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5 처지: 백중날, 강릉농악, 북, 꽹과리, 구례잔수농악, 남사당, 나발, 단오, 장구, 임실필봉농악, 평택농악, 평야, 이리농악, 일제 강점기, 전쟁, 전투, 진주삼천포농악, 징, 지신밟기, 추석, 태평소, 풍물놀이, 사물놀이, 소고, 한국.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한국의 전통 음악
백중날
백중날, 백중(百中 또는 百衆)은 백종(百種),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이라고도 하며, 음력 7월 15일이.
보다 풍물놀이와 백중날
강릉농악
강릉농악(江陵農樂)은 태백산맥 동쪽 지역인 영동 농악의 대표 격으로 1985년 12월 1일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된 농악을 말. 강릉농악은 ‘농사풀이 농악’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농경 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이.
보다 풍물놀이와 강릉농악
북
한국의 북 북은 타악기 중 하나로 동물의 피막을 씌워 그 부분을 치면서 연주하는 악기이.
보다 풍물놀이와 북
꽹과리
꽹과리 꽹과리를 연주하는 사람 꽹과리 또는 소금(小金), 쟁(錚), 괭매기라고 불리며, 놋쇠로 만든 악기로서 채로 두들겨 소리를 내는 한국 전통 악기이.
보다 풍물놀이와 꽹과리
구례잔수농악
잔수농악(求禮潺水農樂)은 지역분류상 호남좌도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2010년 10월 2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되었.
보다 풍물놀이와 구례잔수농악
남사당
right 남사당은 남사당패 연희종목인 농악, 줄타기, 땅재주, 가면극 등의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을 위한 조사 및 연구, 보유자 보호사업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2001년 12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보다 풍물놀이와 남사당
나발
발을 연주하는 사람 나발(喇叭)은 놋쇠로 만든 한국 전통 관악기로, 금부악기이.
보다 풍물놀이와 나발
단오
오풍정 (端午風情) ― 신윤복 단오(端午)는 동아 명절의 하나로, 음력 5월 5일이.
보다 풍물놀이와 단오
장구
장구 장구는 한국 전통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는 타악기로 장고(杖鼓/長鼓),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린.
보다 풍물놀이와 장구
임실필봉농악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풍물놀이이.
보다 풍물놀이와 임실필봉농악
평택농악
평택농악(平澤農樂)은 지역분류상 웃다리 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되었.
보다 풍물놀이와 평택농악
평야
평야(平野) 또는 평지(平地)는 낮고 평평한 넓은 지형을 가리키는 지리 용어이.
보다 풍물놀이와 평야
이리농악
이리농악(裡里農樂)은 지역분류상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
보다 풍물놀이와 이리농악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보다 풍물놀이와 일제 강점기
전쟁
전쟁(戰爭)이란 국가 또는 정치 집단 사이의 폭력이나 무력을 사용하는 상태 또는 행동을 말. 특별히 둘 이상의 국가 간에 어떤 목적을 두고 수행되는 싸움이.
보다 풍물놀이와 전쟁
전투
워털루 전투를 묘사한 그림 전투(戰鬪)는 상대를 굴복시키기 위해 둘 이상의 교전 당사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명백한 무력 충돌을 뜻. 흔히 전쟁이나 군사 작전 중에 특정한 시간, 장소에서 일어난 싸움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보다 풍물놀이와 전투
진주삼천포농악
주삼천포농악(晋州三千浦農樂)은 지역분류상 영남 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66년 6월 29일 제11호 농악12차로 처음 지정되었고, 이후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
징
징 매달려있는 징 징 또는 금(金), 금징(金-), 대금(大金)은 한국의 타악기이.
보다 풍물놀이와 징
지신밟기
신밟기(地神--)는 한국에서 세시 풍속으로 하는 놀이의 하나이.
보다 풍물놀이와 지신밟기
추석
석(秋夕)은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로 부르기도 하며,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명절로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인에게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이.
보다 풍물놀이와 추석
태평소
전시된 태평소 태평소 부는 모습 태평소(太平簫) 또는 새납은 고려 말 서남아시아에서 유래한 한국 전통 관악기로, 호적(胡笛), 쇄납, 쇄나, 날라리,랄라리 등으로도 불린.
보다 풍물놀이와 태평소
풍물놀이
풍물놀이 풍물놀이 혹은 풍물굿(간단히 풍물(風物))이란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사물)와 나발, 태평소, 소고(버꾸라고도 함) 등의 악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악기 연주와 몸동작 그리고 행렬을 지어 다채로운 집단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진풀이 등을 모두 가리키는 말이.
보다 풍물놀이와 풍물놀이
사물놀이
독일 브레멘에서 연주하는 모습 사물놀이는 사물(꽹과리,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계열의 국악이며, 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덕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사물놀이》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이.
보다 풍물놀이와 사물놀이
소고
소고 소고(小鼓)는 양면을 가죽으로 메우고 나무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적인 타악기로 법고(法鼓), 벅구라고도 불린.
보다 풍물놀이와 소고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보다 풍물놀이와 한국
참고하세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가곡 (한국 음악)
- 가사 (문학)
- 강강술래
- 강릉 단오제
- 거문고
- 검무
- 고성오광대
- 고싸움놀이
- 김장
- 남사당놀이
- 대금
- 문배주
- 법주
- 산대놀이
- 송파산대놀이
- 승무
- 승전무
- 씨름
- 아리랑
- 양주별산대놀이
- 연등회
- 영산재
- 은산별신굿놀이
- 임실필봉농악
- 전통주
- 제주 칠머리당영등굿
- 조선왕조 궁중음식
- 종묘 제례
- 처용무
- 태평무
- 택견
- 평택농악
- 풍물놀이
- 풍어제
- 하회별신굿탈놀이
- 한국의 줄타기
- 한산모시
- 해녀
인류무형문화유산
- 가곡 (한국 음악)
- 강강술래
- 강릉 단오제
- 경극
- 고요한 밤 거룩한 밤
- 김장
- 나담
- 남사당놀이
- 단오
- 도이나
- 레게
- 마나스
- 매사냥
- 모르나
- 목판 인쇄
- 선지 (종이)
- 송끄란
- 송덕기
- 씨름
- 아리랑
- 연등회
- 영산재
- 요가
- 월극
- 절기
- 제주 칠머리당영등굿
- 종묘 제례
- 줄다리기
- 처용무
- 쿠스쿠스
- 크르크프나르
- 태국 마사지
- 택견
- 탱고 음악
- 티베트 하우스
- 판소리
- 풍물놀이
- 피니시 (선박)
- 한국의 줄타기
- 한산모시
- 해녀
한국의 전통 음악
- 강릉농악
- 국립국악원
- 대취타
- 도라지타령
- 무속음악
- 보허자
- 사물놀이
- 산조
- 수제천
- 시나위
- 아리랑
- 악학궤범
- 영산회상 (음악)
- 입창
- 장단
- 전주세계소리축제
- 정읍사
- 판소리
- 풍물놀이
- 한국 민요 변주곡
- 한국 전통 악기
- 한국 전통 음악
또한 농악, 풍물굿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