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콘스탄티누스 1세

색인 콘스탄티누스 1세

스탄티누스 1세(272년 2월 27일 - 337년 5월 22일)는 중기 로마 황제(재위 306년 - 337년)이.

89 처지: 동방 정교회, 라바룸, 라인강, 락탄티우스, 로마, 로마 제국, 로마 황제, 로마 황제 목록, 리키니우스, 마르세유, 막센티우스, 막시미아누스, 모이시아, 갈레리우스, 갈리아, 반란, 밀라노 칙령, 밀비우스 다리 전투, 게르마니아, 검투사, 보스포루스 해협, 불가리아, 그리스 왕국, 기독교, 기독교인, 기록말살형, 브리타니아, 비잔티움, 비잔티움 제국, 비티니아, 교회, 교수형, 디오클레티아누스, 농노제, 니코메디아, 니시, 트리어, 요크, 장원, 히스파니아, 크리스푸스, 이탈리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중세, 콘스탄스,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파우스타, 사두 정치,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 성 베드로 대성당, 성인 (종교), 성직자, 세례, 세르비아, 해군, 알프스산맥, 하느님, 아나톨리아, 아야 소피아, 테살로니키, 십자가형, 원로원, 황제, 272년, 273년, 292년, 2월 27일, 305년, 306년, 307년, 310년, 311년, 312년, 313년, 315년, 316년, 317년, 324년, 325년, 326년, 330년, 337년, 5월 21일, 5월 22일, 7월 2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9 더) »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라바룸

바룸 라바룸(라틴어: labarum)은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그리스 문자(그리스어: ΧΡΙΣΤΟΣ 또는 그리스어: Χριστός)의 처음 두 글자 카이(Χ)와 로(Ρ)를 겹쳐놓은 것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라바룸 · 더보기 »

라인강

인 강()은 유럽의 강으로 길이가 1,230km에 이른.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라인강 · 더보기 »

락탄티우스

우스 카이킬리우스 (또는 카일리우스) 피르미아누스 락탄티우스(Lucius Caecilius Firmianus Lactantius, 240년? ~ 320년?)는 초기 기독교의 신학자이자 저술가였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Constantine I)의 초대 자문자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락탄티우스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제국

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가 황제 지배 체제 혹은 원수정(principatus)을 사실상 시작한 기원전 27년부터 몰락까지의 로마를 일컫.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로마 제국 · 더보기 »

로마 황제

마 황제는 아우구스투스를 시초로 하는 로마 제국의 황제들을 총칭하는 단어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로마 황제 · 더보기 »

로마 황제 목록

음 목록의 내용은 로마 제국의 황제들의 연대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로마 황제 목록 · 더보기 »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Gaius Valerius Licinianus Licinius, 263년 - 325년)는 로마의 황제(재위: 308년 - 324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 · 더보기 »

마르세유

마르세유()는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마르세유 · 더보기 »

막센티우스

막센티우스 마르쿠스 아우엘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Marcus Aurelius Valerius Maxentius, 278년추정 - 312년 10월 28일)은 306년부터 312년까지 로마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막센티우스 · 더보기 »

막시미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헤르쿨리우스(250년 추정 - 310년 7월)은 286년부터 305년까지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로마를 통치한 로마 황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막시미아누스 · 더보기 »

모이시아

원후 117년의 로마 제국 때의 모이시아 지방: 로마 속주인 '''모이시아 수페리오르'''가 빨강으로, '''모이시아 인페리오르'''가 분홍으로 표시되어 있다. 모이시아() 또는 모에시아는 현재의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지방을 일컫는 고대의 지방이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모이시아 · 더보기 »

갈레리우스

리우스 막시미아누스(Galerius Maximianus, 250년 추정 – 311년 5월 5일)은 305년부터 311년까지 로마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갈레리우스 · 더보기 »

