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인천광역시

색인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491 처지: BRT, 런던, 더불어민주당, 도쿄, 도시, 도시 철도, 도원동 (인천), 도원실내체육관, 도화동 (인천), 동 (행정 구역), 동구 (인천광역시), 동인천동, 동인천역, 동춘동, 동해, 롄윈강 시, 룡연군, 만수동, 만석동, 마닐라, 면 (행정 구역), 메리다 (멕시코), 메밀국수, 무의도, 무소속, 문경태후, 문학동, 문학산, 문학야구장, 미추홀, 미추홀구, 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민주자유당, 배구, 배천군, 백제, 백천동, 개풍군, 개신교, 갈산동 (인천), 반텐 주, 갑오개혁, 바다, 간척, 간석동, 강령군, 박남춘, 강수, 강서구 (서울특별시), 강화 삼랑성, ..., 강화도 조약, 강화도새우젓축제, 강화대교, 강화군, 가정동 (인천), 가좌동 (인천),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톨릭,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베네토주, 경덕왕, 경기 방언, 경기도, 경기만, 경인 아라뱃길, 경인고속도로, 경인선, 범선, 버뱅크, 버스 터미널, 검단 (인천광역시), 검단동 (인천), 검암경서동, 검암역, 고려, 고려 문종, 고려 공양왕, 고려 인종, 고려 순종, 고려 숙종, 고려 헌종, 고려 선종, 고려-몽골 전쟁, 고베 시, 고구려, 고인돌, 공공기관, 공항철도, 병인양요, 계양면, 계양구, 계양체육관, 계양역, 계양산, 계산동 (인천), 광역시, 관동 지방, 관교동, 북방한계선, 북구도서관, 북성동, 불교, 부개동, 부개역, 부평동 (인천), 부평구, 부평구청역, 부평군, 부평역, 부천군, 부천시, 부산광역시, 기독교, 기독교대한감리회, 기타큐슈 시, 금곡동, 금창동, 블라디보스토크, 비례대표제, 김포군, 김포시, 대구광역시, 대종교, 대순진리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대한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대한제국 고종, 대한성공회,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대한항공, 냉면, 냉대 동계 소우 기후, 구 (행정 구역), 구월동, 국민의당, 국가 통계 기관 목록, 국제 도로교통 박람회, 국제공항, 군 (행정 구역), 두루미, 남동구,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남촌도림동, 남촌동, 남양군, 내동, 내리교회, 농구, 노량진역, 논현동 (인천), 뉴욕,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다롄 시, 단둥 시, 닭강정, 당진시, 답동성당, G타워 (인천), 효성동, 용흥궁, 용유동, 용현동 (인천), 우각동역, 운요호 사건, 울산광역시, 습윤 대륙성 기후, 자유민주연합, 자유한국당, 장미, 장수동, 장수서창동, 장수왕,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작전동, 잉커우 시, 포르투갈, 포스코타워-송도, , 이청연, 이십삼부, 인경현비, 인절현비, 인천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인천 이씨,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 유나이티드 FC, 인천 상륙 작전,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인천문학경기장,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광역시 소방본부, 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인천광역시계양도서관, 인천광역시부평도서관,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장,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주안도서관, 인천광역시지방경찰청,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화도진도서관, 인천부, 인천대교, 인천대학교,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지방법원, 인천지방검찰청,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역, 인천항, 인천항만공사,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예순덕왕후,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일본, 일신동, 의천, 제2경인고속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제3차 산업,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물포, 전라북도, 전라남도, 전신, 조계,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합환경연구단지, 주안동, 중구 (인천광역시), 중앙도서관, 중화인민공화국, 증산도, 짜장면, 진흥왕, 쫄면, 청동기 시대, 청라동, 청라국제도시, 청나라, 청단군, 청천동, 청학동 (인천), 천도교, 천주교 인천교구, 초지진, 충청남도, 충칭 시, 축구, 칭다오 시, 친황다오 시, 커낼워크, 콜카타, 쾨펜의 기후 구분, 유교, 유정복, 율목도서관, 율목동, 파리 (프랑스), 파나마시티, 위도, 위례성, 상하이 시, 태안군, 숭의동, 숭의교회,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통합요금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봉도서관, 수인선, 영동고속도로, 영국, 영종도, 영종출장소, 오류동역, 오사카 시, 옥련동, 온대 하우 기후, 온조왕, 호놀룰루, 옹진군 (인천광역시), 옹진군 (황해남도), 옌타이 시, 예카테린부르크, 최기선, 여우례, 연희동 (인천), 연수동 (인천), 연수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연안군, 사숙왕후, 산곡동, 삼별초의 난, 삼산동 (인천), 삼산체육관역, 삼산월드체육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프놈펜, 석남동, 선학동, 성공회 내동성당, 서구 (인천광역시), 서운동,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특별시, 서울역,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창동, 서산시, 서해 5도, 송도 센트럴파크, 송도국제도시, 송도컨벤시아, 송림동, 송영길 (정치인), 송현동 (인천), 송학동, 송월동, 송월동 (인천), 소래포구역, 소헌왕후, 소사역, 톈진 시,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항동, 야구, 알렉산드리아, 한반도, 한강, 한강철교, 한국, 한국 전쟁, 한국 정교회, 한국마사회, 한국고속철도,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여자프로농구, 한국프로농구, 안상수 (1946년 5월), 하이퐁, 앵커리지, 필라델피아, 아시아나항공, 학익동, 텔아비브, 신도 (옹진군), 신라, 신라의 삼국통일, 신미양요, 신포동, 신포동 (인천), 신흥동 (인천), 신현동, 신현원창동, 신석기 시대, 실미도, 심곡동, 십정동, 싱가포르, 시도 (옹진군), 시흥시, 원불교, 원산시, 웨이하이 시, 월미도, 홍콩, 황사, 황해, 황해북도, 황해남도, 화수1화평동, KBO 리그, K리그1, SK 와이번스, V-리그 (대한민국), WK리그, 10월, 10월 10일, 10월 15일, 10월 1일, 10월 25일, 10월 27일, 10월 4일, 1105년, 11월 21일, 12월 29일, 1390년, 1392년, 13세기, 1413년, 1460년, 1875년, 1882년, 1883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2년, 1906년, 1910년, 1913년, 1914년, 1936년, 1940년, 1945년, 1949년, 1950년, 1962년, 1963년, 1967년, 1968년, 1971년, 1974년, 1981년, 1986년, 1988년, 1989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8년, 1월 1일, 1월 28일, 2000년, 2001년, 2002년, 2002년 FIFA 월드컵, 2003년, 2004년, 2006년,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2009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4년 아시안 게임, 2016년, 2017년, 2018년, 3월 1일, 3월 28일, 3월 29일, 3월 30일, 475년, 4월 1일, 6세기, 6월 14일, 6월 30일, 757년, 7월 1일, 7월 4일, 7월 5일, 8월 15일, 8월 29일, 8월 7일, 9월 15일, 9월 18일, 9월 1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41 더) »

BRT

BRT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BRT · 더보기 »

런던

()은 잉글랜드와 영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런던 · 더보기 »

더불어민주당

1988년 이후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더불어민주당(-民主黨)은 대한민국의 사회자유주의 정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더불어민주당 · 더보기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쿄 · 더보기 »

도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메트로폴리스인 일본의 도쿄도 도시(都市)는 인간의 정치·경제·사회적인 활동 무대가 되는 장소이며, 인구 집중으로 인해 비교적 인구 및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말. 도시는 행정·사회적인 의미인 도(都)와 경제적인 의미인 시(市)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 도시에는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 도시의 중심기능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 시가지라 부르며, 시가지의 주변에 있는 지역을 교외.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시 · 더보기 »

