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예수

색인 예수

예수(기원전 약 4년 ~ 기원후 약 30) 또는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이.

216 처지: E. P. 샌더스, 랍비, 돼지, 도덕, 독일, 동방 정교회, 라틴 민족, 라틴어, 로마,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군단, 로마 제국, 루가, 루가의 복음서, 루카, 리처드 호슬리, 마르크스주의, 마르코의 복음서,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평생 동정, 마커스 보그, 마태오의 복음서, 마하트마 간디, 메시아, 목성, 무슬림, 무함마드, 미가서, 미신, 민중, 개신교, 갈릴래아, 반삼위일체론, 바트 D. 어만, 강도, 강생, 박태식, 밀라노, 가브리엘, 가나의 혼인잔치, 가톨릭, 거룩한 무덤 성당, 베들레헴, 베드로, 베스파시아누스, 경제, 공동번역성서, 공관복음서, 복음, 복음사가 마르코, ..., 복음서, 계몽주의, 부활절, 그레고리력, 그리스도, 기독교, 기독교인, , 비티니아, 김득중 (1941년), 꾸란, 교부, 교회, 구세주, 구원, 나자렛의 요셉, 나사렛, 네로, 네스토리우스, 다윗, 단식,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INRI, 트라야누스, 요한의 복음서, 요하네스 케플러, 요셉, 튀니지, 자유주의 신학, 재판, 힌두교, 크리슈나, 클라우디우스, 포도주, 폭력, 폭행죄, 폰티우스 필라투스, 이스라엘, 이스가리옷 유다, 이슬람교, 이슬람의 예언자, 이크티스, 이집트, 이사야, 이사야서, 이성, 일신교,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임스 던, 정치, 정신 질환, 조리돌림, 존 도미니크 크로산, 존 셸비 스퐁, 종려과, 종교, 주 (기독교), 주교, 주님의 기도, , 질병, 진보, 지중해, 찬가, 참행복, 체포, 천문학, 초기 기독교, 초신성, 카르타고, 카를 라너,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신경, 코이네 그리스어, 팍스 로마나, 유대교, 유월절, 윤리학, 율리우스력, 율법, 파울루스, 팔레스타인, 탈무드, 타키투스, 수에토니우스, 영지주의, 오리엔트 정교회, 예루살렘, 예루살렘 성전, 예배, 예수의 부활, 예수의 비유, 예수의 승천, 예수의 산상 설교, 예수의 십자가형, 예언자, 최후의 만찬, 헤로데 1세, 여호수아, 역대기, 역사, 역사적 예수, 엘리사, 엘리사벳, 엘리야, 엔도 슈사쿠, 사람, 사도 마태오, 사도 행전, 사도신경, 사회, 산헤드린, 살인, 삼위일체,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설교, 성령, 성경, 성공회, 성부, 성자 (삼위일체), 성직자, 성지주일, 성찬, 성사, 성서비평학, 세례자 요한, 서력기원, 토리노, 토리노의 수의, 토머스 제퍼슨, 토성, 소 플리니우스, 야고보 (예수의 형제), 야훼, 알라, 한국어, 한세대학교, 하느님, 하느님의 나라, 하나님, 암석, 아리우스, 아마디야 이슬람교 속 예수, 아브라함, 아담과 하와, 아우구스투스, 테오토코스, 식민지, , 신명기, 신약성경, 신학, 십자가, 시리아, 시나고그, 시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12년, 17세기, 33년, 49년, 64년, 7월 1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6 더) »

E. P. 샌더스

E.

새로운!!: 예수와 E. P. 샌더스 · 더보기 »

랍비

랍비의 모습 랍비(또는 rabbī)는 유대교의 현인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랍비 · 더보기 »

돼지

(Sus scrofa domesticus) 또는 집돼지는 가축화된 멧돼지(Sus scrofa)를 말. 멧돼지과에 속하며 학명은 Sus domestica 이. 전 세계에서 약 8억 4천 마리가 사육되어 사람들의 중요한 영양원이.

새로운!!: 예수와 돼지 · 더보기 »

도덕

덕(道德, 영어 "Morality"는 라틴어moralitas에서 유래했다.), 곧 "예의범절, 성품, 예의바른 행동"(manner, character, proper behavior")은 덕과 악덕을 분간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새로운!!: 예수와 도덕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예수와 독일 · 더보기 »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예수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라틴 민족

민족() 또는 로망스족()은 고대 라틴어 유래한 로망스어군의 언어들을 사용하는 인종 집단을 말하는 총칭이.

새로운!!: 예수와 라틴 민족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예수와 라틴어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예수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예수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군단

마 백인대장(재현) 로마 군단병 (재현) 로마 군단(Legion)은, 초기에는 그리스의 밀집 장창보병대와 다를 바 없었으나, 긴 역사를 통해 다양한 전술을 습득함으로써 근대 이전 가장 강력한 보병집단이 되었.

새로운!!: 예수와 로마 군단 · 더보기 »

로마 제국

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가 황제 지배 체제 혹은 원수정(principatus)을 사실상 시작한 기원전 27년부터 몰락까지의 로마를 일컫.

새로운!!: 예수와 로마 제국 · 더보기 »

루가

성 루가 루카스()는 기독교의 전승에 따라 루카스의 기쁜 소식과 사도행전의 편집자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

새로운!!: 예수와 루가 · 더보기 »

루가의 복음서

스의 기쁜 소식은 기독교의 신약성경에 포함된 복음서이.

새로운!!: 예수와 루가의 복음서 · 더보기 »

루카

()는 루크에서 비롯한 이탈리아어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루카 · 더보기 »

리처드 호슬리

리처드 호슬리()는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의 종교학과 교수이.

새로운!!: 예수와 리처드 호슬리 · 더보기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또는 마르크시즘() 혹은 엥겔스식 표현으로 과학적 사회주의는 사회 계급의 관계와 사회적 충돌에 초점을 둔 사회적 분석의 방법이자 세계관인데, 역사전개를 유물사관론적으로 해석하며, 사회 변동을 변증법적 견해로 해석.

새로운!!: 예수와 마르크스주의 · 더보기 »

마르코의 복음서

마르코스의 기쁜 소식은 기독교 신약성경의 하나로 예수의 행적과 가르침을 담은 복음서이.

새로운!!: 예수와 마르코의 복음서 · 더보기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기원전 18년경 – 서기 41년경)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어머니로 등장하는 갈릴래아의 나자렛 출신 유대인 여성이.

새로운!!: 예수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더보기 »

마리아의 평생 동정

마리아의 평생 동정은 기독교에서 성모 마리아가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의 몸으로 예수를 잉태하였을 뿐 아니라 예수를 낳은 후에도 평생 처녀의 몸으로 생활했다는 믿음이.

