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영종도

색인 영종도

영종도(永宗島) 또는 영종용유도(永宗龍游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섬이.

37 처지: 무의도, 바다, 간척, 간석지, 고려사, 대한민국, 용유도, 용유동, 운염도, 운서동, 인천광역시, 인천대교,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철도, 제2경인고속도로, 중구 (인천광역시), 영종동, 영종대교, 연륙교, 연수구, 삼목도, , 세종실록, 서구 (인천광역시), 한국의 섬 목록, 신불도, 신증동국여지승람, 황해, 10월 30일, 11월 21일, 1992년, 1994년, 2001년, 2011년, 2017년, 3월 29일.

무의도

무의도(舞衣島)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행정동은 용유동)의 섬으로,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용유도의 남서쪽에 있. 면적은 2011년 말 기준으로 10.21 km²이고, 인구는 2016년 8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33 명이.

새로운!!: 영종도와 무의도 · 더보기 »

바다

북해, 덴마크 연안 바다 또는 해양()은 지구 표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

새로운!!: 영종도와 바다 · 더보기 »

간척

척(干拓)은 얕은 바다를 육지로 활용하기 위해 인공 제방을 쌓고 해수를 퍼내며 일부분을 인공호수를 만들어 땅을 고르는 작업을 말. 네덜란드의 폴더(polder)는 인공 제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해수면보다 낮은 땅, 국토의 약 17%인데 간척 사업은 15세기 풍차 발명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 북해에 32km의 제방 구축, 대규모 농경지 조성 세계적 규모의 간척 사업을 계획중이며 그 효과로 담수호를 조성하여 주변 농업 지대에 관개 용수 공급하고 네덜란드의 북부와 동부 지역을 가깝게 연.

새로운!!: 영종도와 간척 · 더보기 »

간석지

석지(干潟地)는 하천에 의하여 운반된 모래와 흙이 조류의 작용으로 해안에 쌓여, 밀물 때에는 잠기고 썰물 때에는 드러나는 땅을 말. 남해안과 서해안에는 곳곳에 간석지가 널리 이루어져 있어 양식장, 염전 등에 이용되고, 간척 사업에 의하여 농토로 바뀌고 있.

새로운!!: 영종도와 간석지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영종도와 고려사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영종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용유도

용유도(왼쪽)와 영종도 용유도(龍遊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섬이었.

새로운!!: 영종도와 용유도 · 더보기 »

용유동

용유동(龍游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영종도와 용유동 · 더보기 »

운염도

운염도(雲廉島) 또는 운렴도는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의 유인도로, 영종대교 남쪽에 있. 1950년대까지는 운겸도(雲兼島)로 불리었.

새로운!!: 영종도와 운염도 · 더보기 »

운서동

인천국제공항 국제업무지역 운서동(雲西洞)은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에 있는 동이.

새로운!!: 영종도와 운서동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영종도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인천대교

인천대교(仁川大橋)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있는 다리로, 중구 운서동 영종 나들목과 연수구 송도동 연수 분기점을 연. 제2경인고속도로를 구성하는 고속도로 교량이.

새로운!!: 영종도와 인천대교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仁川國際空港)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국제공항이.

새로운!!: 영종도와 인천국제공항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仁川國際空港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30호선)는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국제공항을 기점으로, 경기도 고양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영종도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철도

I'REX 시절의 로고, 2007년에 AREX으로 바뀌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내부 인천국제공항철도(仁川國際空港鐵道)는 서울역에서 용유차량기지와 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간선철도 및 공항철도 노선이.

새로운!!: 영종도와 인천국제공항철도 · 더보기 »

제2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第二京仁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10호선)는 인천광역시 중구를 기점으로, 경기도 성남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영종도와 제2경인고속도로 · 더보기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中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영종도와 중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영종동

영종동(永宗洞)과 영종1동은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에 있는 행정동이.

새로운!!: 영종도와 영종동 · 더보기 »

영종대교

영종대교(Yeongjong Bridge, 永宗大橋)는 영종도와 인천 육지를 잇는 다리이.

새로운!!: 영종도와 영종대교 · 더보기 »

연륙교

연륙교(連陸橋)는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영종도와 연륙교 · 더보기 »

연수구

연수구(延壽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영종도와 연수구 · 더보기 »

삼목도

A: 영종도, '''B: 삼목도''', C: 신불도, D: 용유도, 황색: 간척지, 녹색: 인천공항 삼목도(三木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섬이었.

새로운!!: 영종도와 삼목도 · 더보기 »

키프로스 섬 섬은 물로 완전히 둘러싸인 땅으로서 대륙보다 작고 암초보다 큰 것을 말. 특히 사람이 살 수 없거나 살지 않는 섬은 무인.

새로운!!: 영종도와 섬 · 더보기 »

세종실록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은 세종의 즉위년(1418년) 8월부터 세종 32년(1450년) 2월에 승하하기 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영종도와 세종실록 · 더보기 »

서구 (인천광역시)

서구(西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영종도와 서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한국의 섬 목록

국의 섬 목록은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의 목록이.

새로운!!: 영종도와 한국의 섬 목록 · 더보기 »

신불도

A: 영종도, B: 삼목도, '''C: 신불도''', D: 용유도, 황색: 간척지, 녹색: 인천공항 신불도(薪佛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섬이었.

새로운!!: 영종도와 신불도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영종도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영종도와 황해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영종도와 10월 30일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영종도와 11월 21일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영종도와 1992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종도와 1994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영종도와 2001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종도와 2011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종도와 2017년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영종도와 3월 2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자연도, 영종용유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