갈리아

옛 갈리아 지역 지도 갈리아() 또는 골(Gaul)은 로마 제국의 멸망 이전까지 현재의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서부, 그리고 라인 강 서쪽의 독일을 포함하는 지방을 가리키는 말이며,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본국 이탈리아에 포함시키기 전까지의 갈리아 키살피나 (알프스 이남 북부 이탈리아)도 포함되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갈리아 · 더보기 »

반란

봉기의 상징인 치켜올린 주먹. 반란(叛亂, 리벨리언) 또는 봉기(蜂起, uprising), 모반(謀反, insurrection)이란 복종 또는 질서를 거부하는 것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반란 · 더보기 »

밀라노 칙령

밀라노 칙령(313년)은 종교적인 예배나 제의에 대해 로마 제국이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밀라노 칙령 · 더보기 »

밀비우스 다리 전투

밀비우스 다리 전투는 312년 10월 28일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막센티우스가 로마 근교의 밀비우스 다리에서 벌인 전투를 말. 이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는 승리하고 이후 사두정치체제를 끝내고 로마 제국의 단독 황제로 집권하는 길을 걷게 되고 상대편인 막센티우스는 결국 전사하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밀비우스 다리 전투 · 더보기 »

게르마니아

서기 2세기경 로마 제국과 게르마니아를 나타낸 지도. 게르마니아()는 라인 강 동쪽의 지방을 일컫는 라틴어 타칭 지명으로, 로마가 지배하던 라인 강 서안 지방이나 사르마티아까지도 포괄하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게르마니아 · 더보기 »

검투사

리텐 모자이크에 그려져있는 검투사. 200년경 검투사(라틴어:Gladiator, 글라디아토르)는 고대 로마의 볼거리 중 하나로 투기장에서 싸우는 투사를 뜻. 명칭의 유래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에스파냐를 점령한 후 에스파냐 원주민의 검을 채택했는데, 검투사 중에 일부가 이 무기, 글라디우스를 사용했던 것에서 왔..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검투사 · 더보기 »

보스포루스 해협

보스포루스 해협 보스포루스 해협(-海峽)은 흑해와 마르마라 해를 잇고, 아시아와 유럽을 나누는 터키의 해협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보스포루스 해협 · 더보기 »

불가리아

불가리아 공화국(불가리아共和國), 줄여서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 남동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불가리아 · 더보기 »

그리스 왕국

리스 왕국()은 1832년 유럽 열강(대영 제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이 런던 회의로 그리스에 세운 나라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그리스 왕국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인

독교인(基督敎人), 기독교도(基督敎徒), 기독인(基督人) 또는 그리스도인()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성경에서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인 · 더보기 »

기록말살형

세베루스 가문의 톤도 작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율리아 돔나, 카라칼라, 게타의 얼굴이 있었으나 게타의 얼굴이 지워졌다. 기록말살형(記錄抹殺刑)는 라틴어로 기록 말살을 뜻하며, 특정한 사람이 기억되어서는 안 된다는 형벌을 뜻. 로마 원로원에서 반역자나 로마에게 불명예를 끼친 자들에게 대해서 내리는 형벌이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록말살형 · 더보기 »

브리타니아

마시대의 브리타니아 브리타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에 오늘날 영국의 그레이트브리튼 섬을 이르던 말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브리타니아 · 더보기 »

비잔티움

비잔티움의 위치 비잔티움()은 오늘날 터키 이스탄불의 원래 이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비잔티움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티니아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비티니아(Bithynia, Βιθυνία)는 왼쪽 위에 위치한다 로마 제국의 비티니아 속주, (120년 경) 비티니아(그리스어:Βιθυνία, 라틴어: Bithynia)는 소아시아 북부 흑해에 접한 지역을 부르던 고대의 지명으로, 같은 이름의 왕국이 있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일개 속주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비티니아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교회 · 더보기 »

교수형

피사넬로가 그린 그림의 일부, 1436-1438 교수형(絞首刑)은 사형수의 목을 졸라서 질식시키는 사형 방법을 말. 교살형(絞殺刑)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교수형 · 더보기 »