새로운!!: 예수와 마리아의 평생 동정 · 더보기 »

마커스 보그

마커스 보그(Marcus J. Borg, 1942년-2015년)은 미국의 성공회 신학자이자 신약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마커스 보그 · 더보기 »

마태오의 복음서

맛타이의 기쁜 소식은 기독교 신약성서의 처음에 나오는 복음서이.

새로운!!: 예수와 마태오의 복음서 · 더보기 »

마하트마 간디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1869년 10월 2일 ~ 1948년 1월 30일)는 인도의 정신적·정치적 지도자로,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마하트마'는 위대한 영혼이라는 뜻으로 인도의 시인인 타고르가 지어준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마하트마 간디 · 더보기 »

메시아

사무엘이 다윗에게 성유를 뿌리다, 두라 에우로포스, 시리아, 날짜: 서기 3세기 메시아는 아브라함의 종교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로서 "구원자", "해방자"의 의미로 사용.

새로운!!: 예수와 메시아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예수와 목성 · 더보기 »

무슬림

전 세계 무슬림의 비율 무슬림 무슬림(Muslim)은 이슬람의 제4 분사형으로 '복종의 행위를 취하는 사람'을 말. 즉 이슬람을 믿는 사람, 이슬람교도를 뜻. 무슬리마(Muslimah)라는 여성형 표현도 있으나, 보통 총칭할 때는 '무슬림'이.

새로운!!: 예수와 무슬림 · 더보기 »

무함마드

무함마드(570년 ~ 632년 6월 8일)는 이슬람의 예언자이며 성사(聖使)이.

새로운!!: 예수와 무함마드 · 더보기 »

미가서

미가는 유다 왕국의 예언자 미가(Micah)가 지은 책이.

새로운!!: 예수와 미가서 · 더보기 »

미신

미신(迷信)이란 종교적·과학적 관점에서 헛된 것으로 여겨지는 믿음이나 신앙이.

새로운!!: 예수와 미신 · 더보기 »

민중

민중(民衆)은 인민대중의 줄임말로, 일본이나 한국에서 국가나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민중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예수와 개신교 · 더보기 »

갈릴래아

릴래아 갈릴래아(←)은 이스라엘 북부 지방의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갈릴래아 · 더보기 »

반삼위일체론

반삼위일체론()은 다음과 같은 삼위일체론과 상충되는 이론이.

새로운!!: 예수와 반삼위일체론 · 더보기 »

바트 D. 어만

바트 D. 어만 바트 D. 어만 (Bart D. Ehrman, 1955년-)은 미국의 성서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바트 D. 어만 · 더보기 »

강도

강도(強盗)는 다른 사람의 재산을 빼앗는 범죄자를 말. 대한민국의 법(法)에서는 '폭행 또는 협박으로 타인의 재물을 강취하거나 기타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또는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는 자'라고 규정하고 있.

새로운!!: 예수와 강도 · 더보기 »

강생

강생(降生, incarnatio)는 기독교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하느님이 사람으로 나타나신 것 곧 무한한 존재이신 하느님이 유한한 존재인 사람이 된 사건을 가리.

새로운!!: 예수와 강생 · 더보기 »

박태식

박태식(朴泰植)(1957년 -)은 대한성공회 사제이자, 신약 성서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박태식 · 더보기 »

밀라노

밀라노()는 이탈리아의 북부에 있는 도시로, 롬바르디아 주의 주도이.

새로운!!: 예수와 밀라노 · 더보기 »

가브리엘

브리엘()은 ‘하느님의 사람, 영웅, 힘’이라는 뜻으로,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들에서에서 주로 하느님의 전령(傳令)으로 전해지는 대천사이.

새로운!!: 예수와 가브리엘 · 더보기 »

가나의 혼인잔치

14세기의 조토 디 본도네의 작품: Marriage at Cana 가나의 혼인잔치는 기독교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꾼 요한 복음서에 나오는 최초의 예수의 기적 이야기이.

새로운!!: 예수와 가나의 혼인잔치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새로운!!: 예수와 가톨릭 · 더보기 »

거룩한 무덤 성당

룩한 무덤 교회의 주요 출입구 에디큘 (그리스도의 무덤), 위에 로툰다의 돔이 보인다. 거룩한 무덤 성당(), 또는 성묘교회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예루살렘의 옛 도시 안에 있는 기독교 성당이.

새로운!!: 예수와 거룩한 무덤 성당 · 더보기 »

베들레헴

현대식 건물이 들어선 베들레헴 예루살렘으로부터 이어지는 베들레헴 입구. 베들레헴()은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있는 예루살렘에서 약 10여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작은 도시이.

새로운!!: 예수와 베들레헴 · 더보기 »

베드로

코라 성당에 중세 모자이크화로 그려진 성 베드로 베드로(1년경? ~ 66년 6월 29일)는 기독교의 사도로서, 예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예수와 베드로 · 더보기 »

베스파시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는 (9년 11월 17일 - 79년 6월 23일), 로마 제국의 아홉 번째 황제이.

새로운!!: 예수와 베스파시아누스 · 더보기 »

경제

경제(經濟)는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인간행위를 말.경제란 무엇인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 또는, 특정 국가 혹은 다른 나라의 생산, 교환, 분배 그리고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와 관련된 인간의 모든 활동을 가리.

새로운!!: 예수와 경제 · 더보기 »

공동번역성서

공동번역성서(共同翻譯聖書)는 대한민국의 천주교와 개신교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일환으로 공동으로 구성한 성서공동번역위원회가 1977년 부활절에 편찬한 한국어 성경이.

새로운!!: 예수와 공동번역성서 · 더보기 »

공관복음서

공관복음(共觀福音, Synoptic Gospels)또는 공관복음서(共觀福音書)란 고대 그리스어의 syn (함께)와 opsis (봄)이 합쳐진 낱말 Synopsis를 한자어로 직역한 말이.

새로운!!: 예수와 공관복음서 · 더보기 »

복음

독교에서 복음(福音)이란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에게 가져다 준 구원에 관한 '좋은 소식'을 한자어로 풀이한 것으로서 하느님의 나라의 도래,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로 인한 하느님과 인류 사이의 관계 회복을 의미.

새로운!!: 예수와 복음 · 더보기 »

복음사가 마르코

마르코(개역성경: 마가)는 기독교 최초의 복음서로 알려진 '마르코스의 기쁜 소식'의 저자이자 초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여겨지는 인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공경하는 성인이.

