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위성

색인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122 처지: 데이모스 (위성), 라리사 (위성), 라그랑주 점, 레다 (위성), 레아 (위성), 리누스 (위성), 리시테아 (위성), 마케마케 (왜행성), 메가클리테, 메티스 (위성), 목성, 목성의 위성, 목성형 행성, 명왕성, 명왕성의 위성, 미란다 (위성), 미마스 (위성), 므네메 (위성), 가니메데 (위성), 나마카 (위성), 나이아드 (위성), 디스노미아 (위성), 디오네 (위성), 네레이드 (위성), 네소 (위성), 다크틸, 다프니스 (위성), , 닉스 (위성), 스틱스 (위성), 트리톤 (위성), 히말리아 (위성), 히드라 (위성), 히페리온 (위성), 히이아카 (위성), 크레시다 (위성), 퍽 (위성), 포보스 (위성), 포에베 (위성), 이오 (위성), 이아페투스 (위성), 인공위성, 줄리엣, 준위성, 지구, 지구형 행성, 천체, 천왕성, 천왕성의 위성, 카론 (위성), ..., 칼리스토 (위성), 칼립소, 케르베로스 (위성), 판 (위성), 판도라 (위성), 유로파 (위성), 파시파에 (위성), 위미르, 위성 목록, 태양계, 태양계 소천체, 타이탄 (위성), 수성, 오베론 (위성), 오필리아 (동음이의), 행성, 에리스 (왜행성),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포리에 (위성), 엘라라 (위성), 엔셀라두스, 사람, 프로메테우스 (위성), 프로테우스 (위성), 프사마테 (위성), 프티프랭스, 세레스 (왜행성), 토성, 토성의 위성, 소행성, 소행성 위성, 할리메데 (위성), 해왕성, 해왕성의 위성, 야누스 (위성), 하우메아 (왜행성), 하우메아의 위성, 아리엘 (위성), 아말테아 (위성), 아드라스테아 (위성), 아틀라스 (위성), 테베 (위성), 테티스 (위성), 티타니아 (위성), 시노페 (위성), 시아르나크 (위성), 움브리엘 (위성), 외계 위성, 외계 행성, 왜행성, 화성의 위성, S/2004 N 1, (225088) 2007 OR10, 10 히기에이아, 1000 피아치아, 102 미리암, 2 팔라스, 20000 바루나, 243 이다, 25 포카이아, 27 에우테르페, 3 유노, 367943 두엔데, 3753 크뤼트네, 4 베스타, 50000 콰오아, 87 실비아, 90377 세드나, 90482 오르쿠스, 93 미네르바, 9969 브라유, 99942 아포피스.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2 더) »

데이모스 (위성)

이모스 데이모스는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로 바깥 궤도를.

새로운!!: 위성와 데이모스 (위성) · 더보기 »

라리사 (위성)

보이저 2호가 촬영한 라리사. 라리사(Larissa)는 해왕성의 위성으로 해왕성 VII라고도 불린.

새로운!!: 위성와 라리사 (위성) · 더보기 »

라그랑주 점

랑주 점(-點, Lagrangian point) 또는 칭동점(秤動點)은 우주 공간에서 작은 천체가 두 개의 큰 천체의 중력에 의해 그 위치를 지킬 수 있는 5개의 위치들이.

새로운!!: 위성와 라그랑주 점 · 더보기 »

레다 (위성)

목성 XIII로도 알려져 있고 목성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어머니 행성을 공전하는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레다 (위성) · 더보기 »

레아 (위성)

아(Rhea)는 토성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며, 태양계의 위성 중 아홉 번. 레아는 1672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새로운!!: 위성와 레아 (위성) · 더보기 »

리누스 (위성)

(22) 칼리오페 1 리누스((22) Kalliope 1 Linus) 는 22 칼리오페를 공전하는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리누스 (위성) · 더보기 »

리시테아 (위성)

리시테아(Lysithea)는 목성의 자전 방향과 같은 쪽으로 목성을 공전하는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리시테아 (위성) · 더보기 »

마케마케 (왜행성)

마케마케의 상상도. 마케마케(소행성명 136472 Makemake)는 태양계의 왜행성들 중 세 번째로 크며 큐비원족 중 가장 큰 두 개 천체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마케마케 (왜행성) · 더보기 »

메가클리테

메가클리테(Megaclite)는 목성의 불규칙 역행위성이고 파시파에 군에 속해 있. 메가클리테의 지름은 약 5km이고 공전주기는 792일이.