도시 철도

시철도(都市鐵道)는 도시 혹은 광역권 내부 지역 간의 교통을 담당하기 위해 건설 된 철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시 철도 · 더보기 »

도원동 (인천)

원동(桃源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원동 (인천) · 더보기 »

도원실내체육관

육관 입구 도원실내체육관(桃源室內體育館)은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에 있는 실내 체육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원실내체육관 · 더보기 »

도화동 (인천)

화동(道禾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북서부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도화동 (인천) · 더보기 »

동 (행정 구역)

동주민센터(경남 통영시 봉평동) 동(洞)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의 하나로 구 또는 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 (행정 구역) · 더보기 »

동구 (인천광역시)

청사 입구 청사 입구 동구(東區)는 인천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동인천동

동인천동(東仁川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인천동 · 더보기 »

동인천역

동인천역(東仁川驛)은 인천광역시 중구 인현동에 있는 경인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인천역 · 더보기 »

동춘동

동춘동(東春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춘동 · 더보기 »

동해

동해(東海)는 아시아의 동북부에 위치한 태평양의 연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동해 · 더보기 »

롄윈강 시

윈강(연운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롄윈강 시 · 더보기 »

룡연군

위성사진 소래교회 (1895년) 룡연군(龍淵郡)은 황해남도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룡연군 · 더보기 »

만수동

만수동(萬壽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에 속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만수동 · 더보기 »

만석동

만석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만석동 · 더보기 »

마닐라

마닐라 특별시()는 루손 섬 남서부에 있는 필리핀의 수도로 면적은 약 38km2, 인구는 약 165만 명(2010)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마닐라 · 더보기 »

면 (행정 구역)

면(面)은 대한민국의 자치시·군 또는 행정시의 하부 행정 구역 이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면 (행정 구역) · 더보기 »

메리다 (멕시코)

메리다(Mérida)는 유카탄 주의 주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메리다 (멕시코) · 더보기 »

메밀국수

메밀국수 메밀국수는 메밀과 밀가루와 전분 등을 섞어 만든 국수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메밀국수 · 더보기 »

무의도

무의도(舞衣島)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행정동은 용유동)의 섬으로,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용유도의 남서쪽에 있. 면적은 2011년 말 기준으로 10.21 km²이고, 인구는 2016년 8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33 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무의도 · 더보기 »

무소속

무소속(無所屬)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음을 의미.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무소속 · 더보기 »

문경태후

순덕왕후 이씨(順德王后 李氏, ? ~ 1118년 음력 9월 5일) 또는 문경왕태후(文敬王太后)는 고려의 제16대 왕 예종의 제2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문경태후 · 더보기 »

문학동

문학동(文鶴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대한민국의 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문학동 · 더보기 »

문학산

문학산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연수구를 경계로 하는 산이며 높이는 해발 213m에 이른.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문학산 · 더보기 »

문학야구장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내야 전경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Incheon SK Happy Dream Park)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야구장으로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홈구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문학야구장 · 더보기 »

미추홀

미추홀(彌鄒忽)은 현재의 인천광역시 일부를 일컫는 백제 시대의 지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미추홀 · 더보기 »

미추홀구

미추홀구(彌鄒忽區)는 인천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미추홀구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통합민주당 당시의 로고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대한민국의 정당이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 더보기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약칭 민자당)은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존재하였던 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민주자유당 · 더보기 »

배구

배구(排球)는 각 6명 또는 9명(국제 경기에서는 각 6명을 많이함, 사회 경기에서 각 9명을 많이함.)으로 구성된 두 팀이 중앙에 네트가 설치된 코트에서 네트 너머로 공을 쳐 넘기며 겨루는 구기 경기 종목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배구 · 더보기 »

배천군

배천군(白川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동남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배천군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백제 · 더보기 »

백천동

백천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백천동 · 더보기 »

개풍군

풍군(開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개풍군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개신교 · 더보기 »

갈산동 (인천)

산동(葛山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갈산동 (인천) · 더보기 »

반텐 주

반텐 주의 위치 반텐 주의 문장 반텐 주()는 인도네시아의 주 가운데 하나로, 자와 섬 최서단에 위. 주도는 세랑이며 인구는 10,600,000명(2010년 기준), 면적은 9,160.7km2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반텐 주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갑오개혁 · 더보기 »

바다

북해, 덴마크 연안 바다 또는 해양()은 지구 표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바다 · 더보기 »

간척

척(干拓)은 얕은 바다를 육지로 활용하기 위해 인공 제방을 쌓고 해수를 퍼내며 일부분을 인공호수를 만들어 땅을 고르는 작업을 말. 네덜란드의 폴더(polder)는 인공 제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해수면보다 낮은 땅, 국토의 약 17%인데 간척 사업은 15세기 풍차 발명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 북해에 32km의 제방 구축, 대규모 농경지 조성 세계적 규모의 간척 사업을 계획중이며 그 효과로 담수호를 조성하여 주변 농업 지대에 관개 용수 공급하고 네덜란드의 북부와 동부 지역을 가깝게 연.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간척 · 더보기 »

간석동

석동(間石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간석동 · 더보기 »

강령군

강령군(康翎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남서부 해안 지역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령군 · 더보기 »

박남춘

박남춘(朴南春, 1958년 7월 2일, 인천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박남춘 · 더보기 »

강수

강수(降水) 현상은 지구의 물 순환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하여 땅에 내리는 모든 것을 뜻하는 기상학 용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수 · 더보기 »

강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江西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서구 (서울특별시) · 더보기 »

강화 삼랑성

강화 삼랑성(江華 三郞城)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정족산에 위치하고 있는 성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화 삼랑성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강화도새우젓축제

강화도새우젓축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개최하는 지역 축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화도새우젓축제 · 더보기 »

강화대교

강화대교(江華大橋)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에서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까지 연결하는 연륙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화대교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강화군 · 더보기 »

가정동 (인천)

정동(佳停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정동 (인천) · 더보기 »

가좌동 (인천)

좌동(佳佐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좌동 (인천) · 더보기 »

가천대학교

학교(嘉泉大學敎, Gacho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천대학교 · 더보기 »

가천대학교 길병원

학교 길병원(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은 가천길재단 산하의 병원이며 2012년 현재 1700병상을 보유하고 있. 길병원은 동인천길병원을 비롯, 전국에 5개의 자병원을 두고 있으며, 법인관계기관으로는 가천대학교(가천학원), 경인일보, Bio Research Complex, 가천문화재단등이 있.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774번길 21 (구월1동 1198)번지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천대학교 길병원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톨릭 · 더보기 »

가톨릭관동대학교

릭관동대학교(가톨릭關東大學校, Catholic Kwandong University)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계열의 사립 대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톨릭관동대학교 · 더보기 »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가톨릭關東大學校國際聖母病院,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International St. Mary's Hospital)은 인천광역시 서구 심곡로 100번길 25에 있는 가톨릭관동대학교 부속 병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 더보기 »

가톨릭대학교

릭대학교(가톨릭大學校,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는 1855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계통 사립 대학으로, 한국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교이자 고등교육기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톨릭대학교 · 더보기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가톨릭大學校仁川聖母病院,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cheon St. Mary's Hospital)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로 56 (부평6동 665-8)에 있는 가톨릭대학교 부속 병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 더보기 »

베네토주

붉은 색이 '''베네토 주''' 베네토 주의 주도인 '''베네치아''' 베네토 주(Regione del Veneto)는 이탈리아의 북동부에 위치한 레조네()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베네토주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덕왕 · 더보기 »

경기 방언

경기 방언(京畿方言)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과 강원도의 영서 지방(영월·정선·평창은 제외),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서 주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사투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기 방언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 더보기 »

