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주계열

색인 주계열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도표의 두 축은 각각 별의 절대 등급 및 색지수이다. 그림에서 주계열은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 걸쳐 있는 띠이다. 주계열(主系列, main sequence)은 천문학에서 항성의 색등급도상에 나타나는 연속적이며 독특한 별의 띠를 말. 주계열은 색등급도에서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를 크게 가로지르며, 주계열 위에 위치한 별을 주계열성(主系列星, main sequence star) 또는 왜성(矮星, dwarf star)이라고 부른.

112 처지: A형 주계열성, CFBDSIR 1458+10, CNO 순환, 머리털자리 베타, 멱법칙, 메시에 67, 물병자리 EZ,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백조자리 61, 백색왜성, 갈색왜성, 반지름, 벵트 스트룀그렌, 겉보기등급, 고래자리 타우, 변광성, 광도, 광도 (천문학), 광구, 불투명도, 불안정띠, 분자운, 분해능, 근삿값의 순서, 기울기 (벡터), 금속함량, 블랙홀, 대류, 대류층, 땅꾼자리 70, 뉴욕, 뉴욕 (동음이의), G형 주계열성, HD 150136, HD 32450, Ib형 및 Ic형 초신성, II형 초신성, 스펙트럼, 슈테판-볼츠만 법칙, 슈테판-볼츠만 상수, 포리마, 포말하우트, 포츠담, 흑체, 적색거성, 적색왜성, 점근거성열, 전자 축퇴압, 전주계열성, 정역학적 평형, ..., 준왜성, 질량, 질량-광도 관계, 질소, 진스 불안정성, 지구, 천문학, 초기질량함수, 초신성,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켈빈,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쌍성, 유효온도, 태양, 태양질량, 태양핵, 탄소, 색등급도, 색지수, 수소, 오리온자리 피, 오리온자리 세타1 C, 옥스퍼드 대학교, 양자리 에타,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에르그,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 에너지, 헬륨, 열복사, 산소, 삼중알파과정, 플라스마, 프린스턴 대학교, 성간매질, 성단,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애니 점프 캐넌, 항성, 항성 자기장, 항성 자전, 항성 핵합성, 항성분류, 항성진화, 알페카, 안드로메다자리 파이,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핵융합,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 테이블산자리 알파, 시리우스, 시카고, 시카고 대학교, 원자, 원시별, 화가자리 베타, K형 주계열성, LP 944-020.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2 더) »

A형 주계열성

시리우스A는 전형적인 A V형 항성이다. A V형 항성은 분광형 상으로 A이며, 주계열성 상태 V에 있는 항성의 통칭이.

새로운!!: 주계열와 A형 주계열성 · 더보기 »

CFBDSIR 1458+10

CFBDSIR 1458+10a/b는 목자자리에 위치한 갈색 왜성 쌍성계로, 분광형은 각각 T9.5, >T10이.

새로운!!: 주계열와 CFBDSIR 1458+10 · 더보기 »

CNO 순환

제1CNO순환의 개념도여러 핵융합 반응의 온도에 따른 효율 변화 비교 CNO 순환(CNO cycle)은 항성이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시키는 핵융합 과정으로서 밝혀진 두 기작 중 하나다(다른 하나는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새로운!!: 주계열와 CNO 순환 · 더보기 »

머리털자리 베타

머리털자리 베타(β Com)는 머리털자리에 있는 황색 왜성으로 지구에서 29.78 광년 떨어져 있. 이 별의 바이어 기호 베타(β)는 별자리에서 두번째로 밝다는 의미이나, 실제로 머리털자리 베타의 겉보기 등급은 4.3으로 머리털자리 알파보다 근소하게 밝.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밝기이지만 도심지에서 광공해의 영향을 받을 경우 맨눈 관측이 힘들 것이.

