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와 조선의 공신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조선와 조선의 공신의 차이

조선 vs. 조선의 공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조선와 조선의 공신의 유사점

조선와 조선의 공신는 공통적으로 4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류순정, 류성룡, 박포, 박원종, 경신환국, 고려, 계유정난, 회안대군, 임진왜란, 임해군, 이괄의 난, 이순신, 인조반정, 을사사화,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정도전, 조선 경종,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중종,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종묘, 중종반정, 윤원형, ..., 성희안, 서인, 신립, 훈구파, 1392년, 1398년, 1400년, 1506년, 1545년, 1592년, 1623년, 1624년, 1627년, 1680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 더)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류순정와 조선 · 류순정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류성룡와 조선 · 류성룡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박포

박포(朴苞, ?~1400)는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1392년 조선을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었고 1393년에 사헌중승과 황주목사가 되었.

박포와 조선 · 박포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박원종와 조선 · 박원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경신환국와 조선 · 경신환국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고려와 조선 · 고려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계유정난와 조선 · 계유정난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조선와 회안대군 · 조선의 공신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임진왜란와 조선 · 임진왜란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임해군와 조선 · 임해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이괄의 난

이괄의 난(李适—亂)은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이 조선 왕가 종실 흥안군 이제를 천립하며 일으킨 반란이.

이괄의 난와 조선 · 이괄의 난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이순신와 조선 · 이순신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인조반정와 조선 · 인조반정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을사사화와 조선 · 을사사화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 왕위 계승권을 에워싸고 일어난 왕자간의 싸움으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반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방원의 난으로도 불리며, 그밖에 방석의 난, 혹은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戊寅靖社)라고도 불린.

제1차 왕자의 난와 조선 · 제1차 왕자의 난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은 1400년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이방간이 세자 자리를 두고 싸운 것으로 제1차 왕자의 난과 구별하기 위해 제2차 왕자의 난 또는 제2왕자의 난, 방간의 난, 박포의 난 등으로 불린.

제2차 왕자의 난와 조선 · 제2차 왕자의 난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정도전와 조선 · 정도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조선와 조선 경종 · 조선 경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조선와 조선 광해군 · 조선 광해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조선와 조선 인조 · 조선 인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조선와 조선 중종 · 조선 중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조선와 조선 태종 · 조선 태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조선와 조선 숙종 · 조선 숙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조선와 조선 영조 · 조선 영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조선와 조선 선조 · 조선 선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조선와 조선 성종 · 조선 성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조선와 조선 세조 · 조선 세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조선와 종묘 · 조선의 공신와 종묘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조선와 중종반정 · 조선의 공신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윤원형와 조선 · 윤원형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성희안와 조선 · 성희안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서인와 조선 · 서인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신립와 조선 · 신립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조선와 훈구파 · 조선의 공신와 훈구파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1392년와 조선 · 1392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1398년와 조선 · 1398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1400년와 조선 · 1400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1506년와 조선 · 1506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1545년와 조선 · 1545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592년와 조선 · 1592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23년와 조선 · 1623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24년와 조선 · 1624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627년

16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27년와 조선 · 1627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80년와 조선 · 1680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조선와 조선의 공신의 비교.

조선에는 349 개의 관계가 있고 조선의 공신에는 332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4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6.46%입니다 = 44 / (349 + 332).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조선와 조선의 공신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