경기만

경기만(京畿灣)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남도 옹진반도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기만 · 더보기 »

경인 아라뱃길

경인 아라뱃길(京仁아라뱃길) 또는 경인운하는 한강 하류의 행주대교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과 시천동을 연결하는 운하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인 아라뱃길 · 더보기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京仁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20호선)는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 서인천 나들목을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신월 나들목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인고속도로 · 더보기 »

경인선

경인선(京仁線)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총 연장 27 km의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경인선 · 더보기 »

범선

리 캐러벨 브리간틴 프리깃 범선(帆船)이나 돛단배는 돛을 달아 풍력을 이용하여 항해하거나 동력을 이용해 운항하는 배를 말. 범선의 종류는 돛을 사용하는 방식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범선 · 더보기 »

버뱅크

버뱅크(Burbank)는 인명과 지명으로 쓰이는 영어 이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버뱅크 · 더보기 »

버스 터미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터미널인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버스 터미널(bus terminal)은 도시나 도시 사이를 오가는 버스가 승객들을 태우거나 내리게 하는 장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버스 터미널 · 더보기 »

검단 (인천광역시)

(黔丹)은 인천광역시 서구의 북부를 일컫는 지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검단 (인천광역시) · 더보기 »

검단동 (인천)

동(黔丹洞)은 인천광역시 서구 북부 검단 지역의 마전동 일부와 금곡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검단동 (인천) · 더보기 »

검암경서동

암경서동(黔岩景西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검암경서동 · 더보기 »

검암역

암역(黔岩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에 있는 공항철도와 한국철도공사, 그리고 인천교통공사의 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검암역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문종 · 더보기 »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공양왕 · 더보기 »

고려 인종

인종(仁宗, 1109년 10월 29일 (음력 10월 4일) ~ 1146년 4월 10일 (음력 2월 28일)은 고려 제17대 국왕(재위: 1122년 ~ 1146년)이다. 휘는 해(楷), 자는 인표(仁表), 묘호는 인종(仁宗), 시호는 극안공효대왕(克安恭孝大王). 예종과 순덕왕후(順德王后) 이씨(李氏)의 맏아들이다. 1122년부터 1146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122년부터 1126년까지 외조부 이자겸(李資謙)이 섭정(攝政)을 하였고 이자겸을 축출한 1126년부터 1146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親政)을 하였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인종 · 더보기 »

고려 순종

순종(順宗, 1047년 12월 28일 (음력 12월 9일) ~ 1083년 12월 5일 (음력 10월 23일))은 고려 제12대 국왕(재위: 1083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순종 · 더보기 »

고려 숙종

숙종(肅宗, 1054년 9월 2일 (음력 7월 28일) ~ 1105년 11월 10일 (음력 10월 2일)은 고려 제15대 국왕(재위: 1095년 ~ 1105년)이다. 초명은 희(熙), 휘는 옹(顒), 자는 천상(天常), 시호는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이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숙종 · 더보기 »

고려 헌종

종(獻宗, 1084년 8월 1일 (음력 6월 27일) ~ 1097년 11월 6일 (음력 10월 7일)은 고려 제14대 국왕(재위: 1094년 ~ 1095년)이다. 휘는 욱(昱), 묘호는 헌종(獻宗), 시호는 공상정비회효대왕(恭殤定比懷孝大王). 선종과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의 맏아들이다. 신병으로 숙부에게 왕위를 선위하고 2년 뒤에 사망하였다. 1094년부터 1095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모후 사숙왕후(思肅王后)가 섭정하였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헌종 · 더보기 »

고려 선종

선종(宣宗, 1049년 10월 9일 (음력 9월 10일) ~ 1094년 6월 17일 (음력 5월 2일)은 고려 제13대 국왕(재위: 1083년 ~ 1094년)이다. 휘는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자는 계천(繼天),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이다. 문종과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의 아들이다. 국원공에 책봉되었다가 친형 순종이 3개월만에 요절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 선종 · 더보기 »

고려-몽골 전쟁

씨의 무단정치(武斷政治) 하에 있는 동안 중앙아시아 대륙에서는 테무친이 등장하여 몽골족을 통일하고, 1206년(희종 2년)에는 칭기즈 칸이라 칭하고 강대한 제국(帝國)으로 군림하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려-몽골 전쟁 · 더보기 »

고베 시

베 시(신호시)는 일본에서 6번째로 큰 도시로 효고현의 현청 소재지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항만 도시로 인구는 약 150만 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베 시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구려 · 더보기 »

고인돌

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지석묘; 支石墓, dolmen)은 크고 평평한 바위를 몇 개의 바위로 괴어 놓은 고대의 거석 구조물(Megalith)을 말. 아시아와 유럽, 북아프리카에 6만기 정도가 분포하며, 숫자상으로 한국에 남·북한을 합쳐 4만기 정도로 가장 많. 고인돌은 윗부분이 평평하며, 내부에는 방이 마련되어 있. 세워진 연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유럽과 아프리카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4,000년, 동아시아는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수백 년 전후로 추정.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고인돌 · 더보기 »

공공기관

공공기관(公共機關)은 공공적인 기관을 의미.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공공기관 · 더보기 »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공항철도(空港鐵道)는 여객용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철도의 통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공항철도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병인양요 · 더보기 »

계양면

양면(桂陽面)은 경기도 부천군을 거쳐서 김포군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양면 · 더보기 »

계양구

양구(桂陽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동북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양구 · 더보기 »

계양체육관

양체육관(桂陽體育館)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에 있는 실내 체육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양체육관 · 더보기 »

계양역

양역(桂陽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인천교통공사와 공항철도의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양역 · 더보기 »

계양산

양산(桂陽山)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높이 394m의 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양산 · 더보기 »

계산동 (인천)

산동(桂山洞)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계산동 (인천) · 더보기 »

광역시

광역시(廣域市)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광역시 · 더보기 »

관동 지방

동 지방(關東地方)은 강원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관동 지방 · 더보기 »

관교동

동(官校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대한민국의 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관교동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북구도서관

북구도서관(北區圖書館)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북구도서관 · 더보기 »

북성동

북성동(北城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북성동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불교 · 더보기 »

부개동

부개동(富開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속해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개동 · 더보기 »

부개역

역명판 부개역(富開驛)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에 있는 경인선의 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개역 · 더보기 »

부평동 (인천)

부평동(富平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평동 (인천) · 더보기 »

부평구

인천 부평구청 부평구(富平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평구 · 더보기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富平區廳驛)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과 갈산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평구청역 · 더보기 »

부평군

부평군(富平郡)은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이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평군 · 더보기 »

부평역

부평역(富平驛)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에 있는 경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평역 · 더보기 »

부천군

부천군(富川郡)은 1914년 4월부터 1973년 6월까지 존재한 경기도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천군 · 더보기 »

부천시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천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대한감리회

독교대한감리회 (基督敎大韓監理會)는 대한민국에서 존 웨슬리 신학과 감리교 신앙과 제도를 따르는 개신교 교단으로 세계감리교협의회 정식 소속 교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기독교대한감리회 · 더보기 »

기타큐슈 시

슈 시()는 일본 규슈 최북단에 있는 후쿠오카현의 도시로 후쿠오카 현 내에서는 북동부에 있. 정령지정도시 중 하나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기타큐슈 시 · 더보기 »

금곡동

곡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금곡동 · 더보기 »

금창동

창동(金昌洞)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금창동 · 더보기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중국조선말: 블라지보스또크)는 러시아의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블라디보스토크 · 더보기 »

비례대표제

민국의 국회의원 총선거: 비례대표(전국구)국회의원 선출 투표용지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는 정당의 득표율에 비례해 당선자 수를 결정하는 선거 제도로, 각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의 비율을 의회 구성에 반영하기 위해 생겨난 제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비례대표제 · 더보기 »

