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우의정와 좌의정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우의정와 좌의정의 차이

우의정 vs. 좌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우의정와 좌의정의 유사점

우의정와 좌의정는 공통적으로 26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류전, 류순정, 류영경, 류성룡, 맹사성, 민몽룡, 민희, 민정중, 민진원, 민암, 강맹경, 강귀손, 박승종, 박회수, 박종훈, 박숭질, 박원종, 박원형, 박홍구, 권람, 권돈인, 권대운, 권철, 권상하, 기자헌, 김도희, 김류, 김명원, 김병덕, 김병국 (1825년), ..., 김병시, 김근사, 김국광, 김자점, 김재로, 김재찬, 김이소, 김응기, 김응남, 김종수, 김창집, 김치인, 김육, 김상로, 김상복, 김상철, 김수동, 김수항, 김양택, 김사목, 김사형, 김약로, 김안로, 김홍집, 구인후, 구치관, 남공철, 남구만, 남재, 남이웅, 남지, 노수신, 노사신, 장순손, 이덕형 (1561년), 이건명 (조선), 이경일, 이경억, 이복원, 이병모, 이광좌, 이관명, 이극균, 이기 (1476년), 이단하, 이이명, 이은, 이정구, 이존수, 이준경, 이직, 이창의, 이천보, 이유 (1645년), 이유청, 이양원, 이행 (조선), 이헌국, 이산해, 이성구, 이성원, 이세백, 이항복, 이시백, 이시수, 이원, 이원익, 이후, 의정부, 정광필, 정괄, 정인홍, 정존겸, 정지화, 정창연, 정창손, 정철, 정치화, 정유길, 정휘량, 정탁, 정태화, 정호, 정원용, 조문명, 조익 (조선), 조준, 조태억, 조현명, 조사석, 조선 태종, 채제공, 유보, 유봉휘, 유상운, 유언호, 유홍, 윤동도, 윤방, 윤개, 윤두수, 윤승훈, 윤자운, 윤인경, 윤은보, 윤지선, 윤필상, 상진, 영의정, 오윤겸, 최명길, 최윤덕, 최석정, 최석항, 어세겸, 여성제, 허적, 허조, 허침, 성희안, 성석린, 성세창, 서명균, 서명선, 서문중, 서당보, 서용보, 서종태, 송근수, 송인명, 송시열, 한명회, 한효순, 한효원, 한익모, 한치형, 한확, 안당, 안현, 하륜, 신만, 신개, 신경진, 신용개, 신승선, 신회, 신흠, 신수근, 신숙주, 신완, 심기원, 심희수, 심정 (1471년), 심지원, 심상규, 심순택, 심수경, 심연원, 심열, 심통원, 심환지, 원두표, 홍명하, 홍봉한, 홍낙순, 홍응, 홍치중, 홍윤성, 홍언필, 홍섬, 홍서봉, 황보인, 황희, 황수신, 황헌, 1392년, 1399년, 1400년, 1401년, 1404년, 1405년, 1407년, 1414년, 1415년, 1416년, 1421년, 1426년, 1427년, 1431년, 1435년, 1439년, 1445년, 1447년, 1449년, 1451년, 1452년, 1453년, 1455년, 1456년, 1457년, 1458년, 1459년, 1462년, 1463년, 1464년, 1466년, 1467년, 1468년, 1469년, 1470년, 1471년, 1474년, 1476년, 1479년, 1485년, 1492년, 1495년, 1545년, 1548년, 1549년, 1551년, 1558년, 1560년, 1564년, 1566년, 1567년, 1720년, 1721년, 1723년, 1724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30 더) »

류전

전(柳琠, 1531년 ~ 1589년)는 조선의 문신이.

류전와 우의정 · 류전와 좌의정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류순정와 우의정 · 류순정와 좌의정 · 더보기 »

류영경

영경(柳永慶, 1550년 ~ 1608년)은 조선의 문신이.