새로운!!: 예수와 복음사가 마르코 · 더보기 »

복음서

복음서(福音書)란 고대 그리스어의 '좋은 소식'이라는 뜻을 가진 ‘유앙겔리온’(Ευαγγέλιον: euangelion, 라틴어 Evangelium)을 한자어로 풀이한 것으로서, 기독교에서는 문서나 구전 형태로 내려오던 예수전승(Jesus Traditional)을 복음서 저자들이 기술한 신학적 문헌들을 뜻. 《복음서신학》/김득중 지음/컨콜디아 흔히 신약성경의 마태오 복음서부터 요한 복음서까지의 네가지 복음서를 일컬어 사복음서라 하며, 요한 복음서를 제외한 세가지 복음서를 공관복음서라고 구분.

새로운!!: 예수와 복음서 · 더보기 »

계몽주의

몽의 순간에 지혜의 신인 로마의 여신 미네르바가 빛을 비추는 동안 전세계의 종교들이 회합함, 다니엘 호도비에츠키(Daniel Chodowiecki) 1791년 작 계몽주의(啓蒙主義)란 프랑스어로 Siècle des Lumières '빛의 세기'를 뜻하는 말로 17세기, 18세기에 유럽과 신세계를 휩쓴 정치, 사회, 철학, 과학 이론 등에서 광범하게 일어난 사회 진보적, 지적 사상운동으로, 현재의 자본주의의 근간이며 계몽사상(啓蒙思想)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예수와 계몽주의 · 더보기 »

부활절

부활절에 찬양하는 모습 수원 사명의 교회 부활절(復活節, Easter) 또는 부활절기(復活節氣)는 십자가에 달려 사망한 예수가 사흘(3일)만에 부활했음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축일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예수와 부활절 · 더보기 »

그레고리력

리력(Gregorian calendar)은 현재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이 역법을 시행했기 때문에 그레고리력이라고 부른.

새로운!!: 예수와 그레고리력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예수와 그리스도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예수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인

독교인(基督敎人), 기독교도(基督敎徒), 기독인(基督人) 또는 그리스도인()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성경에서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기독교인 · 더보기 »

빵 빵()은 곡식 가루와 물로 된 반죽을 굽거나 찌거나 튀겨서 만든 음식이.

새로운!!: 예수와 빵 · 더보기 »

비티니아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비티니아(Bithynia, Βιθυνία)는 왼쪽 위에 위치한다 로마 제국의 비티니아 속주, (120년 경) 비티니아(그리스어:Βιθυνία, 라틴어: Bithynia)는 소아시아 북부 흑해에 접한 지역을 부르던 고대의 지명으로, 같은 이름의 왕국이 있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일개 속주였.

새로운!!: 예수와 비티니아 · 더보기 »

김득중 (1941년)

득중(金得中, 1941년 ~)은 대한민국의 감리교 신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김득중 (1941년) · 더보기 »

꾸란

((回經)) 또는 쿠란, 코란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610년 이후 23년간 알라(알라는 '하나님'이라는 의미이다.)에게 받은 계시를 구전으로 전하다가 그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이 여러 장소에서 여러 시대를 걸쳐 기록한 기록물들을 모아서 집대성한 책으로, 이 계시는 무함마드가 40세 무렵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히라산 동굴에서 천사 지브릴을 통해 처음 받았.

새로운!!: 예수와 꾸란 · 더보기 »

교부

부(敎父)는 2세기 이후부터 기독교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이들을 일컫.

새로운!!: 예수와 교부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교회 · 더보기 »

구세주

세주(救世主, 영어: Savior/Saviour)는 "세상을 구원하는 자"란 뜻으로 종교적 의미에서 신앙의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새로운!!: 예수와 구세주 · 더보기 »

구원

원(한자: 救援, 영어: Salvation, 독어: Erlösung)은 일반적으로 어떤 것에서 구출되고 해방되는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신학에서 쓰이는 용어로서는 주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

새로운!!: 예수와 구원 · 더보기 »

나자렛의 요셉

자렛의 요셉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자 예수 그리스도를 키운 양부.

새로운!!: 예수와 나자렛의 요셉 · 더보기 »

나사렛

사렛의 광경 나사렛()은 이스라엘이 관할하고 있는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위치한 고대 도시이.

새로운!!: 예수와 나사렛 · 더보기 »

네로

(Nero)는 로마 제국의 제5대 황제(37년 12월 15일~68년 6월 9일, 재위 54년 10월 13일 - 68년 6월 9일)이자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

새로운!!: 예수와 네로 · 더보기 »

네스토리우스

스토리우스(386년? ~ 451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이며, 재직기간은 428년 4월 10일에서부터 431년 6월 22일까지이.

새로운!!: 예수와 네스토리우스 · 더보기 »

다윗

King David of Israel 다윗 왕()(생애기간: 기원전 1107년 - 기원전 1037년)은 이스라엘 왕국의 제 2대 왕으로서 40년 간(기원전 1077년 - 기원전 1037년) 통치하였.

새로운!!: 예수와 다윗 · 더보기 »

단식

식(斷食)은 특정 목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음식과 음료의 섭취를 자발적으로 끊는 행위를 말. 최저의 생명 유지를 위해 물을 마시는 경우도 있. 식량을 섭취하지 않는 것을 절식이라고도 말하며, 일정 기간 (보통 48~72 시간) 동안 절식하면 몸은 식량의 공급이 정지했다고 판단하여 몸 안에 축적하고 있던 영양을 소비.

새로운!!: 예수와 단식 · 더보기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스 토머스 라이트 혹은 톰 라이트(약칭 N.T Wright) 주교(1948년 12월 1일~)는 영국 성공회 주교 겸 기독교 신약성서 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 더보기 »

니케아 신경

아 신경(-信經)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를 비롯한 이단을 단죄하고 정통 기독교 신앙을 수호하기 위해 기독교회가 채택한 신앙 고백문이.

새로운!!: 예수와 니케아 신경 · 더보기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아-콘스탄티노폴시스 신경 (또는)은 니케아 신경을 기초로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채택된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문이.

새로운!!: 예수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 더보기 »

INRI

INRI가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십자고상. 이콘. INRI()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유다인들의 임금, 나자렛 사람 예수" 이란 뜻을 가진 기독교의 두문자어이.

새로운!!: 예수와 INRI · 더보기 »

트라야누스

이아누스(Traianus)는 로마 제국의 제13대 황제(53년 9월 18일 - 117년 8월 7일)이.

새로운!!: 예수와 트라야누스 · 더보기 »

요한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는 공관복음서와 더불어 4복음서를 이루는 복음서이.

새로운!!: 예수와 요한의 복음서 · 더보기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독일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이자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예수와 요하네스 케플러 · 더보기 »

요셉

요셉과 그의 형제들 요셉(히브리어: יוֹסֵף "그(하느님, 하나님)가 더한다", 아랍어: يوسف, 영어:joseph)는 구약성서 창세기과 함께 꾸란의 요셉장에 나오는 주요 인물 중 하나이.