김포군

(金浦郡)은 경기도 김포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김포군 · 더보기 »

김포시

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 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김포시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종교

종교(大倧敎)는 한민족의 교조로 여겨지는 단군을 신봉하는 신흥 종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종교 · 더보기 »

대순진리회

순진리회(大巡眞理會)는 증산(甑山) 강일순의 가르침을 모태로 하여 박한경에 의해서 세워.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순진리회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약칭: 국토부, MOLIT)는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조정, 국토의 보전·이용 및 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하천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은 다음과 같. 표는 대한민국의 도시(시 단위 이상)를 인구 순으로 배열한 것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성공회(大韓聖公會)는 대한민국의 독립된 성공회 교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성공회 · 더보기 »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성공회 강화성당(大韓聖公會 江華聖堂)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에 세워진 성공회 성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성공회 온수리성당(溫水里聖堂)은 1906년에 건립된 대한성공회의 한옥 성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성공회 서울교구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성공회의 교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 더보기 »

대한항공

(주)대한항공(大韓航空)은 대한민국의 국책 항공사이자, 항공 동맹체인 스카이팀의 창립 항공사.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대한항공 · 더보기 »

냉면

냉면(冷麵,, Naengmyeon 또는 raengmyŏn)은 한반도 고유의 찬국수 요리 중 하나로 삶은 국수를 찬 육수에 넣고 양념과 고명을 얹은 요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냉면 · 더보기 »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냉대 동계 소우 기후의 분포 모습. 포드졸 토양의 모습. 회백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냉대 동계 소우 기후(冷带冬季少雨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w이다. 트란스 바이칼 기후 라고도 한다. 여름에는 온도가 비교적 높고, 겨울에는 맑은 날씨가 지속되고 약한 바람이 분다. 복사냉각 때문에 매우 쌀쌀한 것이 특징이다. 또 여름에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린다. 겨울은 여름에 비해 매우 긴 편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가 짙게 나타난다. 냉대 동계 소우 기후는 매우 추운 기후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곳과 재배 수종 및 수가 제한되어 있다. 수수, 옥수수, 봄밀 등을 재배한다. 북부는 타이가 기후와 같이 타이가가 많이 나타나 임업활동을 한다. 숲 또한 냉대 습윤 기후와 비슷하여 남부에는 침엽수와 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혼합림이, 북부에는 타이가(침엽수림)이 잘 나타난다. 북부는 추위에도 잘 견디는 가늘고 뾰족한 잎을 가진 침엽수가 자라기 유리하기 때문에 타이가가, 남부에는 북부보다 따뜻하여 혼합림이 잘 나타난다. 남부 지역의 극소수에서만 벼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은 주로 포드졸이 나타나고, 혼합림에서는 갈색 삼림토가 나타나는데, 포드졸은 유기물이 분해되지는 않았으나, 소금기를 잘 머금지 않고 침엽수림의 특성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에 반해 갈색 삼림토는 물을 잘 흡수하고 포드졸에 비해 약산성을 띠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와 목축에 알맞다. 이런 냉대 동계 소우 기후가 나타나는 곳으로는 시베리아 동부, 중국 북부, 대한민국 북부 내륙 지역과 남부의 일부 산악지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부분, 캐나다 일부 지역 등이 있으며, 특히 시베리아 동부는 세계의 한극을 만들어 낸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냉대 동계 소우 기후 · 더보기 »

구 (행정 구역)

(區)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시의 하위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구 (행정 구역) · 더보기 »

구월동

월동(九月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구월동 · 더보기 »

국민의당

국민의당(國民의黨)은 2016년에 창당된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이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국민의당 · 더보기 »

국가 통계 기관 목록

음은 국가 통계 기관 목록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국가 통계 기관 목록 · 더보기 »

국제 도로교통 박람회

국제도로교통박람회(International Road & Traffic Expo, ROTREX)는 2005년 부터 2년 간격으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도로교통분야 전문 박람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국제 도로교통 박람회 · 더보기 »

국제공항

국제공항(國際空港)은 서로 다른 국가들을 연결하는 공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국제공항 · 더보기 »

군 (행정 구역)

군(郡)은 행정 구역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군은 도 및 광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자 기초지방자치단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두루미

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 한 종으로, 한국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겨울철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두루미 · 더보기 »

남동구

인천광역시 남동구청 청사 남동구(南洞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동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남동구 · 더보기 »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Namdong Asiad Rugby Field)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럭비 경기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 더보기 »

남촌도림동

림동(南村桃林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남촌도림동 · 더보기 »

남촌동

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남촌동 · 더보기 »

남양군

양군(南陽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화성시 서부(남양읍 등)와 안산시 대부동,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일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남양군 · 더보기 »

내동

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내동 · 더보기 »

내리교회

리교회 내리교회(內里敎會)는 대한민국의 감리회 교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내리교회 · 더보기 »

농구

농구(籠球)는 손을 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으며 다리를 제외한 신체부위 접촉이 허용되는 구기 경기 종목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농구 · 더보기 »

노량진역

량진역(鷺梁津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노량진역 · 더보기 »

논현동 (인천)

현동(論峴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논현동 (인천) · 더보기 »

뉴욕

욕(뉴욕 시티; 시티 오브 뉴욕; NYC)은 미국 북동부, 뉴욕 주의 남쪽 끝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뉴욕 · 더보기 »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SUNY Kore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스토니브룩 대학교의 캠퍼스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 더보기 »

다롄 시

(대련,, 영어: Dalniy/Dairen/Dalian)은 랴오닝 성의 도시로, 랴오둥 반도 끝에 자리잡은 부동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다롄 시 · 더보기 »

단둥 시

둥 시()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에 있는 도시로, 면적 1만 5030km2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단둥 시 · 더보기 »

닭강정

닭강정은 닭고기를 튀겨서 마늘이나 마른고추 등 양념을 넣고 여기에 간장 또는 물엿 등을 넣고 조려내거나 볶아내는 음식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닭강정 · 더보기 »

당진시

당진시(唐津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해안 최북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당진시 · 더보기 »

답동성당

답동성당(沓洞聖堂)은 인천광역시 중구 답동에 위치한 천주교 인천교구의 주교좌 대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성 바오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답동성당 · 더보기 »

G타워 (인천)

G타워()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센트럴파크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타워로 2013년 완공되었으며, 송도가 아시아 최초로 유치한 UN 국제기구 본사 중 대표적으로 GCF(녹색기후기금)가 입주해 있. 또GCF의 형제격인 GGGI 등 여러 환경 보호 관련 국제기구 사무국들도 함께 입주해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G타워 (인천) · 더보기 »

효성동

효성동(曉星洞)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효성동 · 더보기 »

용흥궁

용흥궁(龍興宮)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용흥궁 · 더보기 »

용유동

용유동(龍游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용유동 · 더보기 »

용현동 (인천)

용현동(龍峴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용현동 (인천) · 더보기 »

우각동역

우각동역(牛角洞驛)은 대한제국 경기도 인천부(현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했던 경인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우각동역 · 더보기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 또는 강화도 사건(江華島事件)은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운요호 사건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습윤 대륙성 기후

습윤 대륙성 기후 중 더운 여름 지역의 분포 모습. 습윤 대륙성 기후 중 따뜻한 여름 지역의 분포 모습. 습윤 대륙성 기후(濕潤大陸性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는 기후 중 하나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습윤 대륙성 기후 · 더보기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 약칭 자민련)은 1995년 3월 30일에 창당돼 2006년 4월 7일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자유민주연합 · 더보기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자유한국당 · 더보기 »

장미

장미(薔薇))는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관목의 총칭이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장미 · 더보기 »

장수동

장수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장수동 · 더보기 »