류영경와 우의정 · 류영경와 좌의정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류성룡와 우의정 · 류성룡와 좌의정 · 더보기 »

맹사성

맹사성(孟思誠, 1360년 8월 28일/음력 7월 17일 ~ 1438년 10월 22일/음력 10월 4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맹사성와 우의정 · 맹사성와 좌의정 · 더보기 »

민몽룡

민몽룡(1550년 ~ 1618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이며, 이이첨과 광해군을 후원했던 대북세력의 원로였.

민몽룡와 우의정 · 민몽룡와 좌의정 · 더보기 »

민희

민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민희와 우의정 · 민희와 좌의정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민정중와 우의정 · 민정중와 좌의정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민진원와 우의정 · 민진원와 좌의정 · 더보기 »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민암와 우의정 · 민암와 좌의정 · 더보기 »

강맹경

강맹경(姜孟卿, 1410년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

강맹경와 우의정 · 강맹경와 좌의정 · 더보기 »

강귀손

강귀손(1450년 ~ 1505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강귀손와 우의정 · 강귀손와 좌의정 · 더보기 »

박승종

박승종(朴承宗, 1562년 ~ 1623년)은 조선의 문신이.

박승종와 우의정 · 박승종와 좌의정 · 더보기 »

박회수

박회수(1786년 ~ 186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철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박회수와 우의정 · 박회수와 좌의정 · 더보기 »

박종훈

박종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박종훈와 우의정 · 박종훈와 좌의정 · 더보기 »

박숭질

박숭질(朴崇質, 1435년 ~ 150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박숭질와 우의정 · 박숭질와 좌의정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박원종와 우의정 · 박원종와 좌의정 · 더보기 »

박원형

박원형(朴元亨, 1411년 ∼ 146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박원형와 우의정 · 박원형와 좌의정 · 더보기 »

박홍구

박홍구(1552년 ~ 162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광해군 때 좌의정을.

박홍구와 우의정 · 박홍구와 좌의정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권람와 우의정 · 권람와 좌의정 · 더보기 »

권돈인

인(權敦仁, 1783년 ~ 18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과 철종 때 영의정을.

권돈인와 우의정 · 권돈인와 좌의정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권대운와 우의정 · 권대운와 좌의정 · 더보기 »

권철

(權轍, 1503년 ~ 1578년)은 조선의 학자이자 문신이.

권철와 우의정 · 권철와 좌의정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권상하와 우의정 · 권상하와 좌의정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기자헌와 우의정 · 기자헌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도희

희(金道喜, 1783년 ~ 186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철종 때 좌의정을.

김도희와 우의정 · 김도희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류

음 사람을 가리.

김류와 우의정 · 김류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명원

명원(金命元, 1534년 ~ 1602년 12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응순, 호는 주은, 시호는 충익, 본관은 경주이.

김명원와 우의정 · 김명원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병덕

병덕(金炳德, 1825년-18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조판서를 3회 역임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김병덕와 우의정 · 김병덕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병국 (1825년)

병국(金炳國, 1825년~19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경용(景用), 호는 영어(穎漁).

김병국 (1825년)와 우의정 · 김병국 (182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김병시

병시(金炳始, 1832년~189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정대신으로 자는 성초(聖初), 호는 용암(蓉庵), 시호는 충문(忠文)이.

김병시와 우의정 · 김병시와 좌의정 · 더보기 »

김근사

사(金謹思, 1466년 ~ 1539년)는 조선의 문신이.

김근사와 우의정 · 김근사와 좌의정 · 더보기 »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김국광와 우의정 · 김국광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김자점와 우의정 · 김자점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재로

재로의 초상화, 1738년(57세) 주청사(奏請使)로 북경에 갔을 때 모습 김재로(金在魯, 1682년 ~ 1759년)는 조선의 정치가이.

김재로와 우의정 · 김재로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재찬

재찬(金載瓚, 1746년 ~ 1827년)은 조선의 정치가이.

김재찬와 우의정 · 김재찬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이소

이소(1735년 ~ 1798년)는 조선의 문신이.

김이소와 우의정 · 김이소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응기

응기(金應箕, 1455년 ~ 1519년 6월 10일『김응기 묘갈명』)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백춘(伯春), 본관은 선산(善山)이.

