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언어학

색인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47 처지: 맞춤법, 말뭉치 언어학, 문자, 문체론, 문학, 방언학, 번역 연구, 공시언어학, 기계 번역, 기호학, 비교 재구, 비교언어학, 논리학, 자연 언어 처리, 인류학, 인지과학, 인지언어학, 음운론, 음성, 음성 인식, 음성 처리, 음성 합성, 음성학, 의미론, 응용언어학, 전산언어학, 철학, 컴퓨터 과학, 수사학, 수학, 형태론, 어휘론, 언어, 언어병리학, 언어인류학, 언어지리학, 언어철학, 언어유형학, 역사언어학, 사회언어학, 통계학, 통사론, 텍스트언어학, 신경언어학, 심리언어학, 심리학, 화용론.

맞춤법

언어의 맞춤법(- 法) 또는 철자법(綴字法), 정서법(正書法)은 특정한 필기 체계를 사용하여 언어를 쓸 때 올바른 방법을 지시하는 지침이.

새로운!!: 언어학와 맞춤법 · 더보기 »

말뭉치 언어학

말뭉치언어학()은 '실제 언어' 혹은 실제 언어의 샘플을 이용하여 언어를 공부하는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말뭉치 언어학 · 더보기 »

문자

'''오늘날 세계에서 쓰이는 문자 계통''' 아부기다: 데바나가리 문자, 그으즈 문자 기타 아브자드: 아라비아 문자, 히브리 문자, 기타 음소 문자: 한글, 라틴 문자, 키릴 문자, 기타 음절 문자: 가나 문자 표어 문자: 한자 다양한 문자들. 문자(文字)는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상징 체계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자 · 더보기 »

문체론

문체론(文體論)은 문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체론 · 더보기 »

문학

장오노레 프라고나르 작 "책 읽는 소녀" 문학(文學)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제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의 하위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학 · 더보기 »

방언학

방언학()은 방언에 대해 연구하는 언어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방언학 · 더보기 »

번역 연구

번역 연구(飜譯硏究)는 번역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과학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를 다루는 인문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번역 연구 · 더보기 »

공시언어학

공시언어학()은 통시언어학()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언어학의 연구 관점 중 하나이.

새로운!!: 언어학와 공시언어학 · 더보기 »

기계 번역

번역(機械飜譯)은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 언어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일을 말. '자동 번역'이.

새로운!!: 언어학와 기계 번역 · 더보기 »

기호학

호학(記號學)은 기호, 즉 어떠한 의미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것에 대한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기호학 · 더보기 »

비교 재구

비교 재구(comparative reconstruction)란 공통의 언어로부터 분기되었다고 믿어지는 둘 이상의 언어들이 있을 때 이들 언어들을 체계적으로 비교해서 그 언어들이 분화되기 이전 상태의 언어인 공통조어를 재구하는 연구 방법론을 말. 비교 재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층위를 포괄하는 전체적인 조어의 모습을 세밀한 부분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재구하는 것이나, 현재까지의 비교 재구에 연관된 연구들은 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에 집중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비교 재구는 일반적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비교 재구 · 더보기 »

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비교언어학 · 더보기 »

논리학

리학(論理學,, logic)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하여 그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논리학 · 더보기 »

자연 언어 처리

자연 언어 처리(自然言語處理) 또는 자연어 처리(自然語處理)는 인간이 발화하는 언어 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자연 언어 이해 혹은 그러한 형태를 다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하는 제반 기술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자연 언어 처리 · 더보기 »

인류학

인류학(人類學)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류학 · 더보기 »

인지과학

인지과학(認知科學)은 인간의 마음과 동물 및 인공적 지적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t systems)에서 정보처리가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 다르게 표현한다면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뇌의 작동 및 몸의 움직임의 제어 포함)의 과정 및 내용과, 동물 및 인공적 지적 시스템에서의 지능(Intelligence)의 정보적 표상(표현)과 그 작동 과정을 연구하는 종합적, 다학문적 과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지과학 · 더보기 »

인지언어학

인지언어학()은 인간 마음의 본질,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언어, 몸과 마음, 문화’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언어 이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지언어학 · 더보기 »

음운론

음운론(音韻論)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음운론 · 더보기 »

음성

성대의 구조 음성(音聲)은 사람이 발성 기관을 통해서 내는 소리를 뜻. 목소리.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 · 더보기 »

음성 인식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이란 사람이 말하는 음성 언어를 컴퓨터가 해석해 그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 전환하는 처리를 말. STT(Speech-to-Text).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 인식 · 더보기 »