장수서창동

장수서창동(長壽西昌洞)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장수서창동 · 더보기 »

장수왕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장수왕 · 더보기 »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락 페스티벌()은 매년 여름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리는 록 페스티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 더보기 »

작전동

작전동(鵲田洞)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작전동 · 더보기 »

잉커우 시

잉커우(영구)는 랴오닝 성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4970km², 인구는 233만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잉커우 시 · 더보기 »

포르투갈

르투갈(), 정식 명칭 포르투갈 공화국()은 유럽 서남부에 위치한 나라로, 이베리아 반도의 서부와 북대서양 상의 군도들을 그 영. 국토의 총 면적은 92,090 km² 로, 동쪽과 북쪽은 스페인, 서쪽과 남쪽은 대서양을 맞댄 대륙부와 대서양 상의 두 자치지역인 아소르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로 구성되어 있. 포르투갈은 유럽 대륙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나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포르투갈 · 더보기 »

포스코타워-송도

스코타워-송도(), 동북아무역타워()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마천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포스코타워-송도 · 더보기 »

자의 고을 읍 읍(邑)은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읍 · 더보기 »

이청연

이청연(李淸淵,1954년 5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이청연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인경현비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 - ?)는 고려 문종의 제3비이며 문하시중 이자연의 둘째 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경현비 · 더보기 »

인절현비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 ~ 1082년 음력 7월 29일)는 고려의 제11대 왕 문종의 제4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절현비 · 더보기 »

인천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仁川都市鐵道)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인천교통공사에 의하여 운행되는 도시 철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도시철도 · 더보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仁川都市鐵道一號線)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계양역과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국제업무지구역을 잇는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더보기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仁川都市鐵道二號線)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의 검단오류역과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운연역을 잇는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더보기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인천시립도원체육관에 걸린 대한항공 점보스 배구단의 사진들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Incheon Korean Air Jumbos)는 한국배구연맹에 속한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 더보기 »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는 대한민국의 악기 관련 박람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 · 더보기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여자 배구단(Incheon Heungkuk Life Insurance Pink Spiders Women's Volleyball Team)은 한국배구연맹에 속한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배구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 더보기 »

인천 이씨

인천 이씨(仁川 李氏)는 인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이씨 · 더보기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Incheon ETLand Elephants)는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농구단이며, 2003년 8월 6일 전자제품 유통 업체인 전자랜드가 인천 SK 빅스를 인수하여 창. 홈 경기장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2동에 위치한 삼산월드체육관이며, 전자랜드가 인수한 이래로 마스코트는 코끼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더보기 »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은 인천역 앞에 있는 차이나타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차이나타운 · 더보기 »

인천 유나이티드 FC

인천 유나이티드 FC(Incheon United Football Club, 인천 유나이티드 축구단)는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 K리그1 소속의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Battle of Incheon)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시작된 상륙작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상륙 작전 · 더보기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Incheon Hyundai Steel Red Angels)는 1993년에 창단한 대한민국 최초의 여자 실업축구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더보기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Incheon Shinhan Bank S-Birds)는 대한민국 WKBL 소속 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더보기 »

인천문학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仁川文鶴競技場)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문학경기장 · 더보기 »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仁川經濟自由區域)은 송도국제도시와 영종도, 청라국제도시를 잇는 3각축형 경제자유구역으로 형성하여 연면적 169.5km2(41,884에이커) 규모로 개발할 계획에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 · 더보기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仁川空港 磁氣浮上鐵道)는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용유역을 잇는 6.1km 길이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더보기 »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역(仁川空港―驛)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있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철도역으로,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에 위. 코레일의 일반 여객 업무용 전산에는 인천공항T1으로 등록되어 있. 개통 당시 역명은 인천국제공항역이었으나, 인천공항2터미널역이 생기면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공항1터미널역 · 더보기 »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仁川空港2터미널驛)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공항2터미널역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소방본부

인천광역시 소방본부(仁川廣域市 消防本部, Incheon Fire Department)는 인천광역시를 관할하는 인천광역시청산하의 소방본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 소방본부 · 더보기 »

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

인천광역시 미추홀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776번길 53 (구월4동)에 있는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 · 더보기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인천경제자유구역청(仁川經濟自由區域廳, Incheon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IFEZA)은 인천광역시를 국제적인 경제 거점도시이자 전문 서비스업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인천광역시청의 출장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 더보기 »

인천광역시계양도서관

양도서관은 2004년 3월 25일에 문을 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공공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계양도서관 · 더보기 »

인천광역시부평도서관

인천광역시 부평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원대로 1191 (십정동)에 있는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부평도서관 · 더보기 »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仁川廣域市敎育廳, Incheon Metropoliean City Office of Education)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인천광역시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교육청 · 더보기 »

인천광역시장

인천광역시장(仁川廣域市長)은 인천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장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회 · 더보기 »

인천광역시주안도서관

주안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4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주안도서관 · 더보기 »

인천광역시지방경찰청

인천광역시지방경찰청(仁川廣域市地方警察廳)은 인천광역시 전 지역을 담당하는 지방 경찰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지방경찰청 · 더보기 »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仁川廣域市廳, Incheon Metropolitan City Hall)은 인천광역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으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에 위치하고 있. 시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부시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나 별정직 1급상당 지방공무원 또는 지방관리관으로 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청 · 더보기 »

인천광역시화도진도서관

화도진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22에 있는 공공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화도진도서관 · 더보기 »

인천부

인천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부 · 더보기 »

인천대교

인천대교(仁川大橋)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있는 다리로, 중구 운서동 영종 나들목과 연수구 송도동 연수 분기점을 연. 제2경인고속도로를 구성하는 고속도로 교량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대교 · 더보기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仁川大學校, Incheon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국립대학법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대학교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仁川國際空港)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국제공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국제공항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仁川國際空港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30호선)는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국제공항을 기점으로, 경기도 고양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仁川國際空港公社,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IIAC)는 인천국제공항의 효율적인 건설 및 관리/운영을 통해 항공운송 원활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공기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철도

I'REX 시절의 로고, 2007년에 AREX으로 바뀌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내부 인천국제공항철도(仁川國際空港鐵道)는 서울역에서 용유차량기지와 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간선철도 및 공항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국제공항철도 · 더보기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구 연남로 35(관교동 15)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더보기 »

인천지방법원

인천지방법원 인천지방법원(仁川地方法院)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지방법원 · 더보기 »

인천지방검찰청

인천지방검찰청(仁川地方檢察廳)은 인천지방법원에 대응하여 항소사건에 대한 소송 유지 및 항고사건 처리와 행정소송을 비롯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사건을 수행하고 진행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소속기관으로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성로 163번길 49번지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지방검찰청 · 더보기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에 있는 축구전용경기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더보기 »

인천역

인천역(仁川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에 있는 경인선, 수인선의 시·종착역이자 환승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역 · 더보기 »

인천항

인천항(仁川港)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서해안 제1의 무역항구로 수도권 지방의 해상 관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항 · 더보기 »

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仁川港灣公社, Incheon Port Authority)는 인천항을 동북아 중심 항만으로 발전시키고, 동북아 경제 중심 국가 건설 및 인천항을 정부 관리에서 기업 관리 체제로 전환하여 항만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장형 공기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항만공사 · 더보기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仁川 - 主競技場, Incheon Asiad Main Stadium)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 연희동에 있는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주경기장으로 축구와 육상을 할 수 있는 다목적경기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더보기 »