김응기와 우의정 · 김응기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응남

응남(金應南, 1546년 ~ 1598년 12월 21일(음력 11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김응남와 우의정 · 김응남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종수

종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종수와 우의정 · 김종수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김창집와 우의정 · 김창집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치인

인(金致仁, 1716년 ~ 17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와 정조 때 영의정을.

김치인와 우의정 · 김치인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김육와 우의정 · 김육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상로

상로(金尙魯, 1702년 1월 3일 ~ 1766년 12월 29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당색으로는 노론 벽파의 지도자였.

김상로와 우의정 · 김상로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상복

상복은 다음 사람을 가리.

김상복와 우의정 · 김상복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상철

상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상철와 우의정 · 김상철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수동

수동(金壽童, 1457년 ~ 1512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성종 때, 영의정을.

김수동와 우의정 · 김수동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김수항와 우의정 · 김수항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양택

양택(1712년 ~ 1777년)은 조선의 문신이.

김양택와 우의정 · 김양택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사목

사목(1740년 ~ 182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순조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김사목와 우의정 · 김사목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사형

사형(金士衡, 1341년 ~ 1407년)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

김사형와 우의정 · 김사형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약로

약로(金若魯, 1694년 ~ 1753년)는 조선의 문신이.

김약로와 우의정 · 김약로와 좌의정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김안로와 우의정 · 김안로와 좌의정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김홍집와 우의정 · 김홍집와 좌의정 · 더보기 »

구인후

인후(具仁垕, 1578년 ~ 165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인조의 외사촌 형이.

구인후와 우의정 · 구인후와 좌의정 · 더보기 »

구치관

(具致寬, 1406년 ~ 1470년(성종 1년) 9월 1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구치관와 우의정 · 구치관와 좌의정 · 더보기 »

남공철

공철(南公轍, 1760년 ~ 1840년)은 조선의 문신이.

남공철와 우의정 · 남공철와 좌의정 · 더보기 »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남구만와 우의정 · 남구만와 좌의정 · 더보기 »

남재

재(南在, 1351년 ~ 1419년)는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지, 호는 귀정, 본관은 의령이.

남재와 우의정 · 남재와 좌의정 · 더보기 »

남이웅

이웅(南以雄, 1575년 ~ 1648년)은 조선의 문신이.

남이웅와 우의정 · 남이웅와 좌의정 · 더보기 »

남지

(南智, 1392년 ~ 1454년)은 조선의 문신이.

남지와 우의정 · 남지와 좌의정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노수신와 우의정 · 노수신와 좌의정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노사신와 우의정 · 노사신와 좌의정 · 더보기 »

장순손

장순손(張順孫, 1453년『연려실기술』 ~ 1534년 9월 11일)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자활(自活), 본관은 인동(仁同)이.

우의정와 장순손 · 장순손와 좌의정 · 더보기 »

이덕형 (1561년)

이덕형(李德馨, 1561년 ~ 161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정치인으로 동인(東人)과 남인(南人)의 일원이.

우의정와 이덕형 (1561년) · 이덕형 (156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건명 (조선)

이건명(李健命, 1663년~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건명 (조선) · 이건명 (조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경일

이경일(李敬一, 1734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경일 · 이경일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경억

이경억(李慶億, 1620년 ~ 16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경억 · 이경억와 좌의정 · 더보기 »

이복원

이복원(李福源, 1719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복원 · 이복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이병모

이병모(1742년 ~ 180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조선 후기의 영의정이.

우의정와 이병모 · 이병모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광좌

이광좌(李光佐, 1674년 ~ 174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광좌 · 이광좌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관명

이관명(1661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관명 · 이관명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극균

이극균(李克均,1437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극균 · 이극균와 좌의정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우의정와 이기 (1476년) · 이기 (147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이단하

이단하(李端夏, 1625년 ∼ 1689년) 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단하 · 이단하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우의정와 이이명 · 이이명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은

이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이은 · 이은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정구

이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이정구 · 이정구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존수

이존수(1772년 ~ 182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이.

