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취음와 향찰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취음와 향찰의 차이

취음 vs. 향찰

음(取音) 또는 군두목(軍都目)은 원래 한자어가 아닌 낱말을 소리가 비슷한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방법을 말. 한자를 빌려 한국어를 적는 차자표기법에 속하지만, 취음은 특히 적는이의 주관에 따라 그럴듯한 어원풀이를 덧붙인 것을 가리. 향찰(鄕札)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이.

취음와 향찰의 유사점

취음와 향찰는 공통적으로 3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구결, 이두, 신라.

구결

(口訣)은 한문의 단어나 구절 사이에 붙이는 한국어 토씨를 표시할 때 사용되었던 문자로, 중국어 어순의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해서 또는 올바른 해석을 위해 문법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구절마다 한국어 토를 다는데, 그것을 기록하는 데 한자나 한자의 약자체를 빌려서 사용하였고, 향찰과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함께 발달하였으며, 이두의 발달 과정에서 다시 한문의 원전을 읽을 때 문장의 뜻을 돕기 위하여 한자의 이두식 용법으로 발달한 것으로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한 고려시대에 일찍이 한학자들에 의해 창안, 이용되었으리라 추측.

구결와 취음 · 구결와 향찰 · 더보기 »

이두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

이두와 취음 · 이두와 향찰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신라와 취음 · 신라와 향찰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취음와 향찰의 비교.

취음에는 9 개의 관계가 있고 향찰에는 16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2.00%입니다 = 3 / (9 + 16).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취음와 향찰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