새로운!!: 위성와 메가클리테 · 더보기 »

메티스 (위성)

릴레오 탐사선이 촬영한 메티스. 메티스()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목성과 가장 가깝.

새로운!!: 위성와 메티스 (위성)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목성 · 더보기 »

목성의 위성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69개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위성 수가 가장 많.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

새로운!!: 위성와 목성의 위성 · 더보기 »

목성형 행성

우리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들. 아래에서 위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목성형 행성(木星型行星)은 태양계에서 수소나 헬륨 따위의 유체(fluid) 형태를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해당.

새로운!!: 위성와 목성형 행성 · 더보기 »

명왕성

섬네일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현재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파악되었.

새로운!!: 위성와 명왕성 · 더보기 »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 카론, 히드라, 닉스는 뉴 허라이즌스가 촬영한 이미지 이다. 명왕성과 카론의 크기비율은 비슷하나 나머지 4개의 위성은 일치하지 않는다. 명왕성의 위성은 현재 5개가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명왕성의 위성 · 더보기 »

미란다 (위성)

미란다() 또는 천왕성 V()는 천왕성의 둥근 다섯 개의 위성 중 가장 작고 가장 안쪽에 위치한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미란다 (위성) · 더보기 »

미마스 (위성)

미마스(Mimas)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

새로운!!: 위성와 미마스 (위성) · 더보기 »

므네메 (위성)

므네메() 또는 목성 XL은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아난케 군에 속하는 역행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므네메 (위성)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새로운!!: 위성와 가니메데 (위성) · 더보기 »

나마카 (위성)

우메아와 두 위성의 상상도. 왼쪽 상단에 있는 위성이 나마카이다. 나마카(Namaka)는 하우메아의 2번째 위성으로 공식 명칭은 Haumea II이고 임시 명칭은 S/2005 2이.

새로운!!: 위성와 나마카 (위성) · 더보기 »

나이아드 (위성)

이아드(Naiad,해왕성 III)는 지름이 67(90X60X52)km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나이아드 (위성) · 더보기 »

디스노미아 (위성)

스노미아와 에리스의 상상도 디스노미아(Dysnomia)는 왜행성 에리스의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디스노미아 (위성) · 더보기 »

디오네 (위성)

오네(Dione)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1684년에 발견했으며 그리스 신화의 거신족 디오네의 이름을 붙였.

새로운!!: 위성와 디오네 (위성) · 더보기 »

네레이드 (위성)

이드(Nereid)는 해왕성의 두 번째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네레이드 (위성) · 더보기 »

네소 (위성)

소(Neso)는 해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네소 (위성) · 더보기 »

다크틸

의 최고 해상도 사진. 갈릴레오가 다크틸에서 3,900 km 떨어져 있을 때 촬영한 것임. 243 이다 1 다크틸(243 Ida I Dactyl)은 소행성 243 이다 주위를 공전하는 작은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다크틸 · 더보기 »

다프니스 (위성)

스(임시 명칭 S/2005 S 1)는 토성의 위성으로, A 고리의 킬러 간극에 위치하는 양치기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다프니스 (위성)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위성와 달 · 더보기 »

닉스 (위성)

닉스(Nix) 혹은 134340 명왕성 II(소행성명 134340 Pluto II) 는 명왕성의 두 번째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닉스 (위성) · 더보기 »

스틱스 (위성)

스틱스()는 명왕성의 위성 중 하나로, 마크 R. 쇼월터와 그의 연구팀이 2012년 6월 26일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명왕성계의 이미지에서 발견하여 같은 해 7월 11일에 발견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

새로운!!: 위성와 스틱스 (위성) · 더보기 »

트리톤 (위성)

리톤(Triton 또는 Neptune I)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에 속. 직경은 2706km 이며 태양계 위성 중에서 7번.

새로운!!: 위성와 트리톤 (위성) · 더보기 »

히말리아 (위성)

히말리아는 목성의 가장 큰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히말리아 (위성) · 더보기 »

히드라 (위성)

히드라(Hydra) 혹은 134340 명왕성 III(소행성명 134340 Pluto III)는 명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히드라 (위성) · 더보기 »

히페리온 (위성)

히페리온(Hyperion)은 윌리엄 크랜치 본드, 조지 필립스 본드, 윌리엄 라셀 3인이 1848년에 발. 히페리온의 모양은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모양으로 멀리서 봤을 때 마치 감자나 고구마를 연상시키는 모양이며 자전 주기는 일정치 않고, 표면은 스펀지와 흡사한 모양을 보이고 있.

