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선도와 허적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윤선도와 허적의 차이

윤선도 vs. 허적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윤선도와 허적의 유사점

윤선도와 허적는 공통적으로 123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사, 무고의 옥, 민회빈 강씨, 민정중, 민종도, 민암, 갑술환국, 경기도, 경상도, 경상남도, 경연, 경신환국, 병자호란, 병조, 관찰사, 북벌론, 북인, 권대운, 불천위, 기사환국, 김자점, 김집 (1574년), 김육, 김태일 (1637년), 김수항, 김석주, 김홍욱, 대북, 남인, 우의정, ..., 우참찬, 승정원, 장렬왕후, 장현광, 임진왜란, 이조, 이사명, 이서우 (1633년), 인평대군, 인선왕후, 의금부, 의정부, 정구 (1543년), 정태화,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조선 현종, 좌의정, 채제공, 청나라, 추증, 유교, 윤증, 윤휴, 윤선거, 영의정, 예송, 형조, 여진, 허목, 사간원, 사헌부, 삼복의 옥, 성리학, 성균관, 서인, 송준길, 송시열, 소현세자, 한성부, 신도비, 홍문관, 홍우원, 10월, 12월, 1574년, 1604년, 1610년, 1633년, 1636년, 1638년, 1639년, 1641년, 1642년, 1645년, 1647년, 1649년, 1650년, 1652년, 1653년, 1654년, 1655년, 1656년, 1657년, 1658년, 1659년, 1662년, 1664년, 1668년, 1671년, 1672년, 1674년, 1675년, 1676년, 1678년, 1679년, 1680년, 1689년, 1694년, 1697년, 1701년, 1795년, 1910년, 2월, 3월, 4월, 5월, 6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3 더) »

도사

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

도사와 윤선도 · 도사와 허적 · 더보기 »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무고의 옥와 윤선도 · 무고의 옥와 허적 · 더보기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민회빈 강씨와 윤선도 · 민회빈 강씨와 허적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민정중와 윤선도 · 민정중와 허적 · 더보기 »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민종도와 윤선도 · 민종도와 허적 · 더보기 »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민암와 윤선도 · 민암와 허적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갑술환국와 윤선도 · 갑술환국와 허적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윤선도 · 경기도와 허적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경상도와 윤선도 · 경상도와 허적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경상남도와 윤선도 · 경상남도와 허적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경연와 윤선도 · 경연와 허적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경신환국와 윤선도 · 경신환국와 허적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병자호란와 윤선도 · 병자호란와 허적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병조와 윤선도 · 병조와 허적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관찰사와 윤선도 · 관찰사와 허적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북벌론와 윤선도 · 북벌론와 허적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북인와 윤선도 · 북인와 허적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권대운와 윤선도 · 권대운와 허적 · 더보기 »

불천위

불천위(不遷位)란 국가공신 혹은 덕망이 높은 자를 나라에서 정하여 제사를 지낼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서, 조선초기 개국공신부터 후기까지의 덕망높은 자들이 선정되었.

불천위와 윤선도 · 불천위와 허적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기사환국와 윤선도 · 기사환국와 허적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김자점와 윤선도 · 김자점와 허적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집 (1574년)와 윤선도 · 김집 (1574년)와 허적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김육와 윤선도 · 김육와 허적 · 더보기 »

김태일 (1637년)

일(金兌一, 1637년 ~ 1702년)은 조선시대 현종, 숙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

김태일 (1637년)와 윤선도 · 김태일 (1637년)와 허적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김수항와 윤선도 · 김수항와 허적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김석주와 윤선도 · 김석주와 허적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김홍욱와 윤선도 · 김홍욱와 허적 · 더보기 »

대북

북은 다음을 가리.

대북와 윤선도 · 대북와 허적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남인와 윤선도 · 남인와 허적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우의정와 윤선도 · 우의정와 허적 · 더보기 »

우참찬

우참찬(右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정헌대부 또는 자헌대부로 정원은 1명이.

우참찬와 윤선도 · 우참찬와 허적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승정원와 윤선도 · 승정원와 허적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윤선도와 장렬왕후 · 장렬왕후와 허적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윤선도와 장현광 · 장현광와 허적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윤선도와 임진왜란 · 임진왜란와 허적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윤선도와 이조 · 이조와 허적 · 더보기 »

이사명

이사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윤선도와 이사명 · 이사명와 허적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윤선도와 이서우 (1633년) · 이서우 (1633년)와 허적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윤선도와 인평대군 · 인평대군와 허적 · 더보기 »

