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강

색인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200 처지: 덕소강변대교, 도림천, 도시 계획, 동작대교, 동진, 동호대교, 마곡대교, 마포대교, 마한, 목 (행정 구역), 목감천, 미사대교, 방화대교, 배알미대교, 백제, 개풍군, 반고 (후한), 반포대교, 반포한강공원, 강동대교, 강변북로, 강원도 (남), 강화도, 강화해협, 가평군, 가양대교, 결정편암, 경기도, 경인 아라뱃길, 경춘로, 경안천, 검룡소, 고덕천, 고려, 고려사, 고구려, 공릉천, 병인양요, 계양천, 괴물 (2006년 영화), 광개토왕릉비, 광주산맥, 광진교, 광천, 봉천천, 관동 지방, 관악산, 북쪽, 북한강, 북한산, ..., 북악산, 불광천, 불국사 화강암, 분당선, 김포대교, 김포시, 대방천, 대한민국, 구리암사대교, 구석기 시대, 국가가 부른다, 굴포천, 두만강, 남한강, 낙동강, 노량대교, 단층, 당산철교, 용암천, 우각호, 우이천, 자이언트, 잠수교, 잠실보, 잠실대교, 잠실철교, 편마암, 임계천, 임진강, 인천국제공항철도, 일산대교, 을축년 대홍수, 정선군, 조운 (제도), 조창 (기관),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랑천, 중생대, 쥐라기, 증기선, 진 (군사), 지류, 차령산맥, 창릉천, 철기 시대, 철교, 철원군, 청동기 시대, 청미천, 청계천, 청담대교, 천호대교, 충적층, 춘천시, 파주시, 팔당댐, 팔당대교, 위례성, 택리지, 태백산맥, 태백시, 탄천, 수도권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상 택시, 영동대교, 영월군, 오대천, 오산천, 올림픽대로, 올림픽대교, 호서 지방, 양재천, 양평군, 양수리, 양화대교, 행주대교, 여의도, 연려실기술, 풍수, 킬로미터, 산곡천, 삼국사기, 석촌호수공원, 선유도공원, 섬강, 성내천, 성수대교, 성산대교, 세종실록 지리지, 서래섬과 반포섬, 서강대교,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암사동 유적, 서울교, 서울특별시,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호교, 송천, 송파강, 한반도, 한반도 대운하, 한강,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한강공원, 한강대교, 한강의 기적, 한강철교, 한국, 한국 전쟁, 한남대교, 한탄강, 한산주, 한서, 안양천, 하중도, 아스팔트 사나이, 아우라지, 아차산대교, 압록강, 신라, 신미양요, 신곡보,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드라마), 신증동국여지승람, 원효대교, 월문천, 홍제천, 황금의 제국, 황해, 황해도, 황해북도, 화강암, 1900년, 1912년, 1916년, 1920년, 1925년, 1970년, 1995년, 2006년, 2007년, 2010년, 201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0 더) »

덕소강변대교

덕소강변대교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위치한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덕소강변대교 · 더보기 »

도림천

thumb 도림천(道林川)은 안양천의 지류로, 서울특별시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서울대학교를 지나 관악구·동작구·영등포구·구로구를 거쳐 안양천으로 유입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도림천 · 더보기 »

도시 계획

밤, 도시의 분포를 알 수있다. 퍼스시의 교외지역인 소렌토. 난개발 중에서도 자연 보존과 도시의 심미화가 슬럼화, 도시 재개발, 초고층화, 교외화와 함께 공존하는 도시이다. 호주의 캔버라 시. 1868년의 스웨덴 스톡홀름 전경. 1758년의 오스트리아 빈 전경. 도시 계획(都市計劃)은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해 가며 이를 시행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말. 또한 도시계획은 도시의 장래 발전 수준을 예측하여 사전에 바람직한 형태를 미리 상정해두고 이에 필요한 규제나 유도정책, 혹은 정비수단 등을 통하여 도시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관리해 나가는 도구이.

새로운!!: 한강와 도시 계획 · 더보기 »

동작대교

동작대교(銅雀大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동작구 동작동을 잇는 총연장 1,330m의 한강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동작대교 · 더보기 »

동진

동진(東晉, 317년 ~ 420년)은 중국의 서진(西晉) 왕조가 유연(劉淵)의 전조(前趙)에게 멸망한 후, 사마예(司馬睿)에 의해 강남(江南)에 세워진 진(晉)의 망명 왕조이.

새로운!!: 한강와 동진 · 더보기 »

동호대교

동호대교(東湖大橋)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동호대교 · 더보기 »

마곡대교

마곡대교(麻谷大橋)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을 잇는 철도교이.

새로운!!: 한강와 마곡대교 · 더보기 »

마포대교

마포대교(麻浦大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마포대교 · 더보기 »

마한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

새로운!!: 한강와 마한 · 더보기 »

목 (행정 구역)

목(牧)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큰 고을에 두었던 지방 행정 단위이.

새로운!!: 한강와 목 (행정 구역) · 더보기 »

목감천

목감천(牧甘川)은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경기도 광명시 사이를 지나 구일역 근처에서 안양천과 합류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목감천 · 더보기 »

미사대교

미사대교 (渼沙大橋)는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과 남양주시 삼패동을 잇는 길이 1.53km의 한강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미사대교 · 더보기 »

방화대교

방화대교(傍花大橋)는 한강을 건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을 잇는 총연장 2.56km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방화대교 · 더보기 »

배알미대교

배알미대교는 경기도 하남시 에 있는 총 연장 1,155m의 다리로, 한강 남단을 통. 전 구간이 국도 제45호선에 속해있으며, 2004년에 개통되었.

새로운!!: 한강와 배알미대교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한강와 백제 · 더보기 »

개풍군

풍군(開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군이.