새로운!!: 위성와 히페리온 (위성) · 더보기 »

히이아카 (위성)

우메아와 두 위성의 상상도. 오른쪽 하단에 있는 위성이 히이아카이다. 히이아카(영어:Hi'iaka)는 하우메아의 1번째 위성으로 현재 명칭은 Haumea I이고 임시 명칭은 S/2005 1이.

새로운!!: 위성와 히이아카 (위성) · 더보기 »

크레시다 (위성)

시다(Cressida)는 천왕성 안쪽에 위치한 위성으로, 1986년 1월 9일 보이저 2호가 발견하였.

새로운!!: 위성와 크레시다 (위성) · 더보기 »

퍽 (위성)

퍽의 사진. 약간의 색의 변질이 일어났음을 알았다. 퍽(Puck)은 천왕성의 내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퍽 (위성) · 더보기 »

포보스 (위성)

보스()는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포보스 (위성) · 더보기 »

포에베 (위성)

에베(Phoebe)또는 피비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포에베 (위성) · 더보기 »

이오 (위성)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이오 (위성) · 더보기 »

이아페투스 (위성)

이아페투스(Iapetus)는 토성의 23번째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이아페투스 (위성) · 더보기 »

인공위성

중궤도 GPS 위성의 궤도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지구 관측 위성 ERS 2의 실제 크기 모델 인공위성(人工衛星)은 로켓을 사용하여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진 주로 지구 둘레의 원 또는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비행하는 인공의 물체이.

새로운!!: 위성와 인공위성 · 더보기 »

줄리엣

줄리엣(Juliet)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위성와 줄리엣 · 더보기 »

준위성

준위성의 개념도. 준위성(準衛星) 또는 유사 위성(類似衛星)은 행성과 1:1로 궤도 공명하며 여러 주기 동안 그 행성에 근접해 있는 천체를 말. 행성과 일치하는 주기로 유사한 궤도를 돌지만 보통 궤도 이심률이.

새로운!!: 위성와 준위성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위성와 지구 · 더보기 »

지구형 행성

형 행성의 크기 비교. 차례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다. 지구형 행성(地球型行星, terrestrial planet)은 태양계에서 규산염 따위로 된 암석이나 금속 등 고체 상태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이에 해당.

새로운!!: 위성와 지구형 행성 · 더보기 »

천체

양한 천체의 모습. 천체(天體)는 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새로운!!: 위성와 천체 · 더보기 »

천왕성

왕성(天王星, Uranus)은 태양에서부터 일곱번째로 떨어져 있으며 세 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네 번째로 질량이 큰 태양계의 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천왕성 · 더보기 »

천왕성의 위성

왕성 위성들의 궤도. 천왕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27개가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천왕성의 위성 · 더보기 »

카론 (위성)

(Charon) 혹은 134340 명왕성 I(소행성명 134340 Pluto I)는 왜소행성 명왕성의 발견된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위성으로 1978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군 해군 천문대에서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카론 (위성) · 더보기 »

칼리스토 (위성)

리스토() 또는 목성 IV는 목성의 위성으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 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

새로운!!: 위성와 칼리스토 (위성) · 더보기 »

칼립소

립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위성와 칼립소 · 더보기 »

케르베로스 (위성)

르베로스(Kerberos)는 명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케르베로스 (위성) · 더보기 »

판 (위성)

(Pan)은 토성의 위성들 중 토성과 가장 가까운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판 (위성) · 더보기 »

판도라 (위성)

(Pandora)는 토성의 안쪽을 도는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판도라 (위성)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새로운!!: 위성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파시파에 (위성)

시파에(일반적으로 "Pasiphaë"라고 표기한다)는 목성의 역행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파시파에 (위성) · 더보기 »

위미르

위미르를 찢어 죽이는 오딘 삼형제 위미르(), 아우겔미르(), 브리미르(), 블라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존재는 노르드 신화의 태고의 존재로, 모든 요투나르(거인)들의 조상이.

새로운!!: 위성와 위미르 · 더보기 »

위성 목록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들을 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위성들은 181개이.

새로운!!: 위성와 위성 목록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위성와 태양계 · 더보기 »

태양계 소천체

양계 천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오일러 다이어그램 태양계 소천체(Small Solar System body)란 태양계의 천체중 행성이나 왜행성보다 작고 위성이 아닌 천체를 일컫.

