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색인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1930년 5월 11일 ~ 2002년 8월 6일)는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이.

47 처지: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데커의 알고리즘, 도널드 커누스, 레슬리 램포트, 레이던 대학교, 로테르담, 병행 컴퓨팅, 분산 컴퓨팅, 기아 상태, 교착 상태, 구조적 프로그래밍, 네덜란드, 뉘넌, 다중작업, 니클라우스 비르트, Goto 문, 스레드, 튜링상, 장애 허용 시스템, 임계 구역, 이론 전산학, 이론물리학, 차량기지 알고리즘,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 추상화 계층, 컴파일러, 컴퓨터 과학, 콜 스택, 파스칼, 상호 배제, 생산자-소비자 문제, 최단 경로 문제, 프림 알고리즘, 세마포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구조, 소프트웨어 위기, 알골 60,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 1930년, 1968년, 1972년, 2002년, 5월 11일, 8월 6일.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학에서,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 더보기 »

데커의 알고리즘

의 알고리즘(Dekker's algorithm)은 네덜란드의 수학자 테오도루스 데커가 상호 배제를 위해 고안한 병행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데커의 알고리즘 · 더보기 »

도널드 커누스

어빈 커누스(Donald Ervin Knuth,, 1938년 1월 10일 위스콘신 주 밀워키 출생)는 미국의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이며,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의 명예교수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도널드 커누스 · 더보기 »

레슬리 램포트

슬리 램포트 (1941년 2월 7일 뉴욕 시 출생)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레슬리 램포트 · 더보기 »

레이던 대학교

이던 대학교는 레이던 시에 위치하며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레이던 대학교 · 더보기 »

로테르담

르담에 있는 에라스뮈스 다리 로테르담(Rotterdam)은 네덜란드 자위트홀란트 주에 있는 유럽 최대의 무역항 로테르담 항이 있는 도시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로테르담 · 더보기 »

병행 컴퓨팅

병행 컴퓨팅 또는 컨커런트 컴퓨팅(concurrent computing)은 여러 개의 계산들을 연속적(하나씩 일을 마치는 것)으로가 아닌, 병행 처리하는 것을 말. 병행 시스템은 다른 계산들이 모두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계산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즉 하나 이상의 계산은 동시에 진행이 가능.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병행 컴퓨팅 · 더보기 »

분산 컴퓨팅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은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의 처리 능력을 이용하여 거대한 계산 문제를 해결하려는 분산처리 모델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분산 컴퓨팅 · 더보기 »

기아 상태

아 상태(스타베이션)는 컴퓨터 과학 용어의 하나로, 프로세스가 끊임없이 필요한 컴퓨터 자원을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자원 없이는 처리를 끝낼 수 없는 병행 컴퓨팅에서 마주치는 문제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기아 상태 · 더보기 »

교착 상태

착 상태(膠着狀態)란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를 가리.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교착 상태 · 더보기 »

구조적 프로그래밍

조적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ming)은 구조화 프로그래밍으로도 불리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일종인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 GOTO문을 없애거나 GOTO문에 대한 의존성을 줄여주는 것으로 가장 유명.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구조적 프로그래밍 · 더보기 »

네덜란드

()는 서유럽과 카리브 제도에 걸쳐 있는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으로 수도는 암스테르담이나, 정부 및 각종 행정기관이 밀집한 도시는 헤이그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네덜란드 · 더보기 »

뉘넌

(Nuenen)은 네덜란드의 마을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뉘넌 · 더보기 »

다중작업

전산학 분야에서 멀티태스킹() 또는 다중작업(이하 멀티태스킹)은 다수의 작업(혹은 프로세스, 이하 태스크)이 중앙 처리 장치(이하 CPU)와 같은 공용자원을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 엄밀히 말해 한 개의 CPU를 가진 개인용 컴퓨터가 특정 순간에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의 개수는 하나뿐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다중작업 · 더보기 »

니클라우스 비르트

우스 에밀 비르트(1934년 2월 15일~)는 파스칼을 포함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했으며 소프트웨어 공학의 고전적 주제들을 선도해온 스위스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1984년 그는 일련의 혁신적인 컴퓨터 언어들을 개발한 공로로 튜링상을 받았다.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니클라우스 비르트 · 더보기 »

Goto 문

goto 문은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 등장하는 프로그램의 어느 부분에서 행번호나 레이블이 있는 다른 부분으로 건너뛸 때 사용하는 명령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Goto 문 · 더보기 »

스레드

스레드(thread)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스레드 · 더보기 »

튜링상

링 상(튜링 어워드)은 ACM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에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매년 시상하는 상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튜링상 · 더보기 »

장애 허용 시스템

시스템(Fault tolerant system)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에서 결함(fault) 또는 고장(failure)이 발생하여도 정상적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장애 허용 시스템 · 더보기 »

임계 구역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 또는 공유변수 영역은 병렬컴퓨팅에서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공유 자원(자료 구조 또는 장치)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 임계 구역은 지정된 시간이 지난 후 종. 때문에 어떤 스레드(태스크 또는 프로세스)가 임계 구역에 들어가고자 한다면 지정된 시간만큼 대기해야.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임계 구역 · 더보기 »