새로운!!: 예수와 요셉 · 더보기 »

튀니지

() 또는 튀니지 공화국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예수와 튀니지 · 더보기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自由主義神學, liberal theology, liberal christianity)은 18세기 계몽주의, 경건주의 그리고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기독교 신학을 말.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성서를 인간의 이성, 감정, 경험으로 이해하였.

새로운!!: 예수와 자유주의 신학 · 더보기 »

재판

재판(裁判)이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이 대외적으로 법적 판단 내지 의사표시에 관한 사항을 알리는 것을 말.

새로운!!: 예수와 재판 · 더보기 »

힌두교

'''옴(AUM)''': 힌두교에서 부르는 깨닫는 소리 힌두교()는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종교로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 널리 믿어지고 있는 종교이.

새로운!!: 예수와 힌두교 · 더보기 »

크리슈나

리슈나 크리슈나(Krishna)는 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영웅이.

새로운!!: 예수와 크리슈나 · 더보기 »

클라우디우스

우디우스(Claudius)는 로마 제국의 제4대 황제(기원전 10년 8월 1일 - 54년 10월 13일)이.

새로운!!: 예수와 클라우디우스 · 더보기 »

포도주

주(葡萄酒) 또는 와인() 혹은 뱅()은 포도를 으깨서 나온 즙을 발효시킨 술을 말. 제조 방법상 양조주 중 과실주에 해당.

새로운!!: 예수와 포도주 · 더보기 »

폭력

학살은 극악의 폭력이다.나치에 의해 부헨발트 집단수용소에 갇힌 수감인들. 폭력(暴力)은 신체적인 손상을 가져오고, 정신적·심리적인 압박을 가하는 물리적인 강제력을 말. 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 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

새로운!!: 예수와 폭력 · 더보기 »

폭행죄

폭행죄(暴行罪)는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 성립하는 범죄이.

새로운!!: 예수와 폭행죄 · 더보기 »

폰티우스 필라투스

안토니오 시세리의 '에케 호모'(이 사람을 보라). 빌라도(그림 가운데)는 좌측의 예수를 군중들에게 가리키고 있다. 폰티우스 필라투스(재임:기원후26년~36년)는 초기 고대 로마 유대(Juda) 지방의 총독이.

새로운!!: 예수와 폰티우스 필라투스 · 더보기 »

이스라엘

이스라엘국()은 서부 아시아의 남쪽, 이집트의 동쪽에 있는 중동 국가이.

새로운!!: 예수와 이스라엘 · 더보기 »

이스가리옷 유다

예수에게 입맞춤을 하는 이스가리옷 유다 이스가리옷 유다() 또는 가리옷 사람 유다, 가룟 유다는 신약성서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었으나, 나중에 예수를 배반하여 기독교에서는 최대의 죄인이자 악마의 하수인, 배신자의 대명사로 불린.

새로운!!: 예수와 이스가리옷 유다 · 더보기 »

이슬람교

이슬람()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알라를 단일신으로 삼는 종교이.

새로운!!: 예수와 이슬람교 · 더보기 »

이슬람의 예언자

이슬람의 성서인 꾸르안에서는 알라가 모든 민족에게 예언자를 내려보냈다고 하고 있으며, 하디쓰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그 예언자의 수는 124,000명에 이른.

새로운!!: 예수와 이슬람의 예언자 · 더보기 »

이크티스

right 이크튀스(대문자 표기로)는 ‘물고기’라는 뜻이.

새로운!!: 예수와 이크티스 · 더보기 »

이집트

이집트 아랍 공화국(-共和國), 줄여서 이집트() 또는 애급 (Egypt, 埃及)은 아프리카의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나라로, 시나이 반도를 통해 서아시아와 이어져 있. 영토 면적은 100만1450 km²로, 북쪽에는 지중해, 북동쪽으로는 가자 지구와 이스라엘과 접하고 있고, 동쪽에는 홍해, 남쪽에는 수단, 서쪽에는 리비아가 있. 약 9천만 명의 인구 중 90% 이상이 이집트 전체 면적의 약 5%를 차지하는 나일 강변에 거주하는데, 나일 강변의 약 3만6천 km²는 이집트에서 거의 유일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새로운!!: 예수와 이집트 · 더보기 »

이사야

Providence Lithograph Company가 출판한 예언자 이사야의 그림 (1904년 경) 이사야(Isaiah, /aɪˈzeɪ.ə/ 또는 영국에서 /aɪˈzaɪ.ə/, יְשַׁעְיָהוּ,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B. M. Wheeler, Appendix IIشعيا)는 이사야: 전문mc, 기독교타임즈 기자 기원전 8세기 유다 왕국에 살았던 예언자이.

새로운!!: 예수와 이사야 · 더보기 »

이사야서

이사야서(-書)는 흔히 구약성서라고 불리는 히브리 성서의 한 책이자, 기독교 구약성서의 23번째 책으로, 총 66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통적으로 이사야가 저자로 알려져 있.

새로운!!: 예수와 이사야서 · 더보기 »

이성

프란시스코 고야, 〈이성이 잠들면 괴물이 눈뜬다〉 이성(理性)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동물과 구별시키는 인간 특유의 뛰어난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여러 가지 뜻을 갖.

새로운!!: 예수와 이성 · 더보기 »

일신교

일신교(一神敎Monotheism,توحيد) 또는 유일신교(唯一神敎)는 오직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새로운!!: 예수와 일신교 · 더보기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아 공의회(Concilium Nicaenum Primum)는 325년 6월 19일 니케아(Nicaea, 현재 터키의 이즈니크) 황제의 별궁에서 열린 기독교의 공의회이.

새로운!!: 예수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더보기 »

제임스 던

제임스 던(James D.G. Dunn)은 영국의 성서학자이며 스코틀랜드 교회의 목회자이며 감리교도이.

새로운!!: 예수와 제임스 던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예수와 정치 · 더보기 »

정신 질환

정신 질환(精神疾患) 또는 정신 장애(精神障碍)는 보통 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으로, 크게 정신증과 신경증으.

새로운!!: 예수와 정신 질환 · 더보기 »

조리돌림

이정재 외 폭력배들 조리돌림은 형벌의 일종으로서 육체적 체벌은 없지만 해당 죄인의 죄상을 아주 노골적으로 드러내서 죄인으로 하여금 수치심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고의로 망신을 주는 행위이.

새로운!!: 예수와 조리돌림 · 더보기 »

존 도미니크 크로산

존 도미니크 크로산(1934년-)은 아일랜드 태생의 로마 가톨릭 교회 신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존 도미니크 크로산 · 더보기 »

존 셸비 스퐁

존 셸비 스퐁 주교(Bishop John Shelby Spong, 1931년 6월 16일 ~)는 미국의 성공회 주교(Episcopal Bishop)로, 1979년부터 2000년까지 성공회 뉴왁 교구(Episcopal Diocese of Newark) 교구장을 맡았.