새로운!!: 위성와 태양계 소천체 · 더보기 »

타이탄 (위성)

이탄 타이탄을 발견한 사람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타이탄 또는 티탄(Titan)은 토성의 위성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에서는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토성 VI라고 부르기도 한다.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이며, 지구처럼 표면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가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대기 구성이 원시지구와 유사하여 다양한 관심을 받고 있다. 타이탄은 토성에서 20번째로 먼 위성이자 구형 외관을 지니는 일정 질량 이상 되는 위성들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행성과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위성으로 자주 기술되는 것처럼 타이탄은 반지름이 달의 약 1.5배이고 질량은 1.8배나 된다.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크기만으로 따진다면 수성보다 더 크다. (그러나 질량은 수성의 반 정도이.)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5년 3월 25일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들 중 첫 번째로 존재가 증명된 존재였다. 태양계의 위성 중 갈릴레이 위성 다음으로 발견된 첫 천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 신족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이탄 신족은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의 12남매를 지칭한다. 타이탄의 표면은 주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탄은 짙은 대기로 둘려싸여 있기 때문에,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타이탄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했다. 카시니-하위헌스 호의 탐사로부터 탄화 수소로 채워진 호수들이 타이탄의 극지에 존재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면은 지질학적으로 젊었으며, 산과 얼음 화산으로 보여지는 지형들이 몇몇 관찰되었다. 타이탄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했으며, 충돌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메테인과 에테인이 섞여 있다. 타이탄 표면에는 바람과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지구 해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지형도 형성되어 있다. 표면 및 지하에 있는 액체 물질 및 질소로 충만한 대기 때문에 타이탄은 온도가 훨씬 더 낮다는 점만 제외하면 마치 원시 지구의 모습과 유사해 보였다. 이 때문에 타이탄은 예전부터 미생물 혹은 적어도 복잡한 유기 화합물 형태의 생명체가 태동할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져 왔다.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지하에 있는 액체 바다가 생명체가 생겨날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새로운!!: 위성와 타이탄 (위성) · 더보기 »

수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수성 · 더보기 »

오베론 (위성)

보이저 2호가 관측한 오베론 오베론(Oberon)은 천왕성의 제 4위성이며 천왕성의 위성 중 5개 주요위성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자리하고 있는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오베론 (위성) · 더보기 »

오필리아 (동음이의)

오필리아(Ophelia)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위성와 오필리아 (동음이의)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위성와 행성 · 더보기 »

에리스 (왜행성)

스노미아의 상상도 에리스(임시 명칭 2003 UB313)는 산란 분포대에서 발견된 왜행성으로 캘리포니아 주 팔로마 천문대의 천문학자 마이클 E. 브라운이 발견하였.

새로운!!: 위성와 에리스 (왜행성) · 더보기 »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리도메(Eurydome) 또는 목성 XXXII는 목성의 자연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에우리도메 (위성) · 더보기 »

에우포리에 (위성)

에우포리에(Euporie, 또는), 또는 목성 XXXIV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에우포리에 (위성) · 더보기 »

엘라라 (위성)

엘라라(Elara)는 순행하는 목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엘라라 (위성)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새로운!!: 위성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위성와 사람 · 더보기 »

프로메테우스 (위성)

메테우스(Prometheus)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프로메테우스 (위성) · 더보기 »

프로테우스 (위성)

230px 프로테우스(Proteus) 또는 해왕성 VIII는 해왕성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며, 해왕성에서 가까운 곳을 도는 위성들 중에서는 가장.

새로운!!: 위성와 프로테우스 (위성) · 더보기 »

프사마테 (위성)

사마테(Psamathe)는 해왕성의 역행하는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프사마테 (위성) · 더보기 »

프티프랭스

랭스(프랑스어: Petit-Prince)는 소행성 45 외제니아 주위를 도는 소행성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프티프랭스 · 더보기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Ceres)는 소행성대에 있는 왜행성으로, 공식 명칭인 소행성명은 1 세레스(1 Ceres)이.

새로운!!: 위성와 세레스 (왜행성)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위성와 토성 · 더보기 »

토성의 위성

성 행성계 토성의 위성은 2008년 기준으로 약 63개 정도의 위성이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토성의 위성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위성와 소행성 · 더보기 »

소행성 위성

소행성 243 이다. 그 위성 다크틸이 오른쪽에 보인다. 소행성 위성(小行星衛星)은 소행성의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이.