우의정와 이존수 · 이존수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우의정와 이준경 · 이준경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직

이직(李稷, 1362년 ~ 143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직 · 이직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창의

이창의(1704년~177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좌의정을.

우의정와 이창의 · 이창의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천보

이천보(李天輔, 1698년 ~ 1761년)는 조선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천보 · 이천보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유 (1645년)

이유(李濡, 1645년 ~ 172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유 (1645년) · 이유 (164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유청

이유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이유청 · 이유청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양원

이양원(李陽元, 1526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영의정에 임명되었지만 왕이 요동으로 파천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살한 대신 중 한 명이.

우의정와 이양원 · 이양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이행 (조선)

이행(李荇, 1478년 ~ 153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우의정와 이행 (조선) · 이행 (조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이헌국

이헌국 (1525~1602)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헌국 · 이헌국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우의정와 이산해 · 이산해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성구

이성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이성구 · 이성구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성원

이성원(李成元, 1956년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우의정와 이성원 · 이성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세백

이세백(李世白, 163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세백 · 이세백와 좌의정 · 더보기 »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

우의정와 이항복 · 이항복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시백

이시백(李時白, 1581년 11월 5일(음력 10월 10일)∼ 1660년 6월 9일(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시백 · 이시백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시수

이시수(李時秀, 1745년 ~ 182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이시수 · 이시수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원

이원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기업.

우의정와 이원 · 이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우의정와 이원익 · 이원익와 좌의정 · 더보기 »

이후

이후 에는 다음의 뜻이 있.

우의정와 이후 · 이후와 좌의정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우의정와 의정부 · 의정부와 좌의정 · 더보기 »

정광필

정광필(鄭光弼, 1462년 ~ 15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정광필 · 정광필와 좌의정 · 더보기 »

정괄

정괄(鄭佸, 1435년 ~ 1495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정괄 · 정괄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우의정와 정인홍 · 정인홍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존겸

정존겸(1722년 ~ 17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 정지화의 후손이.

우의정와 정존겸 · 정존겸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지화

정지화(1613년 ~ 168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을.

우의정와 정지화 · 정지화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창연

정창연(1552년 ~ 1636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이며, 광해군과 인조 때 좌의정을.

우의정와 정창연 · 정창연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우의정와 정창손 · 정창손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우의정와 정철 · 정철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치화

정치화(鄭致和, 1609년 ~ 1677년)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정치화 · 정치화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유길

정유길(鄭惟吉, 1515년 11월 30일 ~ 1588년 9월 2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선조 때 좌의정을.

우의정와 정유길 · 정유길와 좌의정 · 더보기 »

정휘량

정휘량(鄭翬良, 1706년 ~ 1762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우의정와 정휘량 · 정휘량와 좌의정 · 더보기 »

정탁

정탁은 다음 사람을 뜻.

우의정와 정탁 · 정탁와 좌의정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정태화 · 정태화와 좌의정 · 더보기 »

정호

정호(程顥, 1032년~1085년)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

우의정와 정호 · 정호와 좌의정 · 더보기 »

정원용

정원용(鄭元容, 1783년~1873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정원용 · 정원용와 좌의정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우의정와 조문명 · 조문명와 좌의정 · 더보기 »

조익 (조선)

조익(趙翼, 1579년 5월 2일(음력 4월 7일)~ 1655년 4월 16일(음력 3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조익 (조선) · 조익 (조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조준

조준(趙浚, 1346년 ∼ 1405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우의정와 조준 · 조준와 좌의정 · 더보기 »

조태억

가노 츠네노부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태억 초상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조태억 · 조태억와 좌의정 · 더보기 »

조현명

조현명(趙顯命, 1690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조현명 · 조현명와 좌의정 · 더보기 »

조사석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조사석 · 조사석와 좌의정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우의정와 조선 태종 · 조선 태종와 좌의정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우의정와 채제공 · 좌의정와 채제공 · 더보기 »

유보

유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유보 · 유보와 좌의정 · 더보기 »

유봉휘

유봉휘(柳鳳輝, 1659년 ~ 172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유봉휘 · 유봉휘와 좌의정 · 더보기 »

유상운

상운(柳尙運, 1636년 ~ 170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영의정을.