새로운!!: 예수와 존 셸비 스퐁 · 더보기 »

종려과

종려과(棕櫚科) 또는 야자과(椰子科)는 종려목의 유일한 과이.

새로운!!: 예수와 종려과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예수와 종교 · 더보기 »

주 (기독교)

주(主)는 기독교에서는 야훼(여호와)에 대한 일반적인 호칭으로, 삼위일체에 따라 예수나 성령을 '주'로 표현.

새로운!!: 예수와 주 (기독교)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예수와 주교 · 더보기 »

주님의 기도

주님의 기도는 기독교의 기도문이.

새로운!!: 예수와 주님의 기도 · 더보기 »

죄(罪)는 규범이나 윤리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행위를 말. 일반 사전에서는 죄(罪)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이 정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교에서는 대체로 '하나님의 계명' 또는 '도리'와 같은 어떤 불변의 법칙, 이치 또는 명령(즉 천명)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하고, 법률에서는 미리 정해진 조목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

새로운!!: 예수와 죄 · 더보기 »

질병

병(疾病)이란 유기체의 신체적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된 상태를 일컫.

새로운!!: 예수와 질병 · 더보기 »

진보

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예수와 진보 · 더보기 »

지중해

중해의 위성 사진 지중해(地中海)는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바다로, 해역 대부분이 세 개의 주요 대륙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특징이.

새로운!!: 예수와 지중해 · 더보기 »

찬가

(讚歌)는 일반적으로 종교에서 부르는 노래 종류 가운데 하나로서, 신과 같은 신성한 대상을 찬양하고 경배하고 기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새로운!!: 예수와 찬가 · 더보기 »

참행복

제임스 티솟의 그림. The Beatitudes Sermon. 부르클린 미술관 1890년 경 참행복(beatitudes, beatitudines)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산상 설교에서 한 행복 선언의 내용을 이르는 말로, 마태복음의 산상수훈에 등장.

새로운!!: 예수와 참행복 · 더보기 »

체포

2007년 이라크 전쟁 당시 어떤 사람을 체포중인 미군 병사 체포(逮捕)는 형법에 의거하여,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구속을 가하여 행동의 자유를 빼앗는 일을 말. 주로 형법에 의거하여 경찰, 군대 등 공권력을 가진 기관에서 현행범을 체포할때 행해지며, 혹은 검사가 체포영장에 의거한 체포나, 긴급 체포를.

새로운!!: 예수와 체포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예수와 천문학 · 더보기 »

초기 기독교

독교(Early Christianity), 또는 초대교회는 기원후 약 30년경 예수 승천 이후 유대교에서 분리된 초기 기독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초기 기독교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예수와 초신성 · 더보기 »

카르타고

르타고(페니키아어: Kart-Hadasht)는 현재 튀니지 일대에 위치해 있던 페니키아인 계열의 고대 도시로, 이 이름은 고대 로마인들이 부른 것으로서 페니키아어(語)로는 콰르트하다쉬트(새로운 도시)이며, 그리스인은 칼케돈이라 불.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로마와 패권 다툼을 벌였으며, 기원전 146년 제3차 포에니 전쟁에 패배하여 로마 공화정의 아프리카 속주의 일부가 되었.

새로운!!: 예수와 카르타고 · 더보기 »

카를 라너

를 라너(1904년 3월 5일 - 1984년 3월 30일)은 독일의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로 버나드 로너건, 앙리 드 뤼박,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이브 콩가르 등과 더불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예수와 카를 라너 · 더보기 »

칼케돈 공의회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는 451년 10월 8일부터 11월 1일까지 소아시아의 비티니아의 도시 칼케돈(현재의 터키)에서 열렸던 기독교의 공의회이.

새로운!!: 예수와 칼케돈 공의회 · 더보기 »

칼케돈 신경

신경 또는 칼케돈 신앙 정식은 서기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채택한 신앙 고백이.

새로운!!: 예수와 칼케돈 신경 · 더보기 »

코이네 그리스어

이네 그리스어(또는 공통 그리스어("공통의 방언")또는 간단히 코이네는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기에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어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고대 그리스와 지중해 연안을 정복한 기원전 4세기 무렵 태동하여 고전 시대 지중해 지역의 링구아 프랑카로서 사용되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방언 가운데 아티케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하고 이오니아 그리스어가 관여하여 형성된 언어로, 지중해 각 지역의 언어와 섞여 쓰였기 때문에 여러 방언 형태가 있었다.Bubenik, V. (2007). "The rise of Koiné". In A. F. Christidis.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s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42–345.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기간 사용되면서 지역과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변화하였다. 훗날 코이네 그리스어는 4세기 콘스탄티노플로 천도한 로마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어 중세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바탕이 되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현대 그리스어와 단어의 어근은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어미 변화, 동사의 변화, 문법, 자음과 모음 발음 차이가 있다. 단어에 사용되는 방점의 방식도 다르며, 코이네 그리스어 모음의 장음, 복모음 음가는 현대 그리스어에서 약화되었거나, 단음화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 문헌작성과 전산문헌작성에서는 현대 그리스어와 고대 그리스어를 구분하는 입력방식을 제공한다. 고전 시대 이후 많은 부문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로 문헌이 남았다, 서로마제국이 붕괴된 이후에도 동로마제국인 비잔틴 제국을 중심으로 코이네 그리스어가 문화, 경제, 법학, 종교 언어로 쓰였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플루타르코스와 폴리비오스 같은 역사가들의 저작이 있다. 기독교의 신약 성서도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으며, 고대 히브리어로 된 종래의 타나크(구약성경)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옮긴 70인역, 그리고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인 교부들부터 이후 신학사상 및 교회 관련 주요 문헌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고 고대 기독교의 중요 언어로 사용되었다. 서로마제국 붕괴 이후 로마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 기독교 신학계에서도 주요 사상은 코이네 그리스어를 번역한 라틴어 용어나 음차한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는 성서 그리스어, 신약 그리스어, 또는 교부 그리스어로 불리며, 한국 신학계에서는 흔히 '헬라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새로운!!: 예수와 코이네 그리스어 · 더보기 »

팍스 로마나

트라야누스 시기의 로마 제국의 영토 팍스 로마나() 또는 로마의 평화는 로마 제국이 전쟁을 통한 영토 확장을 최소화하면서 오랜 평화를 누렸던, 1세기와 2세기경의 시기를 말. 초대 황제인 아우구스투스가 통치하던 시기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의 평화(Pax Augusta)’로 불리.