인예순덕왕후

인예왕후(仁睿王后, ? ~ 1092년)는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왕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예순덕왕후 · 더보기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仁荷大學校, Inha University)는 공과대학·자연과학대학·경영대학·사범대학·사회과학대학·문과대학·의과대학·미래융합대학·프런티어학부대학·예술체육학부·국제학부 등 9개 단과대학, 2개 학부, 67개의 학과와 9개의 대학원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하대학교 · 더보기 »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Inha University Hospital) 또는 인하대병원은 인하대학교 인하중앙의료원 산하의 병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일본 · 더보기 »

일신동

일신동(日新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속해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일신동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의천 · 더보기 »

제2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第二京仁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10호선)는 인천광역시 중구를 기점으로, 경기도 성남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제2경인고속도로 · 더보기 »

제3경인고속화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第三京仁高速化道路, 지방도 제330호선)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서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을 잇는 경기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제3경인고속화도로 · 더보기 »

제3차 산업

2005년 기준 최고 서비스 생산자의 서비스 산물 비율 제3차 산업, 3차 산업은 주로 인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교통, 상업, 국제무역, 관광업 등이 여기에 속. 또, 운수, 통신, 금융, 보험, 유통 기타의 서비스 산업을 말.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는 3차산업이 2차산업과 균형 있게 발전을 하고 있. 서비스 산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제3차 산업 · 더보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4년 6월 4일 수요일에 대한민국 전역에서 실시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지방 선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더보기 »

제물포

제물포(濟物浦)는 구한말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던 인천의 별칭(別稱)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제물포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신

280px 전신(電信)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할 내용을 보내는 통신 방법 중의.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전신 · 더보기 »

조계

상하이에 남아 있는 자딘 게이트, 황푸공원 입구 조계(租界)는 청나라(이후의 중화민국)에 있었던 외국인이 행정자치권이나 치외법권을 가지고 거주한 조차지를 말. 1840년 아편 전쟁의 패배로 체결된 불평등 조약에 의해 중국 대륙 각지의 조약항에 설치되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계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종합환경연구단지

종합환경연구단지는 2002년 7월 19일 완공된 환경전문 연구단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종합환경연구단지 · 더보기 »

주안동

주안동(朱安洞)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동부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주안동 · 더보기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中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중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중앙도서관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증산도

증산도(甑山道)는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을 교조로 모시는 종교중 하나인 증산교 계열의 민족 종단 중 하나로, 보천교 신자였던 안운산과 아들 안경전이 1974년 창교하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증산도 · 더보기 »

짜장면

장면 또는 자장면()은 양파, 양배추 등 채소와 돼지고기에 춘장을 넣어 식용유와 함께 볶은 양념을 굵은 국수에 비벼서 먹는 한국식 중화요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짜장면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진흥왕 · 더보기 »

쫄면

면은 한국요리의 국수 요리로 차갑고 쫄깃한 면에 고추장과 채소 등을 넣어 비벼서 먹는 음식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쫄면 · 더보기 »

청동기 시대

Muséum de Toulouse 청동기 시대 (靑銅器時代)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제창한 선사 시대의 역사 구분법 중의 하나로 문명의 발전 단계 중 선진적 금속 제련을 통하여 구리를 제련하여 청동기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동기 시대 · 더보기 »

청라동

청라동(靑羅洞)은 인천광역시 서구의 중서부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3개 행정동 (청라1동, 청라2동, 청라3동)의 통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라동 · 더보기 »

청라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는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법정동: 청라동)의 17.77 km² 중 7.27 km²의 부지에 9만명의 인구가 거주하게 될 국제도시로서, 송도, 영종과 더불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구성하고 있. 국제업무와 레저의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공항철도, 경인고속도로, 경인아라뱃길 등 영종과 서울을 잇는 주요 교통축 상에 바다를 끼고 자리한 해안도시로서 탁월한 입지를 자랑.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라국제도시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나라 · 더보기 »

청단군

청단군(靑丹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남도에 속하는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단군 · 더보기 »

청천동

청천동(淸川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천동 · 더보기 »

청학동 (인천)

청학동(靑鶴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청학동 (인천) · 더보기 »

천도교

(天道敎)는 동학을 계승하여 발전된 한국의 신흥 종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천도교 · 더보기 »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 인천교구(天主敎仁川敎區)는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시흥시(구 소래읍), 안산시 대부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 중 하나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천주교 인천교구 · 더보기 »

초지진

(草芝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에 있는, 바다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조선 효종 7년(1656년)에 구축하고 1679년 조선 숙종때 성으로 지은 요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초지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충칭 시

충칭(중경)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충칭 시 · 더보기 »

축구

축구 경기장 모형 축구(蹴球)는 손과 팔을 제외한 신체를 사용해 공을 다루는 구기 경기 종목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축구 · 더보기 »

칭다오 시

칭다오()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의 부성급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칭다오 시 · 더보기 »

친황다오 시

황다오(秦皇島, Qinhuangdao, 진황도)는 중국 허베이 성(河北省) 동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랴오닝 성(遼寧省)과 발해만(渤海灣)에 접한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친황다오 시 · 더보기 »

커낼워크

워크의 모습 커낼워크(Canal Walk)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유럽형 쇼핑 스트리트를 명칭.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커낼워크 · 더보기 »

콜카타

의 위치 콜카타(네팔어: कोलकाता)는 인도의 서벵골 주의 주도로, 한때 영국령 인도의 수도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콜카타 · 더보기 »

쾨펜의 기후 구분

의 기후 구분이란,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식생분포에 주목하여 1918년에 발표한 기후 구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쾨펜의 기후 구분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유교 · 더보기 »

유정복

유정복(劉正福, 1957년 6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유정복 · 더보기 »

율목도서관

율목도서관은 인천광역시 중구 소재의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율목도서관 · 더보기 »

율목동

율목동(栗木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율목동 · 더보기 »

파리 (프랑스)

리()는 프랑스의 수도로, 프랑스 북부 일드프랑스 지방의 중앙에 있. 센 강 중류에 있으며, 면적은 105km2.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파리 (프랑스) · 더보기 »

파나마시티

마시티()는 파나마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파나마시티 · 더보기 »

위도

위도(φ)와 경도(λ)를 나타낸 그림. 경위선(눈금) 간격은 10도이다. 위도(씨줄. 緯度)는 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며, 흔히 그리스 문자 φ로 쓴. 위도의 단위는 도(°)이며, 북극점을 나타내는 90° N(북위 90도)부터 남극점을 나타내는 90° S(남위 90도)까지의 범위 안에 있. 위도에는 지리 위도, 천문 위도, 지심 위도 등이 있. 지리 위도는 지구 상의 어느 지점에서 지표면에 대해 수직선을 세웠을 때 이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위도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위례성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태안군

안군(泰安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해안 태안반도에 있는 군으로, 안면도 등 119개의 섬이 있. 군청 소재지는 태안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6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태안군 · 더보기 »

숭의동

숭의동(崇義洞)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남부에 있는 대한민국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숭의동 · 더보기 »

숭의교회

숭의교회(崇義敎會)는 인천광역시 남구 숭의동에 위치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숭의교회 · 더보기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수도권 전철 1호선 · 더보기 »

수도권 통합요금제

수도권 통합요금제(Metropolitan Unity Fare, 首都圈 統合料金制)는 대한민국 수도권 의 대중교통 운임제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수도권 통합요금제 · 더보기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首都圈第二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400호선)는 경기도 화성시를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순환해 경기도 화성시로 돌아오는 계획으로 건설중인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더보기 »

수봉도서관

수봉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경인로 218에 있는 시립 도서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수봉도서관 · 더보기 »

수인선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시흥시의 오이도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수인선 · 더보기 »

영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고속국도 제50호선)는 인천광역시 남동구를 기점으로, 강원도 강릉시를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총연장 234.4km의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영동고속도로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영국 · 더보기 »

영종도

영종도(永宗島) 또는 영종용유도(永宗龍游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영종도 · 더보기 »