새로운!!: 주계열와 머리털자리 베타 · 더보기 »

멱법칙

인구 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멱법칙 그래프의 예. 오른쪽은 롱테일의 형태를 띠며, 왼쪽은 전체에서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는 소수의 도시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는 파레토 법칙으로도 알려져 있다. 멱법칙(冪法則, power law)은 한 수(數)가 다른 수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되는 두 수의 함수적 관계를 의미.

새로운!!: 주계열와 멱법칙 · 더보기 »

메시에 67

M67은 게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이.

새로운!!: 주계열와 메시에 67 · 더보기 »

물병자리 EZ

물병자리 EZ는 물병자리에 있는 삼중성으로, 지구에서 11.3광년 떨어져 있. 다른 이름으로 루이텐 789-6으로 불린.

새로운!!: 주계열와 물병자리 EZ · 더보기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방패자리 델타 변광성(Delta Scuti variable, 왜소세페이드)은 항성 표면의 방사형맥동 및 비방사형맥동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항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더보기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의 위치. 백조자리 61(베셀의 별로도 불릴 때가 있다)은 백조자리에 있는 쌍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백조자리 61 · 더보기 »

백색왜성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시리우스 A와 시리우스 B의 사진. 밝은 시리우스 A의 밑에 희미하고 작은 점처럼 보이는 백색왜성 시리우스 B가 보인다. 백색왜성(白色矮星)은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도달하는 천체이.

새로운!!: 주계열와 백색왜성 · 더보기 »

갈색왜성

글리제 229 옆에서 발견된 갈색 왜성 글리제 229B. 이 천체의 질량은 목성의 20~50배에 이른다. 상상도 갈색왜성(褐色矮星, brown dwarf)은 질량이 태양의 8%(목성 질량의 75 ~ 80배) 미만이며, 핵에서 연속적인 수소 핵융합 반응을 유지할만한 중력을 가지지 못하는 천체를 말. 이 질량은 가장 가벼운 항성과 가장 무거운 행성의 중간 지대에 해당.

새로운!!: 주계열와 갈색왜성 · 더보기 »

반지름

원의 둘레 기하학에서, 원 또는 구의 반지름은 그 중심으로부터 경계에 이르는 선분이.

새로운!!: 주계열와 반지름 · 더보기 »

벵트 스트룀그렌

300px 벵트 게오르그 다니엘 스트룀그렌(Bengt Georg Daniel Strömgren, 1908년 1월 21일 ~ 1987년 7월 4일)은 덴마크의 천체물리학자이.

새로운!!: 주계열와 벵트 스트룀그렌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주계열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고래자리 타우

자리 타우(타우 케티)는 지구로부터 12광년 떨어져 있는 고래자리의 항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고래자리 타우 · 더보기 »

변광성

변광성(變光星)은 광도가 변하는 별이.

새로운!!: 주계열와 변광성 · 더보기 »

광도

광도는 인간이 전자기파를 시각으로 인식하는 감도인 시감도에 기초하여, 광원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주계열와 광도 · 더보기 »

광도 (천문학)

광도(光度, luminosity)는 천문학에서 천체가 단위시간에 방사하는 에너지를 가리키는 물리량이.

새로운!!: 주계열와 광도 (천문학) · 더보기 »

광구

광구(光球)란 천체에서 광학적 깊이(광심)가 1이 되는 영역이.

새로운!!: 주계열와 광구 · 더보기 »

불투명도

불투명도(不透明度, opacity)란 전자기 복사를 비롯한 복사가 어떤 물질 또는 물체를 투과할 수 없는 정도이.

새로운!!: 주계열와 불투명도 · 더보기 »

불안정띠

350px 불안정띠(Instability stripe)는 H-R도상에서 맥동변광성(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 처녀자리 W형 변광성, 고래자리 ZZ형 변광성, 황소자리 RV형 변광성, 방패자리 δ, 봉황자리 SX형 변광성 등) 에게 적용되는 영역이.

