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재야사학

색인 재야사학

재야사학(在野史學)에 대해서는 뚜렷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 향토사(鄕土史) 연구를 향토사학 또는 재야사학이라 했고, 지금도 그렇게 쓰이는 경우가 있. 1978년 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보도에서 ‘이른바’ 또는 ‘세칭(世稱)’과 함께 ‘재야사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데, 대학에 소속되지 않았거나 학회에 가입하지 않은 학자들을 ‘재야(在野)’라 불렀다고 설명하였.

46 처지: 동이, 민족주의, 백제, 발해, 고려, 고조선, 광복절, 극우, 규원사화, 대륙사관, 대종교, 대학, 남북국 시대, 낙랑군, 다링허, 단군, 단군조선, 재야사학, 이덕일, 일본, 일본 제국, 일제 강점기, 의사 역사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친일, 현도군, 역사, 역사수정주의, 역사학, 사관, 사대주의, 삼국 시대, 통일신라, 한민족, 한반도, 한국, 한사군, 학위, 식민사관, 신화, 실증주의, 환단고기, 왕검성, 1978년, 20세기.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동이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재야사학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재야사학와 백제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발해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고려 · 더보기 »

고조선

조선(古朝鮮, ? ~ 기원전 108년)은 한국의 역사상 최초의 고대 국.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일반적으로 14세기 말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한 같은 이름의 왕조(조선)와의 구분을 위해 '고조선'이라 부른.

새로운!!: 재야사학와 고조선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재야사학와 광복절 · 더보기 »

극우

오나치 운동 당원 극우() (極右) 또는 급진우파(急進右派)는 극단적으로 우익적인 생각, 사람, 당파 세력을 가리.

새로운!!: 재야사학와 극우 · 더보기 »

규원사화

《규원사화(揆園史話)》는 1675년에 북애자(北崖子)가 저술하였다는 역사서 형식의 사화(史話)로, 상고시대와 단군조선의 임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

새로운!!: 재야사학와 규원사화 · 더보기 »

대륙사관

륙사관(大陸史觀)은 한국사의 일부로 취급되는 국가와 한국인의 활동 영역을 한반도뿐만 아니라 만주, 또는 보하이 만 부근과 산둥 반도를 비롯한 중국 본토의 동쪽 해안까지 확장하는 역사관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대륙사관 · 더보기 »

대종교

종교(大倧敎)는 한민족의 교조로 여겨지는 단군을 신봉하는 신흥 종교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대종교 · 더보기 »

대학

학교 졸업식. 학사모는 대학 수료의 상징이다 대학(大學,,: "전체"라는 의미)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 이. 교육기관을 초등·중등·고등으로 나눠보았을 때 최고 교육기관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대학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낙랑군 · 더보기 »

다링허

링허(대릉하)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랴오닝 성 서부(요서)를 흐르는 큰 하천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다링허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단군 · 더보기 »

단군조선

조선(檀君朝鮮)은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전해지는데, 그 개국 기원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삼국유사》에서 인용된 《위서》(魏書)에는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개국한 국가로 기록되어 있. 일반적으로 고조선의 역사를 왕조 또는 지배자에 따라 구분하여 단군이 다스렸던 첫 번째 시기를 지칭.

새로운!!: 재야사학와 단군조선 · 더보기 »

재야사학

재야사학(在野史學)에 대해서는 뚜렷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 향토사(鄕土史) 연구를 향토사학 또는 재야사학이라 했고, 지금도 그렇게 쓰이는 경우가 있. 1978년 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보도에서 ‘이른바’ 또는 ‘세칭(世稱)’과 함께 ‘재야사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데, 대학에 소속되지 않았거나 학회에 가입하지 않은 학자들을 ‘재야(在野)’라 불렀다고 설명하였.

새로운!!: 재야사학와 재야사학 · 더보기 »

이덕일

이덕일(李德一, 1961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 언론인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이덕일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재야사학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재야사학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의사 역사학

의사 역사학(擬似 歷史學, pseudohistory) 또는 유사 역사학(類似 歷史學), 사이비 역사학(似而非 歷史學)은 역사인 듯하나 공인된 역사 기술의 관습을 따르지 않고 그 결론을 훼손하는 주장을 낮추어 이르는 말로, 회의론에서 쓰인.

새로운!!: 재야사학와 의사 역사학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중국 · 더보기 »

친일

일본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유명했던 아일랜드계 그리스인 작가 고이즈미 야쿠모 (본명 래프카디오 헌) 친일(親日)은 일본에 대해서 선호하는 감정을 말. 일본의 문화나 언어, 역사, 일본인들에게 관심이 많. 일제 강점기에 일본 제국에 부역한 민족 배반자들을 가리키는 친일반민족행위자와는 구별.

새로운!!: 재야사학와 친일 · 더보기 »

현도군

현도군의 연도별 위치 이동로 현도군(玄菟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7년에 세운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현도군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재야사학와 역사 · 더보기 »

역사수정주의

역사수정주의(歷史修正主義)란 한 역사적 사건을 둘러싼 기존의 시각을 재해석하는 역사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역사수정주의 · 더보기 »

역사학

역사학(歷史學) 또는 사학(史學)은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활동에 관한 제반(諸般) 조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과거의 사료를 평가,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 규명을 추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역사학 · 더보기 »

사관

사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재야사학와 사관 · 더보기 »

사대주의

사대주의(事大主義; 영어: flunkyism)는 자율적이지 못하고 자국보다 강한 국가, 세력에 복종하거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주의를 말. 사대주의는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말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사대주의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재야사학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한민족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한국 · 더보기 »

한사군

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은 기원전 108년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낙랑군·진번군·임둔군·현도군의 4군과 그 속현을 말. 근대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사군(四郡)이라 불렀고, 현대 한국사학계에서는 한군현, 동방변군 등으로 지칭.

새로운!!: 재야사학와 한사군 · 더보기 »

학위

학위(學位)는 대학교와 같은 고등 교육 시설에서 수여 받은 학업 수준을 가리.

새로운!!: 재야사학와 학위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재야사학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신화

마하. 신화(神話, myth)는 한 나라 혹은 한 민족, 한 문명권으로부터 전승되어 과거에는 종교였으나, 더 이상 섬김을 받지 않는 종교를 뜻. 신화는 과거에 종교로서 떨쳤던 영향만큼이나 다양한 문화를 파상시켰으며, 이는 건축, 문학, 예술뿐만 아니라 사람이 사용하는 단어에까지 자취를.

새로운!!: 재야사학와 신화 · 더보기 »

실증주의

실증주의(實證主義)는 감각 경험과 실증적 검증에 기반을 둔 것만이 확실한 지식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관점이자 과학 철학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실증주의 · 더보기 »

환단고기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이유립이 1979년에 출간한 책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환단고기 · 더보기 »

왕검성

왕검성(王儉城) 또는 왕험성(王險城)은 고조선의 수도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왕검성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1978년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재야사학와 20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단 사학, 강단사학, 강단사학자, 재야 역사학, 재야 역사학자, 재야 사학, 재야 사학자, 재야역사학, 재야역사학자, 재야사학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