새로운!!: 예수와 팍스 로마나 · 더보기 »

유대교

유대교() 또는 유태교(猶太敎), 유다교는 유대인들의 '신앙과 철학이며 삶의 방식'이.

새로운!!: 예수와 유대교 · 더보기 »

유월절

유월절(逾越節) 또는 과월절(過越節), 페사흐(), 파스카()는 유대인들이 이집트 신왕국의 노예 생활로부터 탈출한 사건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의 3절기 중 봄에 지내는 절기이.

새로운!!: 예수와 유월절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예수와 윤리학 · 더보기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고대 로마의 정치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해 기원전 45년부터 시행한 양력(陽曆) 역법이.

새로운!!: 예수와 율리우스력 · 더보기 »

율법

율법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예수와 율법 · 더보기 »

파울루스

울루스(Paulus)는 라틴어로 “작은” 또는 “낮은”이라는 뜻의 로마식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파울루스 · 더보기 »

팔레스타인

스타인국()은 팔레스타인 지역 중 팔레스타인 영토 지역(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을 가리키며 제1차 중동 전쟁 이후의 국경이자 제3차 중동 전쟁 이전의 국경을 가리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 국가이.

새로운!!: 예수와 팔레스타인 · 더보기 »

탈무드

무드()는 모세가 전하였다는 또 다른 율법.

새로운!!: 예수와 탈무드 · 더보기 »

타키투스

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Publius Cornelius Tacitus, 56년 - 117년), 고대 로마의 역사.

새로운!!: 예수와 타키투스 · 더보기 »

수에토니우스

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리우스(Gaius Suetonius Tranquillus, 69년 - 130년 이후)는 로마 제국 오현제 시대의 역사가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예수와 수에토니우스 · 더보기 »

영지주의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는 고대에 존재하였던 혼합주의적 종교 운동 중 하나로, "Gnosticism" 항목,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새로운!!: 예수와 영지주의 · 더보기 »

오리엔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urch, Oriental Orthodoxy) 또는 오리엔탈 정교회는 에페수스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에서 결의된 교리를 거부한 서아시아, 이집트, 에티오피아의 전통 기독교 교회들이.

새로운!!: 예수와 오리엔트 정교회 · 더보기 »

예루살렘

Dome In Jerusalem, The Capital City Of State Of Palestine Dome in Jerusalem The Capital City Of Palestine PALESTINE POUND 예루살렘()은 예로부터 종교 분쟁에서 불씨가 되어온 중동에 있는 도시.

새로운!!: 예수와 예루살렘 · 더보기 »

예루살렘 성전

예루살렘 성전 또는 거룩한 성전()은 예루살렘의 성전 산(하르 하바이트)에 있었.

새로운!!: 예수와 예루살렘 성전 · 더보기 »

예배

예배(禮拜)는 문자적으로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 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에게 존경과 숭앙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말. 각 종교마다 예배의 구체적 의미와 형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

새로운!!: 예수와 예배 · 더보기 »

예수의 부활

노엘 쿠아펠의 예수의 부활, 1700년. 예수의 부활(resurrection of Jesus, 復活)은 안식일 전날(현재의 금요일)에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가 안식일 다음날(현재의 일요일)에 무덤에서 되살아 난 것을 말. 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믿음은 기독교의 가장 중심적인 신앙 내용을 형성하고 있. 이것은 단순히 한 인간이 죽음에서 되살아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가 죽음을 이기고 되살아 난 것으로 스스로 하느님이자 인간임을 보여 주는 것이며 나아가 그를 믿는 모든 자에게 구원이 됨 보여주는 사건이.

새로운!!: 예수와 예수의 부활 · 더보기 »

예수의 비유

구에르치노의 작품: 방탕한 아들의 비유. 예수의 비유는 기독교의 사복음서와 정경에 속하지 않는 복음서 일부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로, 주로 세 개의 공관복음서에서.

새로운!!: 예수와 예수의 비유 · 더보기 »

예수의 승천

예수의 부활, 1520년, 벤베누토 티시 작품 예수의 승천은 예수가 부활한 뒤 열한 제자가 있던 가운데에서 천국으로 올라간 뒤 하늘나라에서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았다는 기독교의 믿음이.

새로운!!: 예수와 예수의 승천 · 더보기 »

예수의 산상 설교

《산상 설교》 - 카를 하인리히 블로흐 작품. 산상 설교(山上說敎, Sermo montanus)는 예수 그리스도가 30년 경에 그의 제자들과 군중들에게 설교한 일을 뜻하는 기독교 용어로 산상수훈이.

새로운!!: 예수와 예수의 산상 설교 · 더보기 »

예수의 십자가형

작품명: ''The Crucifixion'', 1622년, 제노바에서의 시몽 부에 그림. 예수의 십자가형과 잇따르는 죽음은 기원 후 1세기 동안 벌어진 사건이.

새로운!!: 예수와 예수의 십자가형 · 더보기 »

예언자

벤자민 웨스트의 그림 '숯불로 정화된 이사야의 입술'. 예언자(豫言者, 영어: prophet)는 일반적으로 앞일을 미리 말하는 사람이라는것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들은 야훼의 말씀을 전달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예수와 예언자 · 더보기 »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Santa Maria delle Grazie)에 전시하기 위해 그렸음. 최후의 만찬(最後의晚餐)또는 마지막 만찬, 주의 만찬은 기독교의 신약성서에 기술된 장면 가운데 하나로, 예수 그리스도가 수난을 당하기 전날 밤(성력 1월14일 저녁), 열두 제자들과 함께 가진 저녁 식사 또는 그 저녁 식사 자리에서 일어났던 일을 말.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 교회에 있는 벽화이.

새로운!!: 예수와 최후의 만찬 · 더보기 »

헤로데 1세

300px 헤로데 1세(기원전 73년경 ~ 기원전 4년) 또는 헤로데 대왕(), 헤롯(개역한글판)은 로마 제국 시대에 유대 지방에 분봉된 왕, 즉 로마제국이 유대를 간접 지배하기 위해 유대의 왕으로 임명한 자이.

새로운!!: 예수와 헤로데 1세 · 더보기 »

여호수아

여호수아는 타나크에 나오는 인물로 모세 사후 유대인들의 지도자로 본명은 호세아로 눈의 아들로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예수와 여호수아 · 더보기 »

역대기

역대기(歷代記)는 히브리어 성경(유대교 성경과 기독교의 구약성경)의 일부이.

새로운!!: 예수와 역대기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예수와 역사 · 더보기 »

역사적 예수

독교의 예수 이미지 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 歷史的 -)는 1세기 팔레스타인에서 살았던 나사렛의 예수에 대한 역사비평 방법(critical historical methods)을 사용한 연구주제이.

새로운!!: 예수와 역사적 예수 · 더보기 »

엘리사

엘리사(Elisa)는 다음을 뜻.