새로운!!: 주계열와 불안정띠 · 더보기 »

분자운

열쇠구멍 성운의 분자 구름. 때론 별들의 양성소(별의 형태가 이안에서 발생할때)로 불리는 분자운(分子雲, molecular cloud)은 성간 구름의 한 형태로 그 밀도와 크기가 분자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수소분자이.

새로운!!: 주계열와 분자운 · 더보기 »

분해능

분해능(分解能, angular resolution, spatial resolution)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물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새로운!!: 주계열와 분해능 · 더보기 »

근삿값의 순서

삿값의 순서(Orders of approximation)는 과학이나 공학에서 근삿값을 더 정확히 표현할 것인지, 더 다듬어 나가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기 위한 용어이.

새로운!!: 주계열와 근삿값의 순서 · 더보기 »

기울기 (벡터)

위의 두 그림에서는 회색의 밝기가 스칼라계의 크기를 뜻한다. 짙은 색일수록 크기가 큰데, 스칼라계의 기울기는 파란색 화살표로 나타냈다. 기울기(그레이디언트)란 벡터 미적분학에서 스칼라장의 최대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벡터장을 뜻. 기울기를 나타내는 벡터장을 화살표로 표시할 때 화살표의 방향은 증가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며, 화살표의 크기는 증가율이 최대일 때의 증가율의 크기를.

새로운!!: 주계열와 기울기 (벡터)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주계열와 금속함량 · 더보기 »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O. Straub, F.H. Vincent, M.A. Abramowicz, E. Gourgoulhon, T. Paumard, ``Modelling the black hole silhouette in Sgr A* with ion tori'',Astron. Astroph 543 (2012) A8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

새로운!!: 주계열와 블랙홀 · 더보기 »

대류

(對流)란 유체내에서의 분자들이 확산이나 이류를 통해 이동하는 현상이.

새로운!!: 주계열와 대류 · 더보기 »

대류층

층은 핵심부에서 특정 반경 영역으로 대류가 발생하는 곳이.

새로운!!: 주계열와 대류층 · 더보기 »

땅꾼자리 70

땅꾼자리 70은 땅꾼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16.6광년 떨어진 쌍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땅꾼자리 70 · 더보기 »

뉴욕

욕(뉴욕 시티; 시티 오브 뉴욕; NYC)은 미국 북동부, 뉴욕 주의 남쪽 끝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주계열와 뉴욕 · 더보기 »

뉴욕 (동음이의)

욕(New York)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주계열와 뉴욕 (동음이의) · 더보기 »

G형 주계열성

문학에서 G V는 항성이 분광형상 G임과 함께, 주계열 상태라는 뜻의 V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 용어이.

새로운!!: 주계열와 G형 주계열성 · 더보기 »

HD 150136

HD 150136은 제단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4,300광년 떨어져 있는 쌍성계이.

새로운!!: 주계열와 HD 150136 · 더보기 »

HD 32450

HD 32450은 토끼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7 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 왜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HD 32450 · 더보기 »

Ib형 및 Ic형 초신성

accessdate.

새로운!!: 주계열와 Ib형 및 Ic형 초신성 · 더보기 »

II형 초신성

대마젤란운에서 발생한 II-P형 초신성 SN 1987A의 팽창하는 잔해. ''NASA 사진.'' II형 초신성()은 무거운 별의 급격한 붕괴와 격렬한 폭발의 결과이.

새로운!!: 주계열와 II형 초신성 · 더보기 »

스펙트럼

무지개에서 발생하는 스펙트럼 현상. 스펙트럼(spectrum)은 흔히 빛을 프리즘 등의 도구로 색깔에 따라 분해해서 살펴보는 것을 일컫.