영종출장소

영종출장소(永宗出張所)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에 있는 출장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영종출장소 · 더보기 »

오류동역

오류동역(梧柳洞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오류동역 · 더보기 »

오사카 시

오사카 야경 오사카 시()는 일본 오사카부의 도시로 혼슈 긴키 지방의 요도가와 강 하구 오사카 만에 위치해 있. 오사카 시는 또한 일본 지방자치법에 따라 정령지정도시로 지정되어 있으며 오사카부의 부청 소재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오사카 시 · 더보기 »

옥련동

옥련동(玉蓮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옥련동 · 더보기 »

온대 하우 기후

온대 하우 기후 분포 모습. 온대 하우 기후에서 나는 사탕수수는 설탕의 원료이다. 온대 하우 기후(溫帶夏雨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온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Cw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온대 하우 기후 · 더보기 »

온조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온조왕 · 더보기 »

호놀룰루

호놀룰루(Honolulu, 하와이어:호노루루)는 미국의 50번째 주인 하와이 주의 주도(州都)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호놀룰루 · 더보기 »

옹진군 (인천광역시)

옹진군(甕津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속한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옹진군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옹진군 (황해남도)

옹진군(甕津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옹진군 (황해남도) · 더보기 »

옌타이 시

옌타이(연대)는 중국 산둥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옌타이 시 · 더보기 »

예카테린부르크

예카테린부르크()는 러시아의 중앙부에 있는 대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예카테린부르크 · 더보기 »

최기선

선(崔箕善, 1945년 5월 15일 ~ 2018년 2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최기선 · 더보기 »

여우례

여우례(尤列, 우열, 우렬, 1864년 12월 29일 ~ 1936년 12월 12일)은 청나라의 혁명운동가이며 중화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여우례 · 더보기 »

연희동 (인천)

연희동(連喜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연희동 (인천) · 더보기 »

연수동 (인천)

연수동(延壽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연수동 (인천) · 더보기 »

연수구

연수구(延壽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연수구 · 더보기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延世大學校 國際-, Yonsei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62-1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 더보기 »

연안군

연안군(延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연안군 · 더보기 »

사숙왕후

사숙왕후(思肅王后, 1065년? ~ 1107년?)는 선종(宣宗)의 정비(正妃)이자 헌종(獻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사숙왕후 · 더보기 »

산곡동

산곡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산곡동 · 더보기 »

삼별초의 난

삼별초의 난(三別抄의 亂, 1270년 ~ 1273년)은 고려-몽골 전쟁이 끝나고서 삼별초가 제국 몽골(원나라)에 대항해 일으킨 항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삼별초의 난 · 더보기 »

삼산동 (인천)

삼산동(三山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삼산동 (인천) · 더보기 »

삼산체육관역

삼산체육관역(三山體育館驛)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삼산체육관역 · 더보기 »

삼산월드체육관

삼산월드체육관(三山-體育館)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위치한 실내 종합 경기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삼산월드체육관 · 더보기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랑크푸르트암마인()은 독일 중서부 헤센 주에 있는 도시로, 간단히 줄여서 프랑크푸르트(Frankfurt)라고 불리.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더보기 »

프놈펜

(Phnom Penh)은 캄보디아의 수도이자,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캄보디아 최대의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프놈펜 · 더보기 »

석남동

석남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석남동 · 더보기 »

선학동

선학동(仙鶴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선학동 · 더보기 »

성공회 내동성당

성공회 내동성당(內洞聖堂) 또는 대한성공회 내동교회는 1891년 9월 30일에 지어진성당 안에 있는 인천 성공회(인천 최초의 성공회) 비석 한국 최초의 성공회 교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성공회 내동성당 · 더보기 »

서구 (인천광역시)

서구(西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서운동

서운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운동 · 더보기 »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서울地下鐵7號線)은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부평구청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울 지하철 7호선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역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있는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철도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울역 · 더보기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서울外郭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0호선)는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김포시, 인천광역시를 거쳐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를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더보기 »

서창동

서창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창동 · 더보기 »

서산시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산시 · 더보기 »

서해 5도

서해 5도 지도 인천광역시의 섬 (1, 2, 3번이 서해 5도) red: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서해 5도(西海五島)는 대한민국의 관할 아래 있는 섬들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의 남쪽 해안과 가까운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를 묶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서해 5도 · 더보기 »

송도 센트럴파크

송도 센트럴파크(Songdo Central Park)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지구에 위치한 대형 공원이며, 센트럴공원으로도 불린.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도 센트럴파크 · 더보기 »

송도국제도시

송도국제도시(松島國際都市) 혹은 송도경제자유구역은 인천국제공항 인프라를 배후로 지어지는 경제자유구역이며 약 40조원의 민간 자본 조달로 지어지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 도시 개발 사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도국제도시 · 더보기 »

송도컨벤시아

송도컨벤시아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한 지상 3층, 지하 1층의 대규모 전시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도컨벤시아 · 더보기 »

송림동

송림동(松林洞)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5개 행정동(송림1동·2동·3.5동·4동·6동)의 통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림동 · 더보기 »

송영길 (정치인)

송영길(宋永吉, 음력 1963년 2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영길 (정치인) · 더보기 »

송현동 (인천)

송현동(松峴洞)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2개 행정동(송현1.2동·3동)의 통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현동 (인천) · 더보기 »

송학동

송학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학동 · 더보기 »

송월동

송월동에는 다음과 같은 지명이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월동 · 더보기 »

송월동 (인천)

송월동(松月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송월동 (인천) · 더보기 »

소래포구역

소래포구역(蘇萊浦口驛)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수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소래포구역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소헌왕후 · 더보기 »

소사역

소사역(素砂驛)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경인선과 서해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소사역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톈진 시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항동

항동은 대한민국 다음 지역에 위치한 동(洞)의 이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항동 · 더보기 »

야구

야구(野球, baseball)는 아홉 또는 열 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방망이와 공을 사용해 겨루는 구기 종목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야구 · 더보기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이집트 북부 알렉산드리아 주의 지중해에 면한 항구도시로 이집트에서는 수도인 카이로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가장 큰 항구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알렉산드리아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강 · 더보기 »

한강철교

강철교(漢江鐵橋)는 한강의 교량 중 최초로 건설된 교량 으로, 노량진역과 용산역 사이를 잇는 철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강철교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 정교회

국 정교회(韓國正敎會)는 대한민국의 동방 정교회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 교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 정교회 · 더보기 »

한국마사회

국마사회(韓國馬事會, Korea Racing Authority)는 경마의 공정한 시행과 원활한 보급을 통하여 마사의 진흥 및 말 축산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국민의 여가선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준시장형 공기업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마사회 · 더보기 »

한국고속철도

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또는 KTX(Korea Train eXpress)는 대한민국 고속철도 체계의 통칭으로, 2004년 4월 1일 개통되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고속철도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여자프로농구

국여자프로농구는 여자 실업 농구를 확장하여 1998년에 출범했으며, WKBL(Women's Korean Basketball League)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여자프로농구 · 더보기 »

한국프로농구

국프로농구 또는 KBL(Korean Basketball League)은 1997년에 시작됐으며, 그 전까지는 실업, 대학, 국군체육부대가 포함된 농구대잔치가 인기를 끌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한국프로농구 · 더보기 »

안상수 (1946년 5월)

안상수(安相洙, 1946년 5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안상수 (1946년 5월) · 더보기 »

하이퐁

이퐁(海防)은 베트남 북부의 항구도시이며 공업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하이퐁 · 더보기 »

앵커리지

앵커리지(Anchorage)는 미국 알래스카 주 남부의 거의 중앙에 있는 항구 도시로, 주의 상공업과 금융, 문화, 관광의 중심지이며, 알래스카의 가장 큰 도시이자 인구의 40퍼센트 이상을 구성.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앵커리지 · 더보기 »

