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의 차이

이재선 vs. 이준용 (1870년)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의 유사점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는 공통적으로 57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경기도,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운현궁, 승정원,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관용 (황족), 이조, 이윤용, 이완용, 의금부, 조선, 조선 장조, 조선총독부, 참판, 유길준, 육군, 오위, 양주군, 여흥부대부인, 허욱 (1827년), 서울특별시,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 홍문관, 황현, ..., 10월 26일, 11월, 12월, 12월 28일, 1820년, 1845년, 1870년, 1874년, 1881년, 1885년, 1898년, 1899년, 1907년, 1909년, 1912년, 1914년, 1995년, 1월, 2001년, 3월 22일, 6월 20일, 6월 22일, 7월 15일, 8월 17일, 9월, 9월 12일, 9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 더) »

명성황후

쪽.

명성황후와 이재선 · 명성황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명성황후 (드라마)와 이재선 · 명성황후 (드라마)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이재선 · 경기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와 이재선 · 대한제국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대한제국 고종와 이재선 · 대한제국 고종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대한제국 순종와 이재선 · 대한제국 순종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운현궁와 이재선 · 운현궁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승정원와 이재선 · 승정원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이재선와 흥친왕 · 이준용 (1870년)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이재선와 흥선대원군 · 이준용 (1870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이관용 (황족)와 이재선 · 이관용 (황족)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이재선와 이조 · 이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윤용

이윤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이윤용와 이재선 · 이윤용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이완용와 이재선 · 이완용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의금부와 이재선 · 의금부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이재선와 조선 · 이준용 (187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이재선와 조선 장조 · 이준용 (1870년)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이재선와 조선총독부 · 이준용 (1870년)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이재선와 참판 · 이준용 (1870년)와 참판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유길준와 이재선 · 유길준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육군와 이재선 · 육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오위와 이재선 · 오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양주군와 이재선 · 양주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여흥부대부인와 이재선 · 여흥부대부인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허욱 (1827년)

욱(許煜, 1827년 ~ 1883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이자 흥선대원군의 가인, 측근이었.

이재선와 허욱 (1827년) · 이준용 (1870년)와 허욱 (1827년)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서울특별시와 이재선 · 서울특별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이재선와 한일 병합 조약 · 이준용 (1870년)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이재선와 한성부 · 이준용 (1870년)와 한성부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이재선와 홍문관 · 이준용 (1870년)와 홍문관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이재선와 황현 · 이준용 (1870년)와 황현 · 더보기 »

10월 26일

10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9번(윤년일 경우 300번째) 날에 해당.

10월 26일와 이재선 · 10월 26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11월와 이재선 · 11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12월와 이재선 · 12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2월 28일

1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2번째(윤년일 경우 363번째) 날에 해당.

12월 28일와 이재선 · 12월 28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20년와 이재선 · 1820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45년와 이재선 · 1845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70년

187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70년와 이재선 · 1870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74년

187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74년와 이재선 · 1874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81년와 이재선 · 1881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85년와 이재선 · 1885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8년와 이재선 · 1898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9년와 이재선 · 1899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7년와 이재선 · 1907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9년와 이재선 · 1909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2년와 이재선 · 1912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4년와 이재선 · 1914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5년와 이재선 · 1995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1월와 이재선 · 1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2001년와 이재선 · 2001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3월 22일와 이재선 · 3월 22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6월 20일와 이재선 · 6월 20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6월 22일

6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3번째(윤년일 경우 174번째) 날에 해당.

6월 22일와 이재선 · 6월 22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7월 15일와 이재선 · 7월 15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8월 17일와 이재선 · 8월 17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9월와 이재선 · 9월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9월 12일와 이재선 · 9월 12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9월 1일와 이재선 · 9월 1일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의 비교.

이재선에는 160 개의 관계가 있고 이준용 (1870년)에는 373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57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0.69%입니다 = 57 / (160 + 373).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이재선와 이준용 (1870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