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창녕 성씨

색인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61 처지: 덕천군 (1397년), 덕원군 (왕족), 동향면, 모서면, 문효세자, 물계서원, 경상북도, 경상남도, 경완군, 대지면, 음성군, 의빈 성씨, 전라북도,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태종, 진안군, 창녕 성씨, 창녕군, 충청북도, 충청남도, 상주시, 예산군, 여릉군, 석보군, 성무용, 성건, 성봉조, 성부 (여말선초), 성기운, 성낙인, 성낙송, 성녕대군, 성달생, 성담수, 성운 (1497년), 성승, 성장현, 성희안, 성이성, 성일환, 성준 (조선), 성윤문, 성윤환, 성수경, 성수침, 성영, 성영훈 (1960년), 성혼, 성현, ..., 성사달, 성삼문, 성석린, 성석용, 성석제, 성세창, 성원묵, 한국의 성씨, 신양면, 원남면 (음성군), 훈민정음.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 더) »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덕원군 (왕족)

덕원군(德源君, 1449년 3월 6일 ~ 1498년 7월 22일)은 조선 전기의 왕자, 왕족으로, 세조의 서자이며 근빈 박씨 소생이었.

새로운!!: 창녕 성씨와 덕원군 (왕족) · 더보기 »

동향면

동향면(銅鄕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동향면 · 더보기 »

모서면

모서면(牟西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의 면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모서면 · 더보기 »

문효세자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년 10월 13일(음력 9월 7일) ~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는 조선의 왕세자(王世子)이자 제22대 정조의 장자이며,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첫아들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문효세자 · 더보기 »

물계서원

물계서원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물계서원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완군

경완군 이석린(慶完君 李石磷, 1640년 ~ 1648년 음력 12월 23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경완군 · 더보기 »

대지면

면(大池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면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대지면 · 더보기 »

음성군

음성군(陰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음성군 · 더보기 »

의빈 성씨

의빈 성씨(宜嬪 成氏, 1753년 8월 6일 (음력 7월 8일정조, 「어제 의빈 묘표」, "嬪生于英宗二十九年癸酉七月八日") ~ 1786년 11월 4일 (음력 9월 14일))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이름은 덕임(德任)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의빈 성씨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진안군

안군(鎭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진안군 · 더보기 »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창녕 성씨 · 더보기 »

창녕군

창녕군(昌寧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창녕군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상주시

상주시(尙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상주시 · 더보기 »

예산군

예산군(禮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예산군 · 더보기 »

여릉군

여릉군 이기(驪陵君 李圻, 1680년 6월 ∼ 1730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여릉군 · 더보기 »

석보군

석보군 이복생(石保君 李福生, 1399년 - 1447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 2대 정종의 열네번째 서자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석보군 · 더보기 »

성무용

성무용(成武鏞, 1943년 12월 1일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었고, 제14대 국회의원과 민선3·4·5기 충청남도 천안시장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무용 · 더보기 »

성건

성건(成健, 1438년 ~ 1495년 2월 3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건 · 더보기 »

성봉조

성봉조(成奉祖, 1401년 ~ 147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봉조 · 더보기 »

성부 (여말선초)

성부(成溥, 1359년 ~ ?)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부 (여말선초) · 더보기 »

성기운

성기운(成岐運, 1847년 12월 10일 ~ 1924년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봉서(鳳瑞), 호는 건제(健齊)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기운 · 더보기 »

성낙인

성낙인(成樂寅, 1950년 8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교수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총장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낙인 · 더보기 »

성낙송

성낙송(成樂松, 1958년 ~)은 제27대 사법연수원장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낙송 · 더보기 »

성녕대군

성녕대군 이종(誠寧大君 李褈, 1405년 8월 3일(음력 7월 9일) ~ 1418년 3월 11일(음력 2월 4일))은 조선 태종 임금의 제4적자로 이름은 이종(李褈),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녕대군 · 더보기 »

성달생

성달생(成達生, 1376년 ~ 1444년)은 고려·조선시대의 무신이며 자는 효백(孝白)이고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달생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운 (1497년)

성운(成運, 1497년 2월 17일(음력 1월 16일)∼1579년 6월 19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운 (1497년)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승 · 더보기 »

성장현

성장현(成章鉉, 1955년 5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민선 5·6·7기 서울 용산구청장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장현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희안 · 더보기 »

성이성

성이성(成以性, 1595년(선조 28년) ∼ 1664년(현종 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청백리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이성 · 더보기 »

성일환

성일환(成日煥, 1954년 4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제33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낸 예비역 공군 대장이며, 제11대 한국공항공사 사장을 역임.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일환 · 더보기 »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준 (조선) · 더보기 »

성윤문

성윤문(成允文, ? ~ ?)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여러 벼슬을 지내며 전공을 세웠.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윤문 · 더보기 »

성윤환

성윤환(成允煥, 1956년 8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이자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윤환 · 더보기 »

성수경

성수경(成守慶, ?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참전해 진주성 전투에 참여.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수경 · 더보기 »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수침 · 더보기 »

성영

성영(成泳, 1547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을 맡았고 후에 여러 벼슬들을.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영 · 더보기 »

성영훈 (1960년)

성영훈(成永薰, 1960년 ~)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이자 제5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영훈 (1960년)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혼 · 더보기 »

성현

성현(成俔, 1439년∼1504년 2월 4일(음력 1월 19일)/1월 25일(음력 1월 9일))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현 · 더보기 »

성사달

성사달(成士達, ? ~ 1380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성원달(成元達), 자는 겸선(兼善), 호는 역암(易菴)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사달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삼문 · 더보기 »

성석린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서예가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석린 · 더보기 »

성석용

성석용(成石瑢, 1352년 ~ 1403년 4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석용 · 더보기 »

성석제

성석제(成碩濟, 1960년 7월 5일 ~)는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석제 · 더보기 »

성세창

성세창(成世昌, 1481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세창 · 더보기 »

성원묵

성원묵(成原默, 1785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학자, 서예가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성원묵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국의 성씨(姓氏)는 전통적으로 270여 개가 있. 1486년(성종)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277개, 1766년(영조)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98개, 1908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496개, 1960년 대한민국 국세조사에서는 258개의 성씨.

새로운!!: 창녕 성씨와 한국의 성씨 · 더보기 »

신양면

신양면(新陽面)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신양면 · 더보기 »

원남면 (음성군)

원남면(遠南面)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음성군의 면이.

새로운!!: 창녕 성씨와 원남면 (음성군)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창녕 성씨와 훈민정음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창원 성씨, 성인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