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쑨원와 쓰촨성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쑨원와 쓰촨성의 차이

쑨원 vs. 쓰촨성

쑨원(손문, 1866년 11월 12일 ~ 1925년 3월 12일)은 중국의 외과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신해혁명을 이끈 혁명가,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창립자이. 사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성(省)이.

쑨원와 쓰촨성의 유사점

쑨원와 쓰촨성는 공통적으로 1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보로 운동, 군벌 시대, 장강, 장제스, 이홍장, 의화단 운동, 좡족, 중화인민공화국, 청나라, 윈난 성, 타이완, 한족, 신해혁명, 후이족.

보로 운동

보로운동(保路運動)은 청일전쟁 후 열강에 빼앗긴 이권을 되찾기 위해 민간에서 주도하여 철도를 부설하였으나 당시 국가 재정이 어려워 지면서 청나라 조정은 철도를 국유화하여 이를 담보로 외국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려 하자 쓰촨지역을 중심으로 철도를 지키자는 운동을 전개한것을 말. 이를 기점으로 신해혁명이 일어.

보로 운동와 쑨원 · 보로 운동와 쓰촨성 · 더보기 »

군벌 시대

thumb 중국의 군벌은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한 이후, 군사력을 기반으로 전국 또는 지방의 일부에 웅거하면서 실질적으로 권력을 행사한 중국의 고급 군인 및 그들의 병력을 뜻. 군벌주의 등의 표현에서 쓰이는 사전적 의미의 군벌과 일본의 군벌 등하고는 차이가 있.

군벌 시대와 쑨원 · 군벌 시대와 쓰촨성 · 더보기 »

장강

장강() 또는 양쯔강(양자강)은 중국 대륙 중앙부를 흐르는 강이.

쑨원와 장강 · 쓰촨성와 장강 · 더보기 »

장제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국부천대 사태 이후 1950년대 후반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 창카이섹() 또는 장중정(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재임: 1925년 3월 18일 ~ 1975년 4월 5일)이었.

쑨원와 장제스 · 쓰촨성와 장제스 · 더보기 »

이홍장

이홍장의 초상 이홍장(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은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이며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이.

쑨원와 이홍장 · 쓰촨성와 이홍장 · 더보기 »

의화단 운동

1900년과 1904년의 동아시아 시국 그림. 의화단 운동(義和團運動)은 청나라 말기 1899년 11월 2일부터 1901년 9월 7일까지 산둥 지방, 화베이 지역에서 의화단(義和團)이 일으킨 외세 배척 운동이.

쑨원와 의화단 운동 · 쓰촨성와 의화단 운동 · 더보기 »

좡족

좡족(장족,)은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소수 민족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 주로 살고 있. 인구는 1800만 명으로 한족 다음으로 많. 좡족의 원래 이름은 獞族(퉁족, 동족)이었.

쑨원와 좡족 · 쓰촨성와 좡족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쑨원와 중화인민공화국 · 쓰촨성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쑨원와 청나라 · 쓰촨성와 청나라 · 더보기 »

윈난 성

윈난 성(운남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의 성이.

쑨원와 윈난 성 · 쓰촨성와 윈난 성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쑨원와 타이완 · 쓰촨성와 타이완 · 더보기 »

한족

족()은 중국의 대표적인 민족집단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도 거주하고 있. 2008년 기준으로 한족 인구는 약 12억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인구의 약 92%를 차지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민족집단이.

쑨원와 한족 · 쓰촨성와 한족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신해혁명와 쑨원 · 신해혁명와 쓰촨성 · 더보기 »

후이족

후이족(샤오얼징: حُوِ ذَو/حواريون)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 민족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슬림 민족 집단이.

쑨원와 후이족 · 쓰촨성와 후이족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쑨원와 쓰촨성의 비교.

쑨원에는 206 개의 관계가 있고 쓰촨성에는 198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3.47%입니다 = 14 / (206 + 198).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쑨원와 쓰촨성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