필라델피아

아 시(City of Philadelphia)는 펜실베니아 주에서 가장 큰 도시로, 미국 북동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미국 전체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필라델피아 · 더보기 »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 航空,, ,)은 대한민국의 민간 항공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아시아나항공 · 더보기 »

학익동

학익동(鶴翼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대한민국의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학익동 · 더보기 »

텔아비브

thumbtime.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텔아비브 · 더보기 »

신도 (옹진군)

신도(信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에 있는 면적 6.92km2의 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도 (옹진군)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미양요

신미양요(辛未洋擾)는 1871년 6월 1일(고종 8년 음력 4월 14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미양요 · 더보기 »

신포동

신포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포동 · 더보기 »

신포동 (인천)

신포동(新浦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포동 (인천) · 더보기 »

신흥동 (인천)

신흥동(新興洞)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흥동 (인천) · 더보기 »

신현동

신현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현동 · 더보기 »

신현원창동

신현원창동(新峴元倉洞)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현원창동 · 더보기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형도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는 석기 시대 후기로,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와 질그릇(토기)을 도구로 사용하여 식량 생산 단계에 이른 시대를 말. 인류사회는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로부터 신석기 시대의 생산경제로 발전하는데 이러한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인류 문화사상 하나의 전기를 가져온 사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신석기 시대 · 더보기 »

실미도

실미도(實尾島)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 위치한 면적 253,594 m²의 무인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실미도 · 더보기 »

심곡동

심곡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심곡동 · 더보기 »

십정동

십정동(十井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십정동 · 더보기 »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화국(줄여서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의 끝에 위치한 섬나라이자 항구 도시로 이루어진 도시 국가이다. 북쪽의 조호르 해협과 남쪽의 싱가포르 해협을 두고 각각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약간 분리되어 있다. 1819년 영국의 동인도 회사가 현 싱가포르 남부에 개발한 항구가 시초이다. 1963년에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1965년에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와의 다툼 끝에 결국 연방을 탈퇴하여 독립 국가가 되었다. 독립 당시 인구는 160만명이었으나, 꾸준히 늘어 2010년에는 520만명에 이르렀다. 20세기 후반에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 중 하나로, 싱가포르 항구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며, 정유시설과 금융산업은 세계에서 각각 3, 4번째로 크다. 2010년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률은 15%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다. 같은 해, 싱가포르 넓이의 500배에 달하는 옛 종주국인 말레이시아를 총 경제 규모로도 추월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1인당 명목 국민소득은 5만달러, PPP 환산 국민소득은 6만달러에 달하며, 1인당 외환보유고는 세계 최정상권이다. 싱가포르의 면적은 692.7km2로 한국의 서울보다 조금 더 넓고, 인구는 서울의 절반 정도인 567만명(2015년 말 기준)이다. 인간개발지수는 전 세계에서 11위,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싱가포르 · 더보기 »

시도 (옹진군)

시도(矢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에 있는 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시도 (옹진군) · 더보기 »

시흥시

장현동 시흥시청사 시흥시(始興市)는 경기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 더보기 »

원불교

원불교(圓佛敎, Won Buddhism)는 일제 강점기의 종교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이 1916년에 창시한 신흥 종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원불교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원산시 · 더보기 »

웨이하이 시

웨이하이(위해), 웨이하이 요새(로도 알려짐)는 산둥 성 동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웨이하이 시 · 더보기 »

월미도

월미도(月尾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해 있는 섬이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월미도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홍콩 · 더보기 »

황사

황해와 동해를 뒤덮은 황사. (2001년 3월 21일) 황사(黃沙/黃砂)는 주로 봄철에 중화인민공화국이나 몽골의 사막에 있는 모래와 먼지가 상승하여 편서풍을 타고 멀리 날아가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을 말. 토우(土雨), 흙비.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황사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황해 · 더보기 »

황해북도

황해북도(黃海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황해북도 · 더보기 »

황해남도

황해남도(黃海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황해남도 · 더보기 »

화수1화평동

화수1·화평동(花水1·花平洞)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화수1화평동 · 더보기 »

KBO 리그

KBO 리그(KBO League)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이며, 흔히 한국프로야구로 알려져 있. 1981년 12월 11일 OB 베어스,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삼미 슈퍼스타즈, 롯데 자이언츠 등 총 5개 구단이 한국프로야구 창립 총회에 참가하여 프로 야구 출범을 공표하여 구체화되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KBO 리그 · 더보기 »

K리그1

K리그1(K League 1)은 1983년에 출범한 프로축구 리그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최상위 리그를 담당하고 있. 2013년부터 승강제가 완전히 도입되면서, 기존 K리그에서 K리그 클래식으로 변경되었.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K리그1 · 더보기 »

SK 와이번스

SK 와이번스(SK Wyverns)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리그 소속 프로야구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SK 와이번스 · 더보기 »

V-리그 (대한민국)

V-리그(V-League)는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 리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V-리그 (대한민국) · 더보기 »

WK리그

WK리그(WK League)는 2009년부터 시작된 여자 축구 리그 대회로서, 대한축구협회와 한국여자축구연맹에서 주관하는 대한민국의 축구 리그 대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WK리그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10일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15일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1일 · 더보기 »

10월 25일

10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8번째(윤년일 경우 2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25일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27일 · 더보기 »

10월 4일

10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7번째(윤년일 경우 2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0월 4일 · 더보기 »

11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105년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1월 21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2월 29일 · 더보기 »

13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390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392년 · 더보기 »

13세기

13세기는 1201년부터 1300년까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3세기 · 더보기 »

1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413년 · 더보기 »

14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460년 · 더보기 »

1875년

187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75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83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96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97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98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899년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00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02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06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10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14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36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40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45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50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63년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67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68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71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74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81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86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88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89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93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95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998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월 1일 · 더보기 »

1월 28일

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번째(윤년일 경우도 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1월 28일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2년 · 더보기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17번째 FIFA 월드컵 대회로, 2002년 5월 31일에서 6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열. 이 대회는 아시아에서 열린 첫 FIFA 월드컵 대회이자 유럽과 아메리카 밖에서 열린 첫 대회이며, 골든골 제도가 시행된 마지막 FIFA 월드컵이자 전 대회 우승국 자동 출전권이 적용된 마지막 FIFA 월드컵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2년 FIFA 월드컵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6년 · 더보기 »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二千九 仁川世界都市祝典, Global Fair & Festival 2009 Incheon, Korea)은 2009년 8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소재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도시 박람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09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0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4년 · 더보기 »

2014년 아시안 게임

제17회 아시안 게임은 2014년 9월 19일에서 10월 4일까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열. 총 36종목이 치러졌.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4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6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7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2018년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28일

3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7번째(윤년일 경우 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3월 28일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3월 29일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3월 30일 · 더보기 »

4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475년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4월 1일 · 더보기 »

6세기

6세기는 501년부터 600년까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6세기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6월 14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6월 30일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757년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7월 1일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7월 4일 · 더보기 »

7월 5일

7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6번째(윤년일 경우 1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7월 5일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8월 29일 · 더보기 »

8월 7일

8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9번째(윤년일 경우 2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8월 7일 · 더보기 »

9월 15일

9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8번째(윤년일 경우 2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9월 15일 · 더보기 »

9월 18일

9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1번째(윤년일 경우 2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9월 18일 · 더보기 »

9월 19일

9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2번째(윤년일 경우 2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천광역시와 9월 1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KR-28, 경기도 인천군, 경기도 인천부, 경기도 인천시, 인천, 인천군, 인천권, 인천부 (1896년), 인천직할시, 인천시, 제물포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