디오클레티아누스

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추정245년– 추정312년)는 284년부터 305년까지 로마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디오클레티아누스 · 더보기 »

농노제

농노제(農奴制)는 일반적으로 봉건제 아래 이루어지는 통치 제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농노제 · 더보기 »

니코메디아

메디아 (Nicomedia, 오늘날 터키 이즈미트)는 오늘날 터키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니코메디아 · 더보기 »

니시

시 (2011년) 니시()는 세르비아 남부 니샤바 구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니시 · 더보기 »

트리어

리어의 위치 트리어(독일어: Trier, 프랑스어: Trèves, 에스파냐어: Treveris, 이탈리아어: Treviri)는 과거 갈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고대로마시대부터 현재까지 2000년이 넘는 도시역사를 간직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트리어 · 더보기 »

요크

요크의 항공 사진 요크의 위치 요크(York)는 영국 잉글랜드 노스요크셔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요크 · 더보기 »

장원

장원(莊園)은 유럽에서 봉건제도의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지배적이었던 자급자족 경제의 단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장원 · 더보기 »

히스파니아

히스파니아(Hispania)는 고대 로마 제국에서 이베리아 반도 (현재의 포르투갈, 스페인, 안도라, 지브롤터)를 통칭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히스파니아 · 더보기 »

크리스푸스

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Flavius Julius Crispus, ? - 326년)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맏아들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크리스푸스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아 공의회(Concilium Nicaenum Primum)는 325년 6월 19일 니케아(Nicaea, 현재 터키의 이즈니크) 황제의 별궁에서 열린 기독교의 공의회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더보기 »

중세

서튼후에서 발굴된 앵글로색슨 지도자의 투구(서튼후 투구) 레플리카. 중세(中世, Middle Ages)는 유럽 역사에서 서로마 제국이 멸망(476년)하고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4세기-6세기)이 있었던 5세기부터 르네상스(14세기-16세기)와 더불어 근세(1500년-1800년)가 시작되기까지의 5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이나 이 개념은 동양사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있었는지도 학자에 따라 의견이 상충하지만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없었다는 지극히 유럽 중심주의적인 의견도 존재.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중세 · 더보기 »

콘스탄스

300px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Flavius Julius Constans, 320년 - 350년)는 337년부터 350년까지 통치한 로마 황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스 · 더보기 »

콘스탄티누스 2세

스탄티누스 2세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Flavius Claudius Constantinus, 316년 - 340년)는 337년부터 340년까지 로마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티누스 2세 · 더보기 »

콘스탄티누스 왕조

스탄티누스 왕조는 공식적인 이름은 아니지만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를 시조로 하는 황제 가문의 계통에 편의상 붙여진 이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티누스 왕조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스탄티노플의 지도 콘스탄티노플 조감 복원 상상도(그래픽 재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터키의 도시 이스탄불의 옛 이름으로,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바꾸기 전의 원명은 비잔티움()이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 더보기 »

콘스탄티우스 2세

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Flavius Iulius Constantius, (317년 8월 7일 - 361년 11월 3일)는 337년부터 361년까지 로마 황제였다. 콘스탄티누스 왕조. 처음에는 형인 콘스탄티누스 2세(340년 죽음) 및 동생 콘스탄스(350년 죽음)와 공동 황제로 제국을 삼분(三分)해 통치했으나 353~361년에는 단독으로 통치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티우스 2세 · 더보기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Flavius Valerius Constantius, 250년추정 - 306년 7월 25일)는 로마의 장군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더보기 »

파우스타

우스타 조각상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Flavia Maxima Fausta, 289년 ~ 326년)은 로마 제국의 황후이며, 전 황제였던 막시미아누스의 딸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파우스타 · 더보기 »