우의정와 유상운 · 유상운와 좌의정 · 더보기 »

유언호

유언호(兪彦鎬, 1730년 ~ 179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유언호 · 유언호와 좌의정 · 더보기 »

유홍

유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유홍 · 유홍와 좌의정 · 더보기 »

윤동도

윤동도(尹東度, 1707년(숙종33) ~ 1768년(영조44)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다. 사도세자에게 호의적이었으며 당색으로는 소론 계열이었다.

우의정와 윤동도 · 윤동도와 좌의정 · 더보기 »

윤방

윤방(尹昉, 1563년 6월 22일 ~ 1640년 8월)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윤방 · 윤방와 좌의정 · 더보기 »

윤개

윤개(尹漑, 1494년 ~ 1566년 3월 22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옥(汝沃), 본관은 파평(坡平)이.

우의정와 윤개 · 윤개와 좌의정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우의정와 윤두수 · 윤두수와 좌의정 · 더보기 »

윤승훈

윤승훈(尹承勳, 1549 ~ 1611)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윤승훈 · 윤승훈와 좌의정 · 더보기 »

윤자운

윤자운(尹子雲, 1416년 ~ 147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윤자운 · 윤자운와 좌의정 · 더보기 »

윤인경

윤인경(尹仁鏡, 1476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윤인경 · 윤인경와 좌의정 · 더보기 »

윤은보

윤은보(尹殷輔, 1468년 ~ 1544년)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윤은보 · 윤은보와 좌의정 · 더보기 »

윤지선

윤지선(1627년 ~ 17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좌의정을.

우의정와 윤지선 · 윤지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우의정와 윤필상 · 윤필상와 좌의정 · 더보기 »

상진

상진(尙震, 1493년 ~ 156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상진와 우의정 · 상진와 좌의정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영의정와 우의정 · 영의정와 좌의정 · 더보기 »

오윤겸

오윤겸(吳允謙, 1559년 ~ 163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오윤겸와 우의정 · 오윤겸와 좌의정 · 더보기 »

최명길

명길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우의정와 최명길 · 좌의정와 최명길 · 더보기 »

최윤덕

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

우의정와 최윤덕 · 좌의정와 최윤덕 · 더보기 »

최석정

석정(崔錫鼎, 1646년~17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최석정 · 좌의정와 최석정 · 더보기 »

최석항

석항(崔錫恒, 1654년 ~ 17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우의정와 최석항 · 좌의정와 최석항 · 더보기 »

어세겸

어세겸(魚世謙, 1430년 ~ 150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어세겸와 우의정 · 어세겸와 좌의정 · 더보기 »

여성제

여성제(呂聖齊, 1625년 ~ 1691년)는 조선의 문신이.

여성제와 우의정 · 여성제와 좌의정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우의정와 허적 · 좌의정와 허적 · 더보기 »

허조

조(許租, 1369년 5월 17일(음력 4월 11일)) ~ 1440년 2월 1일(음력 1439년 12월 28일))는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자는 중통(仲通), 호는 경암(敬菴),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본관은 하양(河陽)이다. 어질고 강직한 사람으로 존경을 받았다. 척추장애인이었다고 한다.

우의정와 허조 · 좌의정와 허조 · 더보기 »

허침

(許琛; 1444년 ~ 1505년)은 조선의 문신, 시인이.

우의정와 허침 · 좌의정와 허침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성희안와 우의정 · 성희안와 좌의정 · 더보기 »

성석린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서예가이.

성석린와 우의정 · 성석린와 좌의정 · 더보기 »

성세창

성세창(成世昌, 1481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성세창와 우의정 · 성세창와 좌의정 · 더보기 »

서명균

서명균(徐命均, 1680년 ~ 17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서명균와 우의정 · 서명균와 좌의정 · 더보기 »

서명선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

서명선와 우의정 · 서명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서문중

서문중(徐文重, 1634년 ~ 1709년)은 조선의 문신이.

