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감동

색인 유감동

유감동(兪甘同,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기생, 무희, 시인으로, 양반 출신 부녀자였으나 남편에게 버림받은 뒤 기녀로 생활하며 여러 남성과 연애, 세종대왕 때 남자 40여 명과 간통한 죄로 처벌 받은 여자이.

46 처지: 간통, 강간, 봉석주, 김집, 대방부부인 송씨, 교수형, 남이, 임윤지당, 임영대군, 임성구지, 평강군, 이돈, 이구지, 이승, 이순지, 이어리가, 음력 9월 16일, 의금부, 조선, 조선 성종, 조선 세종, 유감동, 유교, 영의정, 현감, 어우동, 어유소, 양녕대군, 허난설헌, 사방지, 사육신, 사헌부, 성리학, 세종실록, 서산군 (왕족), 한문, 한성부, 학조, 신윤복, 신사임당, 황진이, 황치신, 1427년, 1428년, 2000년, 8월 17일.

간통

통(姦通)은 위반 행위로, 배우자가 있는 사람과 그의 배우자가 아닌 이성(異性)이 자발적으로 성교하는 것을 말. 간통은 위법행위로 재판상 이혼의 사유가 되고, 위자료 청구의 원인이.

새로운!!: 유감동와 간통 · 더보기 »

강간

강간(強姦)은 성폭력(sexual violence) 중 성적 폭행(sexual assault)의 일종으로, 상대방의 동의 없이 억지로 성적 삽입행위를 하는 것을 말. 성폭행(性暴行)이.

새로운!!: 유감동와 강간 · 더보기 »

봉석주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

새로운!!: 유감동와 봉석주 · 더보기 »

김집

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감동와 김집 · 더보기 »

대방부부인 송씨

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 ~ 1507년)는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첫 부인이며, 단종의 부인 정순왕후의 친고모이.

새로운!!: 유감동와 대방부부인 송씨 · 더보기 »

교수형

피사넬로가 그린 그림의 일부, 1436-1438 교수형(絞首刑)은 사형수의 목을 졸라서 질식시키는 사형 방법을 말. 교살형(絞殺刑)이.

새로운!!: 유감동와 교수형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유감동와 남이 · 더보기 »

임윤지당

임윤지당(任允摯堂, 1721년 - 1793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로, 본관은 풍천, 호는 윤지당(允摯堂), 강원도 원주 출신이.

새로운!!: 유감동와 임윤지당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유감동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임성구지

임성구지(林性仇之, ? - ?)는 조선 초기의 인물로, 남녀중간몸의 한 예이.

새로운!!: 유감동와 임성구지 · 더보기 »

평강군

평강군(平康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유감동와 평강군 · 더보기 »

이돈

이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감동와 이돈 · 더보기 »

이구지

현주 이구지(縣主 李仇之, ? ~ 1489년 3월 7일)는 조선 초기의 왕족, 기생으로,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8번째 서녀이.

새로운!!: 유감동와 이구지 · 더보기 »

이승

이승(李勝, ? ~ 249년)은 중국 조위의 관료이자 조상의 심복이.

새로운!!: 유감동와 이승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유감동와 이순지 · 더보기 »

이어리가

이어리가(李於里加)는 유감동 등과 함께 조선 세종 때 일어났던 간통 사건에 연루된 여자이.

새로운!!: 유감동와 이어리가 · 더보기 »

음력 9월 16일

음력 9월 16일은 음력 9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유감동와 음력 9월 16일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유감동와 의금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유감동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유감동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유감동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유감동

유감동(兪甘同,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기생, 무희, 시인으로, 양반 출신 부녀자였으나 남편에게 버림받은 뒤 기녀로 생활하며 여러 남성과 연애, 세종대왕 때 남자 40여 명과 간통한 죄로 처벌 받은 여자이.

새로운!!: 유감동와 유감동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유감동와 유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유감동와 영의정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유감동와 현감 · 더보기 »

어우동

어우동(朴於宇同, 1430년경(?) ~ 1480년 10월 18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이자 시인, 서예가, 작가, 기생, 무희였.

새로운!!: 유감동와 어우동 · 더보기 »

어유소

어유소(1434년 ~ 1489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유(子遊)이며, 본관은 충주이.

새로운!!: 유감동와 어유소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유감동와 양녕대군 · 더보기 »

허난설헌

설헌(許蘭雪軒, 1563년 ~ 1589년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

새로운!!: 유감동와 허난설헌 · 더보기 »

사방지

사방지(舍方知, 謝方知, ? ~ ?)는 조선 초기의 인물로, 남녀한몸의 대표적인 예이.

새로운!!: 유감동와 사방지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유감동와 사육신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유감동와 사헌부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유감동와 성리학 · 더보기 »

세종실록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은 세종의 즉위년(1418년) 8월부터 세종 32년(1450년) 2월에 승하하기 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유감동와 세종실록 · 더보기 »

서산군 (왕족)

서산군 이혜 묘소 (왼쪽이 서산군, 오른쪽은 군부인 김씨 묘소) 서산군 이혜(瑞山君 李譿, ? - 1451년 4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으로 태종의 손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적 3남이.

새로운!!: 유감동와 서산군 (왕족)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유감동와 한문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유감동와 한성부 · 더보기 »

학조

학조(學祖,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유감동와 학조 · 더보기 »

신윤복

신윤복(申潤福, 1758년 ~ 1814년경)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를 잘. 또한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새로운!!: 유감동와 신윤복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유감동와 신사임당 · 더보기 »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1506년? ~ 1567년?)는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작가, 서예가, 음악가, 무희이.

새로운!!: 유감동와 황진이 · 더보기 »

황치신

황치신(黃致身, 1397년 ~ 148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유감동와 황치신 · 더보기 »

14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감동와 1427년 · 더보기 »

14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감동와 1428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유감동와 2000년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감동와 8월 1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깜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