사두 정치

사두 정치(四頭 政治)는 국가 권력이나 왕좌를 네 명이 나누어 통치하는 정치 체제를 말. 역사적으로는 293년에서 시작하여 약 20여 년간 존속했던 로마 제국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창안한 사두 정치제가 가장 유명.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사두 정치 · 더보기 »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

성녀 헬레나 성녀 헬레나 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헬레나(248년추정 – 329년추정)는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첫 번째 아내이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 · 더보기 »

성 베드로 대성당

저녁 때의 성 베드로 대성당 성 베드로 대성당의 좌측 구조도 성 베드로 대성당()은 바티칸 시국 남동쪽에 있는 대성당을 말. 바티칸 대성당(Basilica Vaticana)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성 베드로 대성당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성직자

성직자 성직자(聖職者)는 신학교육 등을 통해 종교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종교지도자를 말. 이들은 종교를 믿는 신도들을 종교집회나 교리교육을 통해 지도할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성직자 · 더보기 »

세례

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세례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세르비아 · 더보기 »

해군

국적 함대 CTF-150 오만 해의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 중 5개국 다왼쪽부터 오른쪽으로, F-570 마에스트랄레, D-612 드 그라세; CVN-74 존 스테니스, R-91 샤를르드골 호 (R 91), F-711 수쿠프; CG-73 포트로열, L-12 오세안, CV-67 존 케네디, F-831 판 암스텔, D-560 루이지 두란트 데 라 펜넬 해군(海軍)은 바다를 주무대로 하여 해상 전투 및 상륙 작전(해병대)을 위해 작전과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성된 군종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해군 · 더보기 »

알프스산맥

300px 알프스 산맥()은 유럽의 중부에 있는 산맥으로, 동쪽의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에서 시작해서 이탈리아와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독일을 거쳐 서쪽의 프랑스에까지 이른.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알프스산맥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하느님 · 더보기 »

아나톨리아

아나톨리아의 지형도 고대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아나톨리아(Anatolia)는 서남아시아의 한 지역으로, 오늘날 터키 영토에 해당하는 반도(半島)를 말. 아나톨리아는 이전에는 소아시아(Asia Minor)라고 불. 한글성서에서는 소아시아를 아시아라고 번역.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아나톨리아 · 더보기 »

아야 소피아

아야 소피아 또는 하기아 소피아(‘성스러운 지혜’라는 뜻)는 터키의 이스탄불에 있는 동방 정교회 대성당으로 현재는 박물관으로 사용 중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아야 소피아 · 더보기 »

테살로니키

살로니키(또는 테살로니카, 살로니카)는 아테네 다음으로 큰 그리스 제2의 도시이자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방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테살로니키 · 더보기 »

십자가형

Crucifixion of Jesus'' by Marco Palmezzano (Uffizi, Florence), painting c. 1490 십자가형(十字架刑)은 고대 로마의 사형 방법 중 하나로, 본래는 신아시리아, 페니키아, 페르시아 제국에서 사용하던 처형 방법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십자가형 · 더보기 »

원로원

원로원(元老院, 라틴어: Senatus)은 고대사회의 의회 또는 상원 등에 해당하는 회의체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원로원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황제 · 더보기 »

2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272년 · 더보기 »

2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273년 · 더보기 »

2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292년 · 더보기 »

2월 27일

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8번째(윤년일 경우도 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2월 27일 · 더보기 »

3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05년 · 더보기 »

3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06년 · 더보기 »

3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07년 · 더보기 »

3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0년 · 더보기 »

3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1년 · 더보기 »

3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2년 · 더보기 »

3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3년 · 더보기 »

3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5년 · 더보기 »

3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6년 · 더보기 »

3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17년 · 더보기 »

3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4년 · 더보기 »

3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5년 · 더보기 »

3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6년 · 더보기 »

3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30년 · 더보기 »

3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337년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5월 21일 · 더보기 »

5월 22일

5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2번째(윤년일 경우 1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5월 22일 · 더보기 »

7월 25일

7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6번째(윤년일 경우 2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1세와 7월 2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 콘스탄틴 대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