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의 차이

이문용 (1882년) vs. 이준용 (1870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의 유사점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는 공통적으로 61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명성황후, 박찬주, 박영효, 경기도, 고양군, 궁내부, 김두한, 김인규, 김윤식, 김성근,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남양주시, 용강면, 운현궁, 임오군란,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관용 (황족), 이달용, 이재선, 이인구, 이진완, 음서, 의민태자, 의친왕, 을미사변, 전주 이씨, 조선, ..., 조선 장조, 조선 철종, 참판, 윤보선, 윤용구, 윤치호, 윤원선, 양주군, 여흥부대부인, 안경수, 아소정, 홍병주, 화도면, 완친왕, 10월 8일, 11월, 1874년, 1882년, 1895년, 1898년, 1901년, 1907년, 1908년, 1917년, 1919년, 1948년, 1월 18일, 3월 22일, 5월, 9월 12일, 9월 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1 더) »

명성황후

쪽.

명성황후와 이문용 (1882년) · 명성황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박찬주

박찬주는 다음 사람을 가리.

박찬주와 이문용 (1882년) · 박찬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박영효와 이문용 (1882년) · 박영효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이문용 (1882년) · 경기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고양군

양군(高陽郡)은 경기도 고양시의 이전 행정구역으로, 조선 태종 13년(1413년) 고봉현과 덕양현을 합쳐서 만든 고양현에 기원.

고양군와 이문용 (1882년) · 고양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궁내부

궁내부(宮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

궁내부와 이문용 (1882년) · 궁내부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김두한와 이문용 (1882년) · 김두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김인규

인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인규와 이문용 (1882년) · 김인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윤식와 이문용 (1882년) · 김윤식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김성근

성근은 다음 사람을 가리.

김성근와 이문용 (1882년) · 김성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와 이문용 (1882년) · 대한제국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대한제국 고종와 이문용 (1882년) · 대한제국 고종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대한제국 순종와 이문용 (1882년) · 대한제국 순종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남양주시와 이문용 (1882년) · 남양주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용강면

용강면은 경기도 고양군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

용강면와 이문용 (1882년) · 용강면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운현궁와 이문용 (1882년) · 운현궁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이문용 (1882년)와 임오군란 · 이준용 (1870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이문용 (1882년)와 흥친왕 · 이준용 (1870년)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이문용 (1882년)와 흥선대원군 · 이준용 (1870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이관용 (황족)와 이문용 (1882년) · 이관용 (황족)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이달용와 이문용 (1882년) · 이달용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이문용 (1882년)와 이재선 ·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인구

이인구는 다음 사람을 가리.

이문용 (1882년)와 이인구 · 이인구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이문용 (1882년)와 이진완 · 이준용 (1870년)와 이진완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음서와 이문용 (1882년) · 음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의민태자와 이문용 (1882년) · 의민태자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의친왕와 이문용 (1882년) · 의친왕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을미사변와 이문용 (1882년) · 을미사변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이문용 (1882년)와 전주 이씨 · 이준용 (1870년)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이문용 (1882년)와 조선 · 이준용 (187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이문용 (1882년)와 조선 장조 · 이준용 (1870년)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이문용 (1882년)와 조선 철종 · 이준용 (1870년)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이문용 (1882년)와 참판 · 이준용 (1870년)와 참판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윤보선와 이문용 (1882년) · 윤보선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윤용구

윤용구는 다음 뜻으로 쓰인.

윤용구와 이문용 (1882년) · 윤용구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윤치호와 이문용 (1882년) · 윤치호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윤원선와 이문용 (1882년) · 윤원선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양주군와 이문용 (1882년) · 양주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여흥부대부인와 이문용 (1882년) · 여흥부대부인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안경수

안경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안경수와 이문용 (1882년) · 안경수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아소정

아소정(我笑亭)은 흥선대원군이 사용하던 별장이.

아소정와 이문용 (1882년) · 아소정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이문용 (1882년)와 홍병주 · 이준용 (1870년)와 홍병주 · 더보기 »

화도면

화도면(華道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이문용 (1882년)와 화도면 · 이준용 (1870년)와 화도면 · 더보기 »

완친왕

완친왕(完親王, 1868년 5월 31일 ~ 1880년 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자이며 추존 친왕이.

완친왕와 이문용 (1882년) · 완친왕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0월 8일

10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1번째(윤년일 경우 282번째) 날에 해당.

10월 8일와 이문용 (1882년) · 10월 8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11월와 이문용 (1882년) · 11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74년

187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74년와 이문용 (1882년) · 1874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82년와 이문용 (1882년) · 1882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5년와 이문용 (1882년) · 1895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8년와 이문용 (1882년) · 1898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1년와 이문용 (1882년) · 1901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7년와 이문용 (1882년) · 1907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08년와 이문용 (1882년) · 1908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7년와 이문용 (1882년) · 1917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9년와 이문용 (1882년) · 1919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8년와 이문용 (1882년) · 1948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월 18일

1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번째(윤년일 경우도 18번째) 날에 해당.

1월 18일와 이문용 (1882년) · 1월 18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3월 22일와 이문용 (1882년) · 3월 22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5월와 이문용 (1882년) · 5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9월 12일와 이문용 (1882년) · 9월 12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9월 4일

9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7번째(윤년일 경우 248번째) 날에 해당.

9월 4일와 이문용 (1882년) · 9월 4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의 비교.

이문용 (1882년)에는 93 개의 관계가 있고 이준용 (1870년)에는 373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6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3.09%입니다 = 61 / (93 + 373).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이문용 (1882년)와 이준용 (1870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