사 · 더보기 »

허수

수(虛數, imaginary number)는 0을 포함하되 실수가 아닌 복소수를 뜻. 실수의 특성상, 제곱하면 무조건 0 또는 양수가 되기 때문에 이차방정식 x^2.

새로운!!: 수 (수학)와 허수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수 (수학)와 사람 · 더보기 »

사원수

브로엄 다리에 새겨진 기념비. 이 곳에서 해밀턴이 사원수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수학에서, 사원수(四元數) 또는 해밀턴 수()는 복소수를 확장해 만든 수 체계이.

새로운!!: 수 (수학)와 사원수 · 더보기 »

산술

산술(算術, arithmetic)은 수학의 가장 역사 깊은 분야로, 수의 개념이나 수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하는 방법, 그 성질이나 계산의 법칙 등의 이론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수 (수학)와 산술 · 더보기 »

소수 (기수법)

수학에서, 소수(小數)는 각각의 자리에 놓인 숫자와 소수점을 통해 나타낸 실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소수 (기수법) · 더보기 »

소수 (수론)

소수(素數, 발음: 소쑤)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소수 (수론) · 더보기 »

실수

실수을 수직선으로 나타낸 것 수학에서, 실수(實數)는 주로 실직선 위의 점 또는 십진법 전개로 표현되는 수 체계이.

새로운!!: 수 (수학)와 실수 · 더보기 »

십육원수

십육원수(sedenion)는 실수 계수로 펼쳐지는 16차원 대수이.

새로운!!: 수 (수학)와 십육원수 · 더보기 »

시스템

시스템(system)은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하거나 상호의존하여 복잡하게 얽힌 하나의 집합.

새로운!!: 수 (수학)와 시스템 · 더보기 »

P진수

수론에서, p진수(p進數, p-adic number)는 유리수의 체를 마치 어떤 소수 p에 대한 로랑 급수처럼 해석하여 완비시켜 얻는 체이.

새로운!!: 수 (수학)와 P진수 · 더보기 »

0

0(零, 영)은 -1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정수.

새로운!!: 수 (수학)와 0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