새로운!!: 위성와 소행성 위성 · 더보기 »

할리메데 (위성)

리메데는 해왕성의 제9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할리메데 (위성)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해왕성 · 더보기 »

해왕성의 위성

보이저 2호가 촬영한 해왕성과 트리톤 사진 해왕성의 위성은 현재 14개(2013년 7월 16일 기준)가 발견되어 있. 가장 큰 위성은 트리톤으로, 1846년 윌리엄 라셀이 해왕성을 발견한 17일 후에 발. 두 번째 위성인 네레이드는 백 년이 지난 1949년에서야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해왕성의 위성 · 더보기 »

야누스 (위성)

야누스(Janus)는 토성의 내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야누스 (위성) · 더보기 »

하우메아 (왜행성)

우메아(소행성명 136108 Haumea)는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하우메아 (왜행성) · 더보기 »

하우메아의 위성

우메아와 그 위성들 하우메아의 위성은 2개가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하우메아의 위성 · 더보기 »

아리엘 (위성)

아리엘(Ariel)은 천왕성의 제1위성이며 천왕성의 5개 주요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아리엘 (위성) · 더보기 »

아말테아 (위성)

아말테아(Amalthea)는 1892년 9월 9일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가장.

새로운!!: 위성와 아말테아 (위성) · 더보기 »

아드라스테아 (위성)

아드라스테아()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과 두 번째로 가까운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아드라스테아 (위성) · 더보기 »

아틀라스 (위성)

아틀라스(Atlas)는 토성의 내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아틀라스 (위성) · 더보기 »

테베 (위성)

베(Thebe)는 1979년 3월 5일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을 분석해 스티븐 P. 시넛가 발견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두 번.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신 아소포스의 딸인 테베에서 따왔.

새로운!!: 위성와 테베 (위성) · 더보기 »

테티스 (위성)

스(Tethys)는 토성의 위성으로,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테티스의 지름은 약 1066km이며, 테티스는 태양계에서 16번째로 큰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테티스 (위성) · 더보기 »

티타니아 (위성)

아 티타니아(Titania)는 1787년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천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티타니아 (위성) · 더보기 »

시노페 (위성)

시노페(Sinope)는 세스 반스 니컬슨이 릭 천문대에서 1914년에 발견한 목성의 역행하는 불규칙 위성이고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시노페에서 따왔.

새로운!!: 위성와 시노페 (위성) · 더보기 »

시아르나크 (위성)

시아르나크(Siarnaq, 토성 XXIX)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위성와 시아르나크 (위성) · 더보기 »

움브리엘 (위성)

움브리엘 움브리엘(Umbriel)은 천왕성의 5대 위성 중 하나로 1851년 윌리엄 러셀이 발견하였.

새로운!!: 위성와 움브리엘 (위성) · 더보기 »

외계 위성

모행성을 바라본 모습을 상상한 그림 가상의 가스 행성 주위를 매우 큰 질량을 지닌 지구 비슷한 위성이 돌고 있다. 뜨거운 목성의 위성.가상도 외계 위성(外界衞星)은 외계 행성 또는 자신보다 큰 외계 천체 주위를 도는 자연 위성을 말.

새로운!!: 위성와 외계 위성 · 더보기 »

외계 행성

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외계 행성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위성와 왜행성 · 더보기 »

화성의 위성

화성과 포보스, 데이모스의 상대적인 크기와 거리 화성에는 포보스와 데이모스라는 두 작은 위성이 있. 이 두 위성은 화성의 중력에 잡힌 소행성에서 기원된 것으로 여. 화성의 적도 부근에서 바라봤을 때, 보름달 위치의 포보스는 지구에서 봤을 때의 보름달 크기의 1/3 정. 각지름은 8'(지평선)에서 12'(천정) 사이이.

새로운!!: 위성와 화성의 위성 · 더보기 »

S/2004 N 1

S/2004 N 1 S/2004 N 1의 궤도 S/2004 N 1은 해왕성의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S/2004 N 1 · 더보기 »

(225088) 2007 OR10

(225088) 2007 OR은 해왕성 바깥의 산란 분포대에 존재하는 거대 미행성이며, 태양계에 존재하는 미행성 중에는 가장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 대략 마케마케 및 하우메아와 비슷한 크기이며, 천문학계에서 왜소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 분류:해왕성 바깥 천체 분류:왜행성 후보 분류:2007년 발견한 천체 분류:산란원반 천체.

