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수경

색인 심수경

심수경(沈守慶, 1516년 12월 20일 ~ 1599년 윤 4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

57 처지: 무오사화, 갑자사화, 경기도, 과천시, 병마절도사, 병조, 관찰사, 기로소, 기묘사화, 대사헌, 남곤, 우의정, 임진왜란, 평안도, 이전 (1517년), 이조, 인문 계열, 인순왕후, 의병, 의정부, 조광조,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중종, 조선 선조, 좌의정, 중종반정, 영중추부사, 형조, 여진, 풍산 심씨, 사림파, 사가독서, 한강, 한성부, 한성부판윤, 심강, 심귀령, 심응, 심정 (1471년), 심사손, 홍문관, 12월 20일, 1516년, 1546년, 1550년, 1551년, 1558년, 1560년, 1562년, ..., 1563년, 1574년, 1583년, 1590년, 1599년, 4월 20일, 7월 2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 더)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심수경와 무오사화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심수경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심수경와 경기도 · 더보기 »

과천시

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심수경와 과천시 · 더보기 »

병마절도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는 조선시대 각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으로 병사.

새로운!!: 심수경와 병마절도사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수경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심수경와 관찰사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새로운!!: 심수경와 기로소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심수경와 기묘사화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심수경와 대사헌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심수경와 남곤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심수경와 우의정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심수경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심수경와 평안도 · 더보기 »

이전 (1517년)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 중종, 명종, 선조 때의 장군이.

새로운!!: 심수경와 이전 (1517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수경와 이조 · 더보기 »

인문 계열

인문 계열은 인문과학, 사회과학을 필두로 하여 인간 사회의 문화와 사회 질서 및 역사와 그 문화에 따른 언어학(영어, 한글)을 탐구 및 연구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새로운!!: 심수경와 인문 계열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심수경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의병

1907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무장한 의병 의병(義兵)은 주로 한국사에서 정의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민병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심수경와 의병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심수경와 의정부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심수경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심수경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심수경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심수경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심수경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심수경와 좌의정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심수경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영중추부사

영중추부사는 조선시대 중추부에 두었던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심수경와 영중추부사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수경와 형조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심수경와 여진 · 더보기 »

풍산 심씨

풍산 심씨(豊山沈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수경와 풍산 심씨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심수경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새로운!!: 심수경와 사가독서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심수경와 한강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심수경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심수경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심강

심강(沈鋼,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명종의 국구(장인)로, 인순왕후의 아버지이.

새로운!!: 심수경와 심강 · 더보기 »

심귀령

심귀령(沈龜齡, 1350년 ~ 1413년)은 조선 초기의 공신이자 무신으로, 자는 천석(天錫), 호는 병담(屛潭), 시호는 정양(靖襄)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풍천군(豐川君), 본관은 풍산(豊山)이.

새로운!!: 심수경와 심귀령 · 더보기 »

심응

심응(沈應, ? - ?)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심수경와 심응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심수경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심사손

심사손(沈思遜, 1493년 12월 25일 ~ 152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다른 이름은 심사손(沈士遜)이.

새로운!!: 심수경와 심사손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심수경와 홍문관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수경와 12월 20일 · 더보기 »

15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16년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46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50년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51년 · 더보기 »

15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58년 · 더보기 »

15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60년 · 더보기 »

15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62년 · 더보기 »

1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63년 · 더보기 »

15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수경와 1574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수경와 1583년 · 더보기 »

1590년

15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수경와 1590년 · 더보기 »

1599년

15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수경와 1599년 · 더보기 »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수경와 4월 20일 · 더보기 »

7월 25일

7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6번째(윤년일 경우 2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수경와 7월 25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