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전계대원군

색인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161 처지: 덕흥대원군, 로마 가톨릭교회, 민응수, 강화도, 강화군, 강화읍, 경기도, 경창군, 봉사, 불천위, 김도희, 김문근, 대한제국 고종, 대원군, 교동도, 국사편찬위원회, 노론, 용흥궁, 용성부대부인, 승정원, 승정원일기, 포천시, 포천시의 향토유적, 이담, 이창순, 이철득, 이성득, 이성득 (조선 왕족), 이항로, 이원경 (1827년), 일성록, 음력 11월 2일, 음력 12월 23일, 음력 3월 21일, 의정부, 은평구, 은전군, 은언군, 은신군, 전계궁,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전의, 전산군부인 이씨, 정기세, 조윤양,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장조, 조선 정조, 조선 철종, ..., 조선 순조, 조선 영조, 조선 헌종, 조선 선조, 조선 원종, 조선왕조실록, 좌의정, 좌찬성, 주내면, 진관동, 청안군 (1851년), 초가, 충청도, 충청남도, 추증, 판서, 유수, 상계군, 상산군부인 송씨, , 순원왕후, 영평군, 영평군 (1828년), 영의정, 온양, 형조, 최익현, 양주군, 여주시, 풍계군, 사옹원, 선단동, 성리학, 서울특별시, 송나라, 해룡산, 한각신, 한응필, 한성부, 신도비, 홍국영, 완양부대부인, 10월 15일, 11월 20일, 11월 27일, 12월 14일, 12월 16일, 12월 19일, 1753년, 1754년, 1764년, 1769년, 1771년, 1774년, 1775년, 1780년, 1783년, 1785년, 1786년, 1793년, 1797년, 1801년, 1804년, 1805년, 1812년, 1817년, 1819년, 1820년, 1821년, 1822년, 1826년, 1827년, 1828년, 1830년, 1831년, 1832년, 1836년, 1839년, 1840년, 1841년, 1844년, 1849년, 1856년, 1857년, 1863년, 1901년, 1902년, 1921년, 1970년, 1986년, 2월, 2월 19일, 2월 1일, 3월 17일, 3월 23일, 3월 26일, 4월, 4월 29일, 4월 9일, 5월 29일, 5월 2일, 5월 8일, 6월 13일, 6월 17일, 6월 4일, 7월 20일, 7월 22일, 8월, 8월 27일, 9월 11일, 9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1 더)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민응수

민응수(1684년 ~ 175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우의정을.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민응수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강화군 · 더보기 »

강화읍

강화읍(江華邑)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읍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강화읍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창군

경창군(慶昌君, 1596년 음력 9월 23일 ~ 1644년 음력 1월 1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경창군 · 더보기 »

봉사

봉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봉사 · 더보기 »

불천위

불천위(不遷位)란 국가공신 혹은 덕망이 높은 자를 나라에서 정하여 제사를 지낼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서, 조선초기 개국공신부터 후기까지의 덕망높은 자들이 선정되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불천위 · 더보기 »

김도희

희(金道喜, 1783년 ~ 186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철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김도희 · 더보기 »

김문근

문근(金汶根, 1801년 ~ 1863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철인왕후의 아버지이자 철종의 장인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김문근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대원군 · 더보기 »

교동도

동도(喬桐島)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의 북서쪽, 38선 근처 황해상에 있는 섬으로 강화도보다 서쪽에 있.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속해 있. 2014년 완공된 교동대교를 통해 강화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이기는 하나 누구나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교동도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국사편찬위원회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노론 · 더보기 »

용흥궁

용흥궁(龍興宮)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용흥궁 · 더보기 »

용성부대부인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년 7월 20일 - 1834년 3월)는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용성부대부인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승정원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포천시

시(抱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포천시 · 더보기 »

포천시의 향토유적

시의 향토유적은 경기도 포천시에서 지정한 문화재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포천시의 향토유적 · 더보기 »

이담

이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담 · 더보기 »

이창순

이창순(1959년 ~)은 대한민국의 연출가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창순 · 더보기 »

이철득

이철득(李鐵得, 1780년 ~ ?)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조선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였.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철득 · 더보기 »

이성득

이성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성득 · 더보기 »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 인의 서자였.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성득 (조선 왕족)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항로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일성록

일성록(日省錄)은 1752년 조선 영조 28년부터 경술국치가 일어나는 1910년 순종 4년까지의 국왕의 동정과 국정의 제반사항을 기록한 일기체 연대기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일성록 · 더보기 »

음력 11월 2일

음력 11월 2일은 음력 11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음력 11월 2일 · 더보기 »

음력 12월 23일

음력 12월 23일은 음력 12월의 23번째 날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음력 12월 23일 · 더보기 »

음력 3월 21일

음력 3월 21일은 음력 3월의 21번째 날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음력 3월 21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의정부 · 더보기 »

은평구

은평구(恩平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은평구 · 더보기 »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은전군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은언군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은신군 · 더보기 »

전계궁

전계궁(全溪宮)은 북부 안국방(安國坊)에 있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전계궁 · 더보기 »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는 조선 철종의 생부 전계대원군 이광과 그 본부인 완양부대부인 전주최씨 및 가족의 묘역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 더보기 »

전의

전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전의 · 더보기 »