새로운!!: 위성와 (225088) 2007 OR10 · 더보기 »

10 히기에이아

히기에이아의 천문 기호. 10 히기에이아(10 Hygie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

새로운!!: 위성와 10 히기에이아 · 더보기 »

1000 피아치아

1000 피아치아의 공전 1000 피아치아는 태양을 공전하는 소행성으로 소행성대에 속해 있. 피아치아는 1,000번째 발견된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1000 피아치아 · 더보기 »

102 미리암

102 미리암은 크고 어두운 주요 벨트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102 미리암 · 더보기 »

2 팔라스

2 팔라스(Pallas)는 세레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2 팔라스 · 더보기 »

20000 바루나

20000 바루나(20000 Varuna)는 해왕성 바깥 천체 중 카이퍼 대 천체의 하나로, 그중에서도 큐비원족에 속. 구형에 가까운 형체를 갖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면 왜행성으로 분류될 가능성도 갖고 있. 이 천체는 2000년에 발견되었지만, 1953년에 촬영된 사진에 이미 찍혀 있었.

새로운!!: 위성와 20000 바루나 · 더보기 »

243 이다

243 이다()는 소행성대에 있는 코로니스족의 소행성으로, 1884년 9월 29일에 요한 팔리사가 발견하여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 섬 이다 산에 살던 님프 이다의 이름을 붙였.

새로운!!: 위성와 243 이다 · 더보기 »

25 포카이아

25 포카이아(Phocae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25 포카이아 · 더보기 »

27 에우테르페

27 에우테르페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이. 분류:소행성 분류:S형 소행성 분류:1853년 발견한 천체.

새로운!!: 위성와 27 에우테르페 · 더보기 »

3 유노

유노(Juno)는 세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으로,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1%가량.

새로운!!: 위성와 3 유노 · 더보기 »

367943 두엔데

367943 두엔데(367943 Duende), 과거의 이름은 2012 DA14이며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아폴로족에 속. 2012년 2월에 발견 되었으며, 지름은 30 m, 질량은 40만 mt이.

새로운!!: 위성와 367943 두엔데 · 더보기 »

3753 크뤼트네

(크루이냐)(3753 Cruithne)는 지구와 1:1로 궤도 공명을 하는 아텐 소행성군의 소행성이며 지구 접근 천체이.

새로운!!: 위성와 3753 크뤼트네 · 더보기 »

4 베스타

4 베스타(Vesta)는 내부가 분화된 원시 행성으로 추측되는 소행성으로, 지름은 530 km 이. 소행성대 전제 질량의 9% 가량을.

새로운!!: 위성와 4 베스타 · 더보기 »

50000 콰오아

50000 콰오아(Quaoar)는 해왕성 바깥 천체로 카이퍼 대를 이루고 있. 2002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차드 트루히요와 마이클 브라운이 팔로마 천문대에 있는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하였.

새로운!!: 위성와 50000 콰오아 · 더보기 »

87 실비아

87 실비아(87 Sylvi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중 8번째로 큰 것으로 1866년에 발견되었.

새로운!!: 위성와 87 실비아 · 더보기 »

90377 세드나

90377 세드나(90377 Sedna)는 그 궤도가 태양계 외곽에 미치는 커다란 소행성체이.

새로운!!: 위성와 90377 세드나 · 더보기 »

90482 오르쿠스

90482 오르쿠스()는 661 - 942 km의 반지름을 가졌고, 6.2~6.6 kg 의 질량을 가진 왜행성 후보이.

새로운!!: 위성와 90482 오르쿠스 · 더보기 »

93 미네르바

93 미네르바는 소행성대에 위치한 C형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93 미네르바 · 더보기 »

9969 브라유

9969 브라유(9969 Braille)는 화성 횡단 소행성이.

새로운!!: 위성와 9969 브라유 · 더보기 »

99942 아포피스

2029년 4월 13일, 지구를 근접 통과하는 아포피스 흰색 선 영역이 아포피스가 통과하리라 예측되는 영역이다. 99942 아포피스(99942 Apophis, 임시명: 2004 MN4)는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아텐족에 속. 아포피스라는 이름은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라와 대결하는 신인 아펩의 그리스어 이름에서 왔. 2004년 12월에 천문학자들은 2029년 아포피스가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2.7%에 이른다고 발표하였고, 이 때문에 이 소행성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

새로운!!: 위성와 99942 아포피스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달별, 천연 위성, 자연 위성, 자연위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