서문중와 우의정 · 서문중와 좌의정 · 더보기 »

서당보

서당보(1806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고종 때 영의정을.

서당보와 우의정 · 서당보와 좌의정 · 더보기 »

서용보

서용보(徐龍輔)(1757년 ~ 1824년)는 조선의 문신이.

서용보와 우의정 · 서용보와 좌의정 · 더보기 »

서종태

서종태(徐宗泰, 1652년 ~ 17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서종태와 우의정 · 서종태와 좌의정 · 더보기 »

송근수

송근수(宋近洙, 1818년 ~ 1903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송근수와 우의정 · 송근수와 좌의정 · 더보기 »

송인명

송인명(宋寅明, 1689 ~ 1746)은 조선의 문신이.

송인명와 우의정 · 송인명와 좌의정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우의정 · 송시열와 좌의정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우의정와 한명회 · 좌의정와 한명회 · 더보기 »

한효순

효순(韓孝純, 1543년 ~ 16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

우의정와 한효순 · 좌의정와 한효순 · 더보기 »

한효원

효원(韓效元, 1468년 ~ 1534년 12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한효원 · 좌의정와 한효원 · 더보기 »

한익모

익모 한익모(韓翼謩, 1703년 ~ ?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이.

우의정와 한익모 · 좌의정와 한익모 · 더보기 »

한치형

형(韓致亨, 1434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한치형 · 좌의정와 한치형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우의정와 한확 · 좌의정와 한확 · 더보기 »

안당

안당(安瑭, 1460년 ~ 152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언보, 호는 영모당, 시호는 정민, 본관은 순흥이.

안당와 우의정 · 안당와 좌의정 · 더보기 »

안현

안현(安玹, 1501년 ~ 1560년)은 조선의 문신이.

안현와 우의정 · 안현와 좌의정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우의정와 하륜 · 좌의정와 하륜 · 더보기 »

신만

신만(申晩, 1703년 ~ 1765년)은 조선의 문신이.

신만와 우의정 · 신만와 좌의정 · 더보기 »

신개

신개(申槩, 1374년(공민왕 23년) ∼ 1446년(세종 28년))는 조선의 문신이.

신개와 우의정 · 신개와 좌의정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신경진와 우의정 · 신경진와 좌의정 · 더보기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신용개와 우의정 · 신용개와 좌의정 · 더보기 »

신승선

신승선(愼承善, 1436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의 장인이.

신승선와 우의정 · 신승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신회

신회(申晦, 1706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신회와 우의정 · 신회와 좌의정 · 더보기 »

신흠

신흠(申欽, 1566년 ∼ 16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신흠와 우의정 · 신흠와 좌의정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신수근와 우의정 · 신수근와 좌의정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신숙주와 우의정 · 신숙주와 좌의정 · 더보기 »

신완

신완(申琓, 1646년 ~ 1707년)은 조선의 문신이.

신완와 우의정 · 신완와 좌의정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심기원와 우의정 · 심기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심희수

심희수(沈喜壽, 1548년 ~ 1622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백구(伯懼), 호는 일송(一松) 또는 수뢰루인(水雷累人), 시호는 문정(文貞)이.

심희수와 우의정 · 심희수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심정 (1471년)와 우의정 · 심정 (147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심지원와 우의정 · 심지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상규

심상규(沈象奎, 1766년 ~ 18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심상규와 우의정 · 심상규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심순택와 우의정 · 심순택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수경

심수경(沈守慶, 1516년 12월 20일 ~ 1599년 윤 4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

심수경와 우의정 · 심수경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심연원와 우의정 · 심연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심열와 우의정 · 심열와 좌의정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심통원와 우의정 · 심통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심환지와 우의정 · 심환지와 좌의정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우의정와 원두표 · 원두표와 좌의정 · 더보기 »

홍명하

홍명하(洪命夏, 1608년 ~ 1668년)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명하 · 좌의정와 홍명하 · 더보기 »

홍봉한

홍봉한(洪鳳漢, 1713년 ~ 1778년)은 조선 말기의 대신으로,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며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장인이.