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

윤선도와 인선왕후 · 인선왕후와 허적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윤선도와 의금부 · 의금부와 허적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윤선도와 의정부 · 의정부와 허적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윤선도와 정구 (1543년) · 정구 (1543년)와 허적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윤선도와 정태화 · 정태화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윤선도와 조선 · 조선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윤선도와 조선 광해군 · 조선 광해군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윤선도와 조선 효종 · 조선 효종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윤선도와 조선 인조 · 조선 인조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윤선도와 조선 정조 · 조선 정조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윤선도와 조선 숙종 · 조선 숙종와 허적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윤선도와 조선 현종 · 조선 현종와 허적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윤선도와 좌의정 · 좌의정와 허적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윤선도와 채제공 · 채제공와 허적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윤선도와 청나라 · 청나라와 허적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윤선도와 추증 · 추증와 허적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유교와 윤선도 · 유교와 허적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윤선도와 윤증 · 윤증와 허적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윤선도와 윤휴 · 윤휴와 허적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윤선거와 윤선도 · 윤선거와 허적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영의정와 윤선도 · 영의정와 허적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예송와 윤선도 · 예송와 허적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윤선도와 형조 · 허적와 형조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여진와 윤선도 · 여진와 허적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윤선도와 허목 · 허목와 허적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사간원와 윤선도 · 사간원와 허적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사헌부와 윤선도 · 사헌부와 허적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삼복의 옥와 윤선도 · 삼복의 옥와 허적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성리학와 윤선도 · 성리학와 허적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성균관와 윤선도 · 성균관와 허적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서인와 윤선도 · 서인와 허적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송준길와 윤선도 · 송준길와 허적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윤선도 · 송시열와 허적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소현세자와 윤선도 · 소현세자와 허적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윤선도와 한성부 · 한성부와 허적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신도비와 윤선도 · 신도비와 허적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윤선도와 홍문관 · 허적와 홍문관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윤선도와 홍우원 · 허적와 홍우원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10월와 윤선도 · 10월와 허적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12월와 윤선도 · 12월와 허적 · 더보기 »

1574년

설명이 없습니다.

1574년와 윤선도 · 1574년와 허적 · 더보기 »

1604년

16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04년와 윤선도 · 1604년와 허적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10년와 윤선도 · 1610년와 허적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33년와 윤선도 · 1633년와 허적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36년와 윤선도 · 1636년와 허적 · 더보기 »

1638년

163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38년와 윤선도 · 1638년와 허적 · 더보기 »

1639년

163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39년와 윤선도 · 1639년와 허적 · 더보기 »

1641년

164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1년와 윤선도 · 1641년와 허적 · 더보기 »

1642년

164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2년와 윤선도 · 1642년와 허적 · 더보기 »

1645년

164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5년와 윤선도 · 1645년와 허적 · 더보기 »

1647년

164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7년와 윤선도 · 1647년와 허적 · 더보기 »

1649년

164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9년와 윤선도 · 1649년와 허적 · 더보기 »

1650년

165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0년와 윤선도 · 1650년와 허적 · 더보기 »

1652년

165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52년와 윤선도 · 1652년와 허적 · 더보기 »

1653년

165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3년와 윤선도 · 1653년와 허적 · 더보기 »

1654년

165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4년와 윤선도 · 1654년와 허적 · 더보기 »

1655년

165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5년와 윤선도 · 1655년와 허적 · 더보기 »

1656년

165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56년와 윤선도 · 1656년와 허적 · 더보기 »

1657년

165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7년와 윤선도 · 1657년와 허적 · 더보기 »

1658년

165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8년와 윤선도 · 1658년와 허적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9년와 윤선도 · 1659년와 허적 · 더보기 »

1662년

166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62년와 윤선도 · 1662년와 허적 · 더보기 »

1664년

166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64년와 윤선도 · 1664년와 허적 · 더보기 »

1668년

166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68년와 윤선도 · 1668년와 허적 · 더보기 »

1671년

167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1년와 윤선도 · 1671년와 허적 · 더보기 »

1672년

167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72년와 윤선도 · 1672년와 허적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4년와 윤선도 · 1674년와 허적 · 더보기 »

1675년

167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5년와 윤선도 · 1675년와 허적 · 더보기 »

1676년

167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76년와 윤선도 · 1676년와 허적 · 더보기 »

1678년

167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8년와 윤선도 · 1678년와 허적 · 더보기 »

1679년

167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9년와 윤선도 · 1679년와 허적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80년와 윤선도 · 1680년와 허적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89년와 윤선도 · 1689년와 허적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94년와 윤선도 · 1694년와 허적 · 더보기 »

1697년

169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97년와 윤선도 · 1697년와 허적 · 더보기 »

1701년

170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701년와 윤선도 · 1701년와 허적 · 더보기 »

1795년

179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795년와 윤선도 · 1795년와 허적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와 윤선도 · 1910년와 허적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2월와 윤선도 · 2월와 허적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3월와 윤선도 · 3월와 허적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4월와 윤선도 · 4월와 허적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5월와 윤선도 · 5월와 허적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6월와 윤선도 · 6월와 허적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9월와 윤선도 · 9월와 허적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윤선도와 허적의 비교.

윤선도에는 428 개의 관계가 있고 허적에는 215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2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9.13%입니다 = 123 / (428 + 215).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윤선도와 허적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