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색인 죄

죄(罪)는 규범이나 윤리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행위를 말. 일반 사전에서는 죄(罪)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이 정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교에서는 대체로 '하나님의 계명' 또는 '도리'와 같은 어떤 불변의 법칙, 이치 또는 명령(즉 천명)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하고, 법률에서는 미리 정해진 조목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

30 처지: 도리, 라틴어, 명령, , 범죄, 법률, 법칙, 고 (불교), 고과와 낙과, 고통 (감정), 계 (불교), 계명, 불법행위, 불교, 규범, 기독교, 이치, 종교, 죄 (불교), 천명, 처벌, 칠죄종, 윤리학, 영원 (철학), 양심, 에덴 동산, 하나님, 아담과 하와, 악행, 원죄.

도리

리(道理)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①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 ② 어떤 일을 해 나갈 방도(方道)이.

새로운!!: 죄와 도리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죄와 라틴어 · 더보기 »

명령

명령의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죄와 명령 · 더보기 »

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죄와 벌 · 더보기 »

범죄

범죄(犯罪)는 법규를 어기고 저지른 잘못을 말.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범죄인(犯罪人), 범죄자(犯罪者)라고 부른.

새로운!!: 죄와 범죄 · 더보기 »

법률

폴란드어로 기록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법률. 법률(法律)은 주로 입법부의 심의와 의결을 거치고, 국가 원수가 서명·공포하여 효력이 발생하는 법의 한 형식이.

새로운!!: 죄와 법률 · 더보기 »

법칙

법칙(法則)은 현상의 본질적인 구조를 명확하게 한 것을 뜻. 그것이 진리임은 의심할 여지도 없는 것이어야.

새로운!!: 죄와 법칙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죄와 고 (불교) · 더보기 »

고과와 낙과

(苦果)와 낙과(樂果), 즉 괴로운 과보와 즐거운 과보는 서로 상대되는 낱말이.

새로운!!: 죄와 고과와 낙과 · 더보기 »

고통 (감정)

통(苦痛)은 개인의 감정이.

새로운!!: 죄와 고통 (감정)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새로운!!: 죄와 계 (불교) · 더보기 »

계명

명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죄와 계명 · 더보기 »

불법행위

불법행위(不法行爲)라 함은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하는 위법행위로서 법률요건의 하나이.

새로운!!: 죄와 불법행위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죄와 불교 · 더보기 »

규범

범(規範)은 선·악·미·추·진·위·유용·무용 등을 가치 평가할 경우, 또는 선·미·정(正)…인 것을 만들어낼 경우 규준(척도)으로 삼는 것을 뜻. 그럴 경우 특히 철학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진·선·미의 가치평가와 가치판단을 할 때의 규범인데, 이러한 규범을 다루는 학문(논리학·윤리학·미학)을 규범과학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 이러한 학(學)의 규범은 바로 인간이 지켜야 하는 규준(당위)이.

새로운!!: 죄와 규범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죄와 기독교 · 더보기 »

이치

이치는 다음을 뜻.

새로운!!: 죄와 이치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죄와 종교 · 더보기 »

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죄(罪)는 도리(道理)에 반하는 행위, 계율을 어기는 행위, 또는 고의 과보를 불러올 악행을 말. 실천적인 측면에서, 죄(罪)는 모든 선사(善士) 즉 모든 아라한 또는 성현(聖賢)이 꾸짖고 싫어하는 법 또는 꾸짖을 만한 것으로서 그 과보 즉 그것이 가져 올 애호할 만하지 않은 결과를 두려워 해야 할 것으로 정의되는데, 전통적인 용어로 꾸짖고 싫어하는 법을 가염법(訶厭法)이라 하고, 꾸짖을 만한 것을 가가(可訶)라고 하며, 두려워 해야 할 것을 포외(怖畏).

새로운!!: 죄와 죄 (불교) · 더보기 »

천명

명(天命)은 하늘에서 부여받은 명령 또는 운명을 뜻. 천명은 방벌(放伐)과 선양(禪讓)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낱말로, 방벌(放伐)은 폭군을 타도하는 것을 뜻하며, 선양(禪讓)은 덕이 있는 천자(天子)에게 제위(帝位)를 넘겨주는 것을 뜻.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제2기 문명 > 주의 봉건제도 > 천명 사상과 방벌 선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은나라(殷)나 주나라(周)는 모두 신의 뜻에 의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신권정치가 행해졌.

새로운!!: 죄와 천명 · 더보기 »

처벌

벌(處罰)은 일반적인 의미로 벌을 주는 것이며, 법적 의미에서 국가 권력에 의한 형벌권의 발동을 의미.

새로운!!: 죄와 처벌 · 더보기 »

칠죄종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작품 칠죄종과 네 가지 종말. 칠죄종(七罪宗)은 그 자체가 죄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자기 자신의 뜻에 따라 범하는 모든 죄의 근원이 되는 것을 일곱 가지로 분류한 것을 일컫는 그리스도교의 용어이.

새로운!!: 죄와 칠죄종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죄와 윤리학 · 더보기 »

영원 (철학)

영원(永遠) 또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은 한없는 시간의 지속(持續)이.

새로운!!: 죄와 영원 (철학) · 더보기 »

양심

양심(良心)은 선악을 판단하고 선을 명령하며 악을 물리치는 도덕 의식이.

새로운!!: 죄와 양심 · 더보기 »

에덴 동산

에덴 동산, 루카스 크라나흐 에덴 동산() 또는 에덴은 구약성경의 창세기에서 야훼가 최초의 사람인 아담과 그의 아내 하와를 위해 만들어 살게 했다는 이상향의 이름이.

새로운!!: 죄와 에덴 동산 · 더보기 »

하나님

은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및 이슬람교에서 그들의 신을 일컫는 데 사용하는 용어로, 하느님은 '한분'이시다, 는 유일신 사상에 그 기본뿌리를 두고 정하고 있. 하나님은 절대적 최고자(God), 만물의 창조자, 만물의 주재자 등을 일컫.

새로운!!: 죄와 하나님 · 더보기 »

아담과 하와

아담과 하와, 뒤러의 작품 아담()과 하와()는 성경에 등장하는 최초의 인간이.

새로운!!: 죄와 아담과 하와 · 더보기 »

악행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말과 행동과 뜻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 즉, 일체의 불선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의 신업(身業)어업(語業)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어악행(語惡行)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

새로운!!: 죄와 악행 · 더보기 »

원죄

미켈란젤로가 묘사한 아담과 하와의 추방 원죄(原罪)는 태초의 인간인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신)과의 약속을 어기게 되어 그 죄가 아담과 하와의 자손에게까지 이어진다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죄를 뜻.

새로운!!: 죄와 원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죄인, 죄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