우의정와 홍봉한 · 좌의정와 홍봉한 · 더보기 »

홍낙순

홍낙순(洪樂純, 1723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낙순 · 좌의정와 홍낙순 · 더보기 »

홍응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 홍응(洪應, 1428년 ~ 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시인, 서예가이.

우의정와 홍응 · 좌의정와 홍응 · 더보기 »

홍치중

홍치중 (洪致中, 1667년 ~ 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치중 · 좌의정와 홍치중 · 더보기 »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윤성 · 좌의정와 홍윤성 · 더보기 »

홍언필

홍언필(洪彦弼, 1476년 ~ 154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미, 호는 묵재, 시호는 문희, 본관은 남양이.

우의정와 홍언필 · 좌의정와 홍언필 · 더보기 »

홍섬

홍섬(洪暹, 1504년 ~ 1585년)는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섬 · 좌의정와 홍섬 · 더보기 »

홍서봉

홍서봉(洪瑞鳳,1572년~16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우의정와 홍서봉 · 좌의정와 홍서봉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우의정와 황보인 · 좌의정와 황보인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우의정와 황희 · 좌의정와 황희 · 더보기 »

황수신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우의정와 황수신 · 좌의정와 황수신 · 더보기 »

황헌

황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우의정와 황헌 · 좌의정와 황헌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1392년와 우의정 · 1392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399년

설명이 없습니다.

1399년와 우의정 · 139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0년와 우의정 · 1400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1년와 우의정 · 140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04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4년와 우의정 · 140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5년와 우의정 · 140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07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7년와 우의정 · 140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14년

설명이 없습니다.

1414년와 우의정 · 141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1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15년와 우의정 · 141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1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16년와 우의정 · 141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21년

설명이 없습니다.

1421년와 우의정 · 142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2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26년와 우의정 · 142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27년

설명이 없습니다.

1427년와 우의정 · 142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31년

설명이 없습니다.

1431년와 우의정 · 143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3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35년와 우의정 · 143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3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39년와 우의정 · 143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4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45년와 우의정 · 144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47년

설명이 없습니다.

1447년와 우의정 · 144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4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49년와 우의정 · 144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1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1년와 우의정 · 145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2년와 우의정 · 1452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3년와 우의정 · 1453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5년와 우의정 · 145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6년와 우의정 · 145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7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7년와 우의정 · 145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8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8년와 우의정 · 1458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59년와 우의정 · 145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2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2년와 우의정 · 1462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3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3년와 우의정 · 1463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4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4년와 우의정 · 146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6년와 우의정 · 146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7년와 우의정 · 146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8년와 우의정 · 1468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69년와 우의정 · 146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70년

설명이 없습니다.

1470년와 우의정 · 1470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71년

설명이 없습니다.

1471년와 우의정 · 147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74년

설명이 없습니다.

1474년와 우의정 · 147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7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76년와 우의정 · 147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7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79년와 우의정 · 147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8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85년와 우의정 · 148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92년

설명이 없습니다.

1492년와 우의정 · 1492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495년

설명이 없습니다.

1495년와 우의정 · 149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1545년와 우의정 · 154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48년

설명이 없습니다.

1548년와 우의정 · 1548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1549년와 우의정 · 1549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1551년와 우의정 · 155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58년

설명이 없습니다.

1558년와 우의정 · 1558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60년

설명이 없습니다.

1560년와 우의정 · 1560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64년

설명이 없습니다.

1564년와 우의정 · 156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66년

설명이 없습니다.

1566년와 우의정 · 1566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567년

설명이 없습니다.

1567년와 우의정 · 1567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720년

172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720년와 우의정 · 1720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721년와 우의정 · 1721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723년

172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723년와 우의정 · 1723년와 좌의정 · 더보기 »

1724년

172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724년와 우의정 · 172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우의정와 좌의정의 비교.

우의정에는 402 개의 관계가 있고 좌의정에는 53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26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27.87%입니다 = 260 / (402 + 53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우의정와 좌의정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