새로운!!: 주계열와 스펙트럼 · 더보기 »

슈테판-볼츠만 법칙

슈테판-볼츠만 법칙은 흑체의 단위 면적당 복사 에너지가 절대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주계열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더보기 »

슈테판-볼츠만 상수

슈테판-볼츠만 상수 (또는 슈테판 상수)는 그리스 문자 ''σ''로 표시되는 물리 상수로 슈테판-볼츠만 법칙에서 나오는 비례 상수이.: 단위 시간에 흑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복사하는 전체 에너지는 열역학적 온도의 4승에 비. 슈테판-볼츠만 상수의 값은 다음과 같이 주어.

새로운!!: 주계열와 슈테판-볼츠만 상수 · 더보기 »

포리마

자리 감마는 처녀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포리마 · 더보기 »

포말하우트

말하우트 또는 남쪽물고기자리 알파는 남쪽물고기자리 방향에 위치한 항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포말하우트 · 더보기 »

포츠담

(소르브어: Podstupim)은 독일 동부 하펠 강가에 있는 도시로 브란덴부르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주계열와 포츠담 · 더보기 »

흑체

온도가 감소하면서, 흑체복사 곡선의 정점이 크기는 줄어들고 파장은 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흑체복사 그래프는 레일리와 진스의 고전적 모델과도 비교할 수 있다. 흑체(黑體)란 진동수와 입사각에 관계없이 입사하는 모든 전자기 복사를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이.

새로운!!: 주계열와 흑체 · 더보기 »

적색거성

적색거성(赤色巨星, red giant)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 따른 항성 분류에서 작거나 중간 정도의 질량을 가진 밝고 거대한 별이.

새로운!!: 주계열와 적색거성 · 더보기 »

적색왜성

적색왜성과 그 주변을 돌고 있는 갈색왜성의 상상도. 적색왜성(赤色矮星, red dwarf)은 작고 상대적으로 차가우며 태양의 0.075-0.5배 정도의 질량(갈색왜성의 한계질량보다 크다; 갈색왜성은 엄밀히 말하자면 별이 아니다.)을 지닌 주계열성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주계열와 적색왜성 · 더보기 »

점근거성열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나타나는 질량에 따른 항성의 진화다. 점근거성가지는 태양 보다 2배 무거운 별의 경우에서 AGB로 표시된다. 점근거성가지()는 작거나 중간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이 위치하고 있는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상의 진화 영역 중 하나로, 중소 질량(0.6-10 태양질량)을 가진 별이 일생 말기에 진입하는 항성 진화 과정의 한 시기이.

새로운!!: 주계열와 점근거성열 · 더보기 »

전자 축퇴압

전자 축퇴압(電子 縮退壓, Electron degeneracy pressure)은 하나 이상의 전자가 동시에 같은 위치를 가질 수 없다는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새로운!!: 주계열와 전자 축퇴압 · 더보기 »

전주계열성

전주계열성은 주계열 단계에 이르기 전의 항성을 부르는 용어이.

새로운!!: 주계열와 전주계열성 · 더보기 »

정역학적 평형

정역학적 평형(靜力學的平衡, hydrostatic equilibrium)은 연속체 역학에서 유체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각 지점의 흐름 속도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상태를 말. 중력 따위의 힘이 압력경도력에 의해 상쇄되면 정역학적 평형 상. 예컨대 지구 대기를 보면, 대기압 경도력이 중력으로 인해 대기가 얇고 밀도 높은 껍질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주고, 중력은 대기압 경도력으로 인해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버리는 것을 막아준.

새로운!!: 주계열와 정역학적 평형 · 더보기 »

준왜성

준왜성(準矮星, subdwarf)은 여키스 항성분류법에 의해 광도분류 VI로 불리는 별들이.

새로운!!: 주계열와 준왜성 · 더보기 »

질량

픽으로 재현한 질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킬로그램 국제 원기. 질량(質量, mass)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주계열와 질량 · 더보기 »

질량-광도 관계

량-광도 관계(mass–luminosity relation)란 천체물리학에서 별의 질량과 광도 사이의 관계에서 주어지는 방정식이.