새로운!!: 예수와 엘리사 · 더보기 »

엘리사벳

마리아를 맞이하는 엘리사벳 엘리사벳()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성모 마리아의 사촌이자 세례자 요한의 어머니이.

새로운!!: 예수와 엘리사벳 · 더보기 »

엘리야

Eastern Orthodox icon of the prophet Elijah, depicted with a disciple 엘리야(Elijah)는 구약성서 열왕기상에 나오는 야훼의 예언자로 구약성서에서 모세, 사무엘 등과 함께 위대한 예언자로 꼽힌.

새로운!!: 예수와 엘리야 · 더보기 »

엔도 슈사쿠

엔도 슈사쿠, 1954년 엔도 슈사쿠(遠藤周作, 1923년 3월 27일 ~ 1996년 9월 29일)는 일본의 작가이.

새로운!!: 예수와 엔도 슈사쿠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예수와 사람 · 더보기 »

사도 마태오

맛타이(한국어 음역: 맛타이, 가톨릭: 마태오, 개역성경: 마태)는 사도,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예수와 사도 마태오 · 더보기 »

사도 행전

사도행전(使徒行傳, Acts of the Apostles)은 예수가 승천한 이후 사도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예수와 사도 행전 · 더보기 »

사도신경

사도신경(使徒信經) 또는 사도신조는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신앙고백의 하나로 주로 서방교회에서 기도문으로 활용.

새로운!!: 예수와 사도신경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예수와 사회 · 더보기 »

산헤드린

산헤드린(synedrion, sanhderin 모여 앉는다)은 모든 유대의 도시에 유대교 법에 의해 세워진 23명의 판관들의 모임이.

새로운!!: 예수와 산헤드린 · 더보기 »

살인

살인(殺人)은 다른 사람을 살해하는 전반적인 행위이.

새로운!!: 예수와 살인 · 더보기 »

삼위일체

삼위일체(三位一體)란 기독교의 성경적 신학적 중요한 교리이.

새로운!!: 예수와 삼위일체 · 더보기 »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요세푸스의 것이라 전해지는 로마 시대의 흉상.Plagnieux, P. 'Les sculptures Romanes' Dossiers d'Archéologie (January 2001) pg 15 플라비우스 요세푸스(기원후 37년 경 ~ 100년 경)는 1세기 제정(帝政) 로마 시대의 유대인 출신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

새로운!!: 예수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 더보기 »

설교

설교(說敎)는 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성경을 해석하는 예배의 순서이.다른 종교에서도 “설교”가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기독교에 한정.

새로운!!: 예수와 설교 · 더보기 »

성령

성령(聖靈)은 기독교의 성삼위 또는 삼위일체 교리에서 하나님을 이루는 세 위격(페르소나,Hypostasis)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성령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예수와 성경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예수와 성공회 · 더보기 »

성부

성부(聖父)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에서 말하는 제1위를 지칭하는 호칭이.

새로운!!: 예수와 성부 · 더보기 »

성자 (삼위일체)

성자(聖子)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에서 제2위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예수와 성자 (삼위일체) · 더보기 »

성직자

성직자 성직자(聖職者)는 신학교육 등을 통해 종교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종교지도자를 말. 이들은 종교를 믿는 신도들을 종교집회나 교리교육을 통해 지도할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

새로운!!: 예수와 성직자 · 더보기 »

성지주일

성지주일(), 주님 수난 성지주일, 또는 종려주일은 그리스도교에서, 예수가 십자가형을 앞두고 예루살렘으로 입성할 때, 군중들의 환영을 받은 일을 기념하는 날을 말. 매년 부활절 일주일을 앞둔 일요일로, 이 날부터 7일간은 성(聖)주간으로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념하는 고난주간으.

새로운!!: 예수와 성지주일 · 더보기 »

성찬

성찬() 또는 성만찬(The Holy Communion), "주님의 만찬"은 기독교의 성례전(Sacrament, 또는 성사)중 하나이며, 최후의 만찬 때 그리스도가 자신의 죽음을 기념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라고 하셨다는 복음서 말씀을 따르는 성례전 또는 성사이.

새로운!!: 예수와 성찬 · 더보기 »

성사

성사() 또는 성례전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혜가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전달되는,쉽게 말해서 하느님의 은혜를 받는 기독교의 예식이.

새로운!!: 예수와 성사 · 더보기 »

성서비평학

성서비평학 또는 성경비평학은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 즉 기독교에서 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사실성, 양식과 문학적인 요소(문체 등), 저자가 사용한 자료, 자료의 편집구조, 저자가 사용한 수사학 등을 비평하는 학술적인 읽기 방법을 말.

새로운!!: 예수와 성서비평학 · 더보기 »

세례자 요한

세례자 요한(洗禮者 -)은 기원전 1세기 말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심판주로 묘사하는 설교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세례자이자 예수가 세상에 온다고 예고한 예언자이.

새로운!!: 예수와 세례자 요한 · 더보기 »

서력기원

서력기원(西曆紀元), 약칭 서기(西紀)는 예수 탄생을 기원(紀元)으로 한 서양 기독교 문화권에서 사용해 온 기년법의 책력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 서기는 일반적인 다른 역법·연호 체계와 마찬가지로 0년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레고리력의 1년을 기원, 곧 ‘시작하는 해’로 삼. 로마자 약어로 기원후는 AD(‘주의 해(年)에’)로, 기원전은 BC(‘예수 이전에’)를 주로 써왔.

새로운!!: 예수와 서력기원 · 더보기 »

토리노

리노의 야경 토리노()는 이탈리아 북서부의 산업 도시로 피에몬테 주의 주도이자 토리노 현의 현도이.

새로운!!: 예수와 토리노 · 더보기 »

토리노의 수의

1898년에 촬영한 토리노 수의의 윗부분. 포지티브 이미지보다 네거티브 이미지가 더욱 선명하게 사람의 형태를 나타낸다. 토리노의 수의는 예수의 장례식 때 사용된 수의로 알려져 있는 유물이.

새로운!!: 예수와 토리노의 수의 · 더보기 »

토머스 제퍼슨

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년 4월 13일 ~ 1826년 7월 4일)토머스 제퍼슨의 출생일은 신력인 그레고리력에서 기초한 것이.

새로운!!: 예수와 토머스 제퍼슨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예수와 토성 · 더보기 »

소 플리니우스

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 (기원후 61년 - 112년), 아명은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혹은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킬로()이며 흔히 소 플리니우스라 부른.