이론 전산학

이론 전산학 (theoretical computer science)은 일반 컴퓨터 공학 및 수학 중의 한 분야로서 계산 이론과 같이 컴퓨터의 추상적이고 수리학적인 면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이론 전산학 · 더보기 »

이론물리학

이론물리학(理論物理學)은 물리학적 세계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수립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이론물리학 · 더보기 »

차량기지 알고리즘

량기지 알고리즘은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수식을 분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차량기지 알고리즘 · 더보기 »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

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 경, Kt (Sir Charles Antony Richard Hoare, 1934년 1월 11일 ~)은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 · 더보기 »

추상화 계층

응용 프로그램. 추상화 계층(abstraction layer)은 특정한 집합의 기능의 자세한 부분을 숨기는 한 방법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추상화 계층 · 더보기 »

컴파일러

일반적인 다중 언어, 다중 대상 컴파일러의 동작 모습. 컴파일러(compiler, 순화 용어: 해석기, 번역기)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 있는 문서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기는 프로그램을 말. 원래의 문서를 소스 코드 혹은 원시 코드라고 부르고, 출력된 문서를 목적 코드라고 부른.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컴파일러 · 더보기 »

컴퓨터 과학

학()은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컴퓨터 과학 · 더보기 »

콜 스택

스택(call stack) 이란 컴퓨터 과학에서 실행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스택 자료구조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콜 스택 · 더보기 »

파스칼

스칼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파스칼 · 더보기 »

상호 배제

상호 배제(相互排除, mutual exclusion, Mutex, 뮤텍스)는 동시 프로그래밍에서 공유 불가능한 자원의 동시 사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으로 불리는 코드 영역에 의해 구현.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상호 배제 · 더보기 »

생산자-소비자 문제

생산자-소비자 문제(producer-consumer problem)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어떻게 동기화할 것인가에 관한 고전적인 문제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생산자-소비자 문제 · 더보기 »

최단 경로 문제

이론에서 최단 경로 문제란 가장 짧은 경로에서 두 꼭짓점을 찾는 문제로서, 가중 그래프에서는 구성하는 변들의 가중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경로를 찾는 문제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최단 경로 문제 · 더보기 »

프림 알고리즘

림 알고리즘(Prim's algorithm)은 가중치가 있는 연결된 무향 그래프의 모든 꼭짓점을 포함하면서 각 변의 비용의 합이 최소가 되는 부분 그래프인 트리, 즉 최소 비용 생성나무를 찾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프림 알고리즘 · 더보기 »

세마포어

세마포어(Semaphore)는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가 고안한, 두 개의 원자적 함수로 조작되는 정수 변수로서, 멀티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사용.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세마포어 · 더보기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software development process)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또는 구조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 더보기 »

소프트웨어 구조

소프트웨어 구조(software architecture)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유기적 관계를 표현하고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업그레이드를 통제하는 지침과 원칙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소프트웨어 구조 · 더보기 »

소프트웨어 위기

소프트웨어 위기()란 소프트웨어 공학 초기에 사용되던 용어로 정돈된 주제가 되기 이전에 사용되었.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소프트웨어 위기 · 더보기 »

알골 60

알골 60(ALGOL 60, ALGOrithmic Language 1960의 준말)은 알골 계열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멤버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알골 60 · 더보기 »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A)과 암세포의 분열(B) 암(癌, Cancer) 혹은 악성종양(惡性腫瘍, Malignant tumor, Malignant neoplasm)은 세포주기가 조절되지 않아 세포분열을 계속하는 질병으로, 폐암·위암·유방암·대장암 등이 있. 암은 어느 조직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머리카락이나 손발톱 등과 같이 성장이 없는 죽은 세포조직에서는 발생이 되지 않. 또한 조직별로 발생빈도가 다른데, 예를 들어 유방암의 경우에는 왼쪽 상단에는 40%의 발병률이 있으나 오른쪽 하단에는 21% 정도에 지나지 않.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암 · 더보기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또는 UT Austin) 또는 UT 어스틴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주립 대학으로 텍사스 대학교 시스템에서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대학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더보기 »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

섯 명의 철학자와 포크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는 전산학에서 동시성과 교착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로,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돌아갈 때 교착 상태가 나타나는 원인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 다섯 명의 철학자가 원탁에 앉아 있고, 각자의 앞에는 스파게티가 있고 양옆에 젓가락이 한 짝씩 있. 그리고 각각의 철학자는 다른 철학자에게 말을 할 수 없. 이때 철학자가 스파게티를 먹기 위해서는 양 옆의 젓가락 짝을 동시에 들고 있어야.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1930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1968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1972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2002년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5월 11일 · 더보기 »

8월 6일

8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8번째(윤년일 경우 2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와 8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에드스거 다익스트라, 에드스게르 데이크스트라, 에츠허르 데익스트라, 에츠허르 다익스트라, 에스허르 데이크스트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