새로운!!: 주계열와 질량-광도 관계 · 더보기 »

질소

소(窒素←)는 비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N(←)이고 원자 번호는 7이.

새로운!!: 주계열와 질소 · 더보기 »

진스 불안정성

스 불안정성(Jeans instability)이란 천체물리학에서 성간 가스가 중력 붕괴를 일으켜 항성을 형성하게 하는 불안정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진스 불안정성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주계열와 지구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주계열와 천문학 · 더보기 »

초기질량함수

량함수(初期質量関数, initial mass function, 이하 IMF)는 경험적으로 얻을 수 있는 함수이며, 항성 모집단의 질량분포(항성질량의 히스토그램)를 그 초기질량(항성 형성시의 질량)을 통하여 기술.

새로운!!: 주계열와 초기질량함수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주계열와 초신성 · 더보기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줄여서 UCSD)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라호이아 (샌디에이고 광역권) 소재의 종합 명문 공립 대학이.

새로운!!: 주계열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 더보기 »

켈빈

빈(kelvin)은 온도의 국제 단위이.

새로운!!: 주계열와 켈빈 · 더보기 »

케임브리지

임브리지의 위치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Cambridge)는 영국 런던의 북쪽 케임브리지셔 주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주계열와 케임브리지 · 더보기 »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는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며, 공립 연구중심 대학이.

새로운!!: 주계열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주계열와 쌍성 · 더보기 »

유효온도

유효온도(有效溫度)는 천체의 단위 표면적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흑체의 온도로 정의할 수 있.

새로운!!: 주계열와 유효온도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주계열와 태양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주계열와 태양질량 · 더보기 »

태양핵

양핵(太陽核,core of the sun, solar core)은 태양의 중심부에서 태양반경의 20퍼센트 정도 되는 범위에 해당하는 곳이.

새로운!!: 주계열와 태양핵 · 더보기 »

탄소

소(炭素←)는 주기율표에서 기호는 C(←)이고 원자번호는 6인 화학 원소이.

새로운!!: 주계열와 탄소 · 더보기 »

색등급도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색등급도(色等級圖, color-magnitude diagram)란 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

새로운!!: 주계열와 색등급도 · 더보기 »

색지수

문학에서 색지수란 별의 표면온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천체의 색을 측정하는 단순한 수적 표현이.

새로운!!: 주계열와 색지수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주계열와 수소 · 더보기 »

오리온자리 피

오리온자리 피(φ Ori)는 오리온자리 방향에 있는 두 항성계를 묶어 부르는 명칭이.

새로운!!: 주계열와 오리온자리 피 · 더보기 »

오리온자리 세타1 C

오리온자리 세타1 C는 오리온 성운 사다리꼴 성단의 구성원 중 하나이.

새로운!!: 주계열와 오리온자리 세타1 C · 더보기 »

옥스퍼드 대학교

스 전경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는 영국 잉글랜드 옥스퍼드셔 주 옥스퍼드에 자리한 공립 연구중심 대학교이다. 1096년부터 교육을 시작했으며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기도 하다. 수많은 세계적인 인재들을 배출하였으며, 수백 년 동안 이어 온 깊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세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장학금으로 인정받는 로즈 장학금을 수여하는 유일한 대학이며,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세계 최상위 26개 대학 중 하나이다.

새로운!!: 주계열와 옥스퍼드 대학교 · 더보기 »

양자리 에타

양자리 에타(η Ari)는 북반구 하늘의 양자리 방향에 위치한 항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양자리 에타 · 더보기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태양에서의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연쇄반응(proton–proton chain reaction)은 항성이 수소를 헬륨으로 바꾸는 두 가지의 핵융합 반응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주계열와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 더보기 »

에르그

에르그는 CGS 단위계에서 쓰이는 에너지와 일의 단위로서, "erg"라고 쓴. 이 단위의 명칭은 일을 뜻하는 그리스어 ergon에서 유. 1 에르그는 1 센티미터 길이에 1 다인의 힘이 해낸 일의 양이.