음성 처리

음성 처리(音聲處理)는 주로 디지털화 된 음성 신호를 컴퓨터에서 처리를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 음성 처리의 실용화 예로 음성 압축한 MP3와 음성 인식을 이용한 접수 안내 시스템 등이 있. 분류:디지털 신호 처리 처리.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 처리 · 더보기 »

음성 합성

음성 합성(音聲合成, speech synthesis)은 말소리의 음파를 기계가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기술로, 간단히 말하면 모델로 선정된 한 사람의 말소리를 녹음하여 일정한 음성 단위로 분할한 다음, 부호를 붙여 합성기에 입력하였다가 지시에 따라 필요한 음성 단위만을 다시 합쳐 말소리를 인위로 만들어내는 기술이.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 합성 · 더보기 »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학 · 더보기 »

의미론

의미론(意味論)은 언어학의 기본 분야 중의 하나로 말이나 글의 의미 또는 뜻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의미론 · 더보기 »

응용언어학

응용언어학(應用言語學)은 일반적으로 언어의 획득 · 습득, 언어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말.

새로운!!: 언어학와 응용언어학 · 더보기 »

전산언어학

전산언어학(電算言語學)은 전산학과 언어학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제간 학문으로 전산적인 관점에서 자연언어의 통계적인 모형과 논리적인 모형을 다루는 분야를 말. 이때 모형은 언어학의 특정 하위 분야에 제한되지 않. 전산언어학자들은 초기에는 대부분 전산학자들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연언어처리를 전공하던 학자들이었.

새로운!!: 언어학와 전산언어학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철학 · 더보기 »

컴퓨터 과학

학()은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컴퓨터 과학 · 더보기 »

수사학

수사학(修辭學,,, rhêtôr, orator, teacher)은 설득의 수단으로 언어의 사용법, 특히 대중 연설을 사용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수사학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수학 · 더보기 »

형태론

형태론(形態論)은 단어의 어형(語形) 변화를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이며, 어형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형태론 · 더보기 »

어휘론

어휘론(語彙論)은 낱말과 의미, 낱말 간 관계, 단어군, 전체 어휘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부분이.

새로운!!: 언어학와 어휘론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 · 더보기 »

언어병리학

언어병리학(言語病理學)은 언어 능력과 청각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행하는 직업을 '언어치료사'라 부른.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병리학 · 더보기 »

언어인류학

언어인류학(言語人類學)은 이론언어학의 통찰력을 응용한 인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인류학 · 더보기 »

언어지리학

언어지리학()은 한 언어 안의 방언적 변이나 친근한 언어들 사이의 변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각 변의 동태적 관계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파악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지리학 · 더보기 »

언어철학

언어철학(言語哲學)은 언어에 대해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철학 · 더보기 »

언어유형학

언어유형학() 또는 단순히 언어유형론은 언어학에서 단순하게는 세계 여러 언어들을 조사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는 연구를 말. 더 나아가서, 유형론은 단순한 조사와 분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일반화하여 인간의 언어가 가지는 보편적인 성격을 탐구하는 것을 말. 언어학의 하나의 방법론으로써 유형론은 이러한 "언어의 유형을 연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 유형론적 연구는 형식적 혹은 논리적 연구에 맞서는 것으로 언어의 기능, 인식 구조, 화용적 성격, 역사적 성격을 중요시여기는 방법론을 말. 다시 말해, 형식적 문법 연구가 이론내적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언어 외적 요소를 배제하려는 것인데 비해, 유형론은 언어 외적인 실세계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끌어 들여 언어 현상을 설명하려는 방법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유형학 · 더보기 »

역사언어학

역사언어학()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역사언어학 · 더보기 »

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은 사회 속에서 언어가 어떤 양상을 띠는가에 초점을 맞춘 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사회언어학 · 더보기 »

통계학

200px 통계학(統計學)은 수량적 비교를 기초로 하여, 많은 사실을 통계적으로 관찰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통계학 · 더보기 »

통사론

통사론(統辭論)은 단어가 문장을 이루는 방법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하위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통사론 · 더보기 »

텍스트언어학

텍스트언어학(- 言語學)은 텍스트를 의사소통 시스템으로 다루는 언어학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텍스트언어학 · 더보기 »

신경언어학

신경언어학(神經言語學)은 언어 능력과 두뇌에 관한 관계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신경언어학 · 더보기 »

심리언어학

심리언어학(心理言語學)은 언어습득과 언어사용 시 작용하는 인간의 내재적, 정신적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려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심리언어학 · 더보기 »

심리학

마음의 지도 심리학(心理學)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목으로서, 인문과학에서부터 자연과학, 공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에 공헌을 하고 있. 인간이 관계된 모든 분야에는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관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뒷받침이 요구되기 때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심리학 · 더보기 »

화용론

화용론(話用論)은 의사 소통시의 발화에 대한 언어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화용론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언어학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