전산군부인 이씨

증 전산군부인 전주이씨(贈 全山郡夫人 全州李氏, 1764년 12월 19일 - 1819년 6월 4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와 숙빈 임씨의 아들인 은언군이인의 첩이자 전계대원군에 추증된 이광(이쾌득)의 생모였.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전산군부인 이씨 · 더보기 »

정기세

정기세(鄭基世, 1814년 ~ 188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정기세 · 더보기 »

조윤양

조윤양(趙允譲, 995년 ~ 1059년)은 송나라의 황족이자 추존황제이며, 문신으로, 자는 익지(益之)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윤양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좌찬성 · 더보기 »

주내면

주내면은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면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주내면 · 더보기 »

진관동

동(津寬洞)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진관동 · 더보기 »

청안군 (1851년)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청안군 (1851년) · 더보기 »

초가

집 초가(草家)는 볏짚·밀짚·갈대 등으로 지붕을 이은 집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초가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판서 · 더보기 »

유수

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유수 · 더보기 »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상계군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술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영평군

영평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영평군 · 더보기 »

영평군 (1828년)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 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1901년 음력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영평군 (1828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영의정 · 더보기 »

온양

온양은 다음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온양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형조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최익현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양주군 · 더보기 »

여주시

여주시(驪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여주시 · 더보기 »

풍계군

풍계군 이당(豐溪君 李瑭, 1783년 2월 1일 - 1826년 5월 8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서손자이자 은전군(恩全君)의 양아들이며 생부는 은언군(恩彦君)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풍계군 · 더보기 »

사옹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의 기관으로 이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사옹원 · 더보기 »

선단동

선단동(仙壇洞)은 경기도 포천시의 동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선단동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성리학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송나라 · 더보기 »

해룡산

룡산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해룡산 · 더보기 »

한각신

각신(韓覺新, 1795년 2월 28일 ~ 1853년 8월 1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은언군 이인의 사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한각신 · 더보기 »

한응필

응필(1832년 12월 14일 ~ 1883년 12월 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은언군 이인의 외손자이며 철종과 각각 적고종사촌동생, 서외사촌형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한응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한성부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신도비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홍국영 · 더보기 »

완양부대부인

완양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1804년 2월 19일 - 1840년 2월 19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 평민으로, 사도세자(장헌세자)의 서자 은언군의 다섯째 서자인 전계대원군 이광의 본부인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완양부대부인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0월 15일 · 더보기 »

11월 20일

1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4번째(윤년일 경우 3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1월 20일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1월 27일 · 더보기 »

12월 14일

1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2월 14일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2월 16일 · 더보기 »

12월 19일

1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3번째(윤년일 경우 3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2월 19일 · 더보기 »

1753년

175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53년 · 더보기 »

1754년

175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54년 · 더보기 »

1764년

176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64년 · 더보기 »

1769년

176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69년 · 더보기 »

1771년

177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71년 · 더보기 »

1774년

177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74년 · 더보기 »

1775년

177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75년 · 더보기 »

1780년

178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80년 · 더보기 »

1783년

178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83년 · 더보기 »

1785년

178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85년 · 더보기 »

1786년

178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86년 · 더보기 »

1793년

179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93년 · 더보기 »

1797년

179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797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01년 · 더보기 »

1804년

180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04년 · 더보기 »

1805년

180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05년 · 더보기 »

1812년

181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12년 · 더보기 »

1817년

181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17년 · 더보기 »

1819년

181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19년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0년 · 더보기 »

1821년

182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1년 · 더보기 »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2년 · 더보기 »

1826년

182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6년 · 더보기 »

1827년

182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7년 · 더보기 »

1828년

182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28년 · 더보기 »

1830년

183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30년 · 더보기 »

1831년

183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31년 · 더보기 »

1832년

183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32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36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39년 · 더보기 »

1840년

184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40년 · 더보기 »

1841년

184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41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44년 · 더보기 »

1849년

184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49년 · 더보기 »

1856년

185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56년 · 더보기 »

1857년

185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57년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863년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901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902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921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970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1986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2월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2월 19일 · 더보기 »

2월 1일

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번째(윤년일 경우도 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2월 1일 · 더보기 »

3월 17일

3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6번째(윤년일 경우 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3월 17일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3월 23일 · 더보기 »

3월 26일

3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5번째(윤년일 경우 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3월 26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4월 · 더보기 »

4월 29일

4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9번째(윤년일 경우 1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4월 29일 · 더보기 »

4월 9일

4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9번째(윤년일 경우 1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4월 9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5월 29일 · 더보기 »

5월 2일

5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2번째(윤년일 경우 123번째), 뒤에서부터는 2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5월 2일 · 더보기 »

5월 8일

5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8번째(윤년일 경우 129번째), 뒤에서부터는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5월 8일 · 더보기 »

6월 13일

6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4번째(윤년일 경우 1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6월 13일 · 더보기 »

6월 17일

6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8번째(윤년일 경우 1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6월 17일 · 더보기 »

6월 4일

6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5번째(윤년일 경우 1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6월 4일 · 더보기 »

7월 20일

7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1번째(윤년일 경우 2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7월 20일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7월 22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8월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8월 27일 · 더보기 »

9월 11일

9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4번째(윤년일 경우 2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9월 11일 · 더보기 »

9월 6일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계대원군와 9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광 (1785년), 이광 (1788년), 이광 (왕족), 이쾌득, 전계 대원군, 전계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