새로운!!: 주계열와 에르그 · 더보기 »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Edward Charles Pickering, 1846년 7월 19일 ~ 1919년 2월 3일)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윌리엄 헨리 피커링의 형이.

새로운!!: 주계열와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 · 더보기 »

에너지

에너지(←, ←)는 물리학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뜻. 이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일반적으로 '석유 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와 같이 '에너지원'이라는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주계열와 에너지 · 더보기 »

헬륨

헬륨(←)은 화학 원소로, He(←)이고 원자번호는 2이.

새로운!!: 주계열와 헬륨 · 더보기 »

열복사

열복사(熱輻射, thermal radiation)는 열이 전자기파의 형태로 운반되거나 물체가 전자파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 열을 전달하는 방법은 크게 분류해서 다음의 두가지가 있.

새로운!!: 주계열와 열복사 · 더보기 »

산소

산소(酸素←)는 화학 원소의 하나로, 원소 기호는 O(←)이고 원자 번호는 8이.

새로운!!: 주계열와 산소 · 더보기 »

삼중알파과정

500px 삼중알파과정(triple alpha process)은 세 개의 헬륨 원자핵(알파 입자)가 탄소로 변화하는 핵융합 과정이.

새로운!!: 주계열와 삼중알파과정 · 더보기 »

플라스마

플라스마 램프(Plasma Lamp) 안에서 만들어지는 플라스마. 플라스마()는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에서 디바이 차폐(Debye sheath)를 만족하는 이온화된 기체를 말. 자유 전하로 인해 플라스마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전자기장에 대한 매우 큰 반응성을 갖.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99%가 플라스마로 이루어져 있. 물리적으로, 플라스마는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전하를 띤 입자들의 집합체로, 외부 전자기장에 집합적으로 반응.

새로운!!: 주계열와 플라스마 · 더보기 »

프린스턴 대학교

블레어 아치(Blair Arch)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는 1746년에 설립된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주계열와 프린스턴 대학교 · 더보기 »

성간매질

성간매질(星間媒質,, ISM) 또는 성간물질(星間物質)은 은하 내의 항성 사이나 항성 바로 근처에 존재하는 물질이나 에너지를.

새로운!!: 주계열와 성간매질 · 더보기 »

성단

큰부리새자리 47 구상성단의 모습. 남아프리카 대형 망원경(SALT)로 촬영함. 성단(星團, star cluster)은 중력으로 뭉쳐 있는 별들의 무리이.

새로운!!: 주계열와 성단 · 더보기 »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은 항성 표면이 수축하고 팽창하기 때문에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 더보기 »

세페이드 변광성

고물자리 RS 세페이드 변광성은 변광성의 특정 유형으로서 이들의 변광 주기와 절대광도 사이의 정확한 관계성으로 유명.

새로운!!: 주계열와 세페이드 변광성 · 더보기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리길 센타우루스 또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Rigil Centaurus 또는 α Cen)는 센타우루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주계열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 더보기 »

애니 점프 캐넌

섬네일 애니 점프 캐넌(Annie Jump Cannon, 1863년 12월 11일 ~ 1941년 4월 13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주계열와 애니 점프 캐넌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 · 더보기 »

항성 자기장

항성 자기장(恒星 磁氣場)은 행성 자기장과 비슷하게 자기장이 생기는 것이.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 자기장 · 더보기 »

항성 자전

이 그림에서 아케르나르는 빠른 자전 때문에 적도가 부풀어올라 있다. 항성 자전은 자전축에 대한 항성의 각운동을 말. 항성의 자전속도는 별의 스펙트럼 또는 항성 표면의 활동적 특징들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 항성은 자전하면서 원심력 때문에 적도가 부풀어오른.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 자전 · 더보기 »