새로운!!: 예수와 소 플리니우스 · 더보기 »

야고보 (예수의 형제)

의인 야고보(Saint James the Just) 그리스어:Iάκωβος), (AD 62년 사망)는, 의인 야고보(James the Just), 예루살렘의 야고보(James of Jerusalem), 하느님의 형제 야고보(James Adelphotheos), 또는 야고보, 주의 형제(James, the Brother of the Lord)라고도 불린다. 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그는 첫 번째 예루살렘의 주교이고, 신약성서 야고보서의 저자이다. 후에 서기 62년 네로의 박해로 총독 안나스의 손에 순교당했다고 전해진다. 다소의 파울로스는 갈라디아서 2:9에서 "기둥으로 인정받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이라고 언급하여, 야고보가 교회의 기둥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영향력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야고보는 바울과 신학적으로 갈등을 겪은 인물이기도 한데, 이는 헬라파 기독교 지도자 바울이 믿음을 강조하며, 율법을 지키지 말라고 가르친다는 소문으로 인해, 바울을 유대민족의 전통을 위배하는 이단자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신약성서에서 "주의 형제"로서 언급되며, 성 야고보 기도문에서는 "하느님의 형제"로 언급된다.(Adelphotheos).

새로운!!: 예수와 야고보 (예수의 형제) · 더보기 »

야훼

야훼, 또는 야웨()는 유대교의 유일신의 고유한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야훼 · 더보기 »

알라

알라 (الله, Allāh) 는 아브라함계 종교에서의 유일신 야훼의 아랍어 호칭으로, 이슬람교에서 사용되는 호칭이.

새로운!!: 예수와 알라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예수와 한국어 · 더보기 »

한세대학교

세대학교(韓世大學校, Hansei University)는 사립 종합대학교로써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에 있. 1953년 여의도순복음교회 재단에서 설립된 이후 1985년 대학학력 인정교로, 1998년부터 한세대학교로 교명을 바꾸고 종합대학교로 바뀌었.

새로운!!: 예수와 한세대학교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예수와 하느님 · 더보기 »

하느님의 나라

의 나라(Βασιλεία του Θεου 바실레이아 투 테우), 천국, 하늘나라, 하나님(의) 나라는 성서에 근거하여 기독교와 유대교에서 찾을 수 있는 신학적 개념이며, 앞으로 다가올 그리고 현재 확장되어가는 미래적이고 현재적인 신의 통치를 뜻.《믿음 그리고 행함》-하나님나라/김영재 지음/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P.85-86 신약성서에서는 예수가 하나님의 나라를 "천국", "(내) 아버지(의) 나라", "주의 나라", "그(분의) 나라"라고 표현.

새로운!!: 예수와 하느님의 나라 · 더보기 »

하나님

은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및 이슬람교에서 그들의 신을 일컫는 데 사용하는 용어로, 하느님은 '한분'이시다, 는 유일신 사상에 그 기본뿌리를 두고 정하고 있. 하나님은 절대적 최고자(God), 만물의 창조자, 만물의 주재자 등을 일컫.

새로운!!: 예수와 하나님 · 더보기 »

암석

코스타리카 오로시 근처의 산 시내의 바위면 암석(巖石)은 광물이나 조암 광물이 자연적으로 모여 이루어진 고체이.

새로운!!: 예수와 암석 · 더보기 »

아리우스

섬네일 아리우스(Arius, 250년 또는 256년 - 336년)는 초기 기독교시대에 활동했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신학자이.

새로운!!: 예수와 아리우스 · 더보기 »

아마디야 이슬람교 속 예수

유즈아삽(Yuzasaf) 은 발람(Barlaam)과 조사팻(Josaphat)의 전설에 싯다르타 고타마의 이름이.

새로운!!: 예수와 아마디야 이슬람교 속 예수 · 더보기 »

아브라함

아들 이삭을 죽이려는 아브라함 아브라함(BC2166?~BC1991?)은 유대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스라엘인과 아랍인은 모두 그를 선조로 주장.

새로운!!: 예수와 아브라함 · 더보기 »

아담과 하와

아담과 하와, 뒤러의 작품 아담()과 하와()는 성경에 등장하는 최초의 인간이.

새로운!!: 예수와 아담과 하와 · 더보기 »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플리비우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ÆSAR DIVI FILIVS AVGVSTVS, 기원전 63년 9월 23일 ~ 서기 14년 8월 19일)는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이.

새로운!!: 예수와 아우구스투스 · 더보기 »

테오토코스

오토코스, 또는 데오토코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즉, 예수는 사람이 된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론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모 마리아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인성(人性)과 함께 신성(神性)을 지닌 존재로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신성 출산'을 의미하는 기독교의 용어이.

새로운!!: 예수와 테오토코스 · 더보기 »

식민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세계 열강의 식민지 1945년 식민지(植民地)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 혹은 도시의 지배를 받는 영토를 말. 오늘날에는 식민지라는 말 대신 해외 영토나 속령 등의 용어가 대신 사용.

새로운!!: 예수와 식민지 · 더보기 »

신(神)은 신성하거나 성스러움으로 간주되는 자연적 혹은 초자연적 존재(a natural or supernatural being considered divine or sacred)이.

새로운!!: 예수와 신 · 더보기 »

신명기

신명기(申命記)는 타나크의 율법서 토라의 다섯 번째 부분이.

새로운!!: 예수와 신명기 · 더보기 »

신약성경

신약성경(新約聖經) 또는 신약성서(新約聖書)는 기독교의 경전이.

새로운!!: 예수와 신약성경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예수와 신학 · 더보기 »

십자가

십자가(十字架)는 고대부터 유래되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십자가형(Cruxification)에 쓰이던 사형틀이었지만, 예수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사건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을 생각케 하는 기독교의 유명한 상징이 되었.

새로운!!: 예수와 십자가 · 더보기 »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약칭 시리아()는 중동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예수와 시리아 · 더보기 »

시나고그

1270년쯤 프라하에서 지어졌음.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시나고그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시나고그() 또는 유대교 회당 은 유대교의 사원이.

새로운!!: 예수와 시나고그 · 더보기 »

시편

시편(詩篇)은 유대교에서 쓰는 타나크(기독교에서 쓰는 구약성경)의 일부이.

새로운!!: 예수와 시편 · 더보기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은 칼뱅주의 신앙을 담고 있는 개신교의 신앙고백이.

새로운!!: 예수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더보기 »

1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예수와 112년 · 더보기 »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새로운!!: 예수와 17세기 · 더보기 »

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예수와 33년 · 더보기 »

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예수와 49년 · 더보기 »

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예수와 64년 · 더보기 »

7월 19일

7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0번째(윤년일 경우 2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예수와 7월 1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나자렛 예수, 나자렛 예수 그리스도, 나자렛의 예수, 나사렛 예수, 나사렛의 예수, 이에수스, 이에수스 크리스토스, 이싸, 예슈아, 예수 그리스도, 예수 크라이스트, 예수님, 예수스 크리스투스, 야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