항성 핵합성

항성 핵합성(Stellar nucleosynthesis)은 항성 내부에서 무거운 원소의 원자핵을 형성하는 반응을 총칭하는 말이.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 핵합성 · 더보기 »

항성분류

항성분류(恒星分類, stellar classification)는 항성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구별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분류 · 더보기 »

항성진화

양의 일생. 태양은 주계열 상태로 약 100억 년을 유지할 수 있다. 항성진화(恒星進化) 또는 별의 진화(stellar evolution)는 항성의 일생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과정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주계열와 항성진화 · 더보기 »

알페카

알페카 또는 북쪽왕관자리 알파(α Coronae Borealis, α CrB) 는 북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75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중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알페카 · 더보기 »

안드로메다자리 파이

안드로메다자리 파이(π And / π Andromedae)는 안드로메다자리의 분광 쌍성이.

새로운!!: 주계열와 안드로메다자리 파이 · 더보기 »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1899년 무렵의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Harvard College Observatory, HCO)는 하버드 대학교 천문학과가 보유한 천문 관측 시설 및 연구 장비를 관리하는 연구소이.

새로운!!: 주계열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 더보기 »

핵융합

중수소-삼중수소(D-T) 핵융합 반응은 핵융합 발전의 가장 유력한 방식으로 여겨진다. 물리학에서 핵융합(核融合, nuclear fusion)은 핵분열과 상반되는 현상으로, 두 개의 원자핵이 부딪혀 새로운 하나의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반응이.

새로운!!: 주계열와 핵융합 · 더보기 »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1873년 10월 8일 ~ 1967년 10월 21일)은 덴마크의 화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주계열와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 · 더보기 »

테이블산자리 알파

이블산자리 알파(Alpha Mensae)는 테이블산자리에 있는 가장 밝은 별이.

새로운!!: 주계열와 테이블산자리 알파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주계열와 시리우스 · 더보기 »

시카고

시카고 시(시티 오브 시카고 또는)는 뉴욕,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며, 일리노이 주 및 미국 중서부에서 가장 큰 도시로 그 인구는 270만 명이.

새로운!!: 주계열와 시카고 · 더보기 »

시카고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은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 있는 석유 재벌 존 D. 록펠러의 기부금으로 1890년에 설립된 명문의 연구 중심 사립 대학이며, 그 학업적 명성은 컬럼비아와 프린스턴 등의 아이비리그의 상위권 대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새로운!!: 주계열와 시카고 대학교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주계열와 원자 · 더보기 »

원시별

보크 구상체에서 태어나고 있는 원시별. 젊고 무거운 별 IRS2 주위 RCW 38 성단의 중심부. 유럽 우주국 소유 VLT에 부착된 NACO 적응광학 기구를 이용하여 촬영. 천문학자들은 IRS2가 거의 질량이 비슷한 별 두 개로 이루어진 쌍성계임을 알아냈다. 또한 수많은 원시별들도 함께 발견했다. 원시별은 성간 물질 내 거대 분자 구름이 수축하여 이루어진 거대한 덩어리이.

새로운!!: 주계열와 원시별 · 더보기 »

화가자리 베타

화가자리 베타 주위를 도는 외계혜성을 상상한 영상. 화가자리 베타(β Pic) 또는 베타 픽토리스(Beta Pictoris)는 화가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주계열와 화가자리 베타 · 더보기 »

K형 주계열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B가 있다. 셀레스티아에서 작성 K V형 항성은 분광형 K에 광도분류 V인 항성들의 통칭이.

새로운!!: 주계열와 K형 주계열성 · 더보기 »

LP 944-020

LP 944-020은 화로자리에 있는 갈색 왜성으로, 지구에서 16.194광년 떨어져 있. 이 별은 태양에서 47번째로 가까운 항성계이.

새로운!!: 주계열와 LP 944-020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난쟁이별, 주계열별, 주계열성, 영년 주계열, 영년주계열, 핵융합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