새로운!!: 한강와 개풍군 · 더보기 »

반고 (후한)

반고 반고(班固, 건무 8년(32년) ~ 영원 4년(92년))는 1세기경의 중국 후한의 역사가이.

새로운!!: 한강와 반고 (후한) · 더보기 »

반포대교

반포대교 (盤浦大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연결하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반포대교 · 더보기 »

반포한강공원

반포한강공원은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첫 번째 결과물로, 반포대교 인근에 설치된 공원이.

새로운!!: 한강와 반포한강공원 · 더보기 »

강동대교

강동대교(江東大橋)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폭 26.72m, 길이 1,126m의 한강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강동대교 · 더보기 »

강변북로

강변북로(江邊北路,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가양대교 북단 시계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지금삼거리를 연결하는 도로이.

새로운!!: 한강와 강변북로 · 더보기 »

강원도 (남)

강원도(江原道, Gangwon Provinc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강와 강원도 (남)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한강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해협

강화해협에 설치된 조선시대 진과 돈대의 위치 강화해협(江華海峽)은 인천광역시 강화군과 경기도 김포시 사이의 해협이.

새로운!!: 한강와 강화해협 · 더보기 »

가평군

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강와 가평군 · 더보기 »

가양대교

양대교(加陽大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을 연결하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가양대교 · 더보기 »

결정편암

정편암 결정편암(結晶片巖) 또는 편암(片巖)은 암석의 한 종류로, 석운, 운모 등의 광물 입자가 옆으로 배열된 변성암이.

새로운!!: 한강와 결정편암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강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인 아라뱃길

경인 아라뱃길(京仁아라뱃길) 또는 경인운하는 한강 하류의 행주대교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과 시천동을 연결하는 운하이.

새로운!!: 한강와 경인 아라뱃길 · 더보기 »

경춘로

경춘로 (京春路)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망우리고개와 남양주시, 가평군을 거쳐 강원도 춘천시 온의동 온의사거리를 잇는 도로이.

새로운!!: 한강와 경춘로 · 더보기 »

경안천

경안천(京安川)은 경기도 용인시 호동 용해곡 상봉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모현읍 · 오포읍 · 경안동 일대를 지나 북쪽으로 흘러 남종면 분원리(分院里)에서 한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지명은 경안면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한강와 경안천 · 더보기 »

검룡소

룡소(儉龍沼)는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에 있는 분출수로 대덕산과 함백산 사이에 있는 금대봉(해발 1418m)자락의 800m 고지에 있는 소이.

새로운!!: 한강와 검룡소 · 더보기 »

고덕천

덕천(高德川)은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이성산을 분수령으로 광암동에서 발원하여 서북 방향으로 흐르다가 강동구의 상일동, 하일동, 고덕동을 거쳐 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고덕천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한강와 고려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한강와 고려사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한강와 고구려 · 더보기 »

공릉천

공릉천(恭陵川)은 경기도 양주시, 고양시, 그리고 파주시에 걸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공릉천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한강와 병인양요 · 더보기 »

계양천

양천(桂陽川)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계양산의 약수터에서 발원한 뒤 경인 아라뱃길 하부를 통과해 나진포천을 합류시키며 한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계양천 · 더보기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怪物)은 2006년 7월 27일에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이.

새로운!!: 한강와 괴물 (2006년 영화) · 더보기 »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의 탁본 광개토왕릉비 복제품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

새로운!!: 한강와 광개토왕릉비 · 더보기 »

광주산맥

광주산맥(廣州山脈)은 태백산맥의 철령(鐵嶺) 부근에서 갈라져 서울 부근에 이르는 산맥이.

새로운!!: 한강와 광주산맥 · 더보기 »

광진교

광진교(廣津橋)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잇는 총연장 1,056m의 한강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광진교 · 더보기 »

광천

분을 함유해서 붉은 빛을 띠는 광천. 광천(鑛泉, mineral spring)이란 광물질 또는 여타 불순물을 함유한 물을 생산하는 샘을 일컫.

새로운!!: 한강와 광천 · 더보기 »

봉천천

봉천천(奉天川)은 도림천의 지천인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봉천천 · 더보기 »

관동 지방

동 지방(關東地方)은 강원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한강와 관동 지방 · 더보기 »

관악산

악산(冠岳山)《글로벌 세계대백과》〈관악산〉 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높이 632m 의 산이.

새로운!!: 한강와 관악산 · 더보기 »

북쪽

북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 북쪽(北側)은 남쪽의 반대 방향으로 동쪽과 서쪽의 사이 방향이.

새로운!!: 한강와 북쪽 · 더보기 »

북한강

북한강(北漢江)은 한강의 제1지류 중 가장 긴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북한강 · 더보기 »

북한산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양주시·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5.6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이름은 조선 후기시대때 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

새로운!!: 한강와 북한산 · 더보기 »

북악산

북악산(北岳山)은 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으로, 백악산(白岳山)이.

새로운!!: 한강와 북악산 · 더보기 »

불광천

불광천(佛光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하천으로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에 걸쳐 흐른.

새로운!!: 한강와 불광천 · 더보기 »

불국사 화강암

불국사 화강암은 불국사 조산운동 때 관입하여 생성된 화강암을 일컫.

새로운!!: 한강와 불국사 화강암 · 더보기 »

분당선

분당선(盆唐線)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및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강와 분당선 · 더보기 »

김포대교

(金浦大橋)는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에서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을 잇는 길이 2.28km의 한강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김포대교 · 더보기 »

김포시

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 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강와 김포시 · 더보기 »

대방천

방천(大方川)은 도림천으로 합류했던 대한민국의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대방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강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구리암사대교

리암사대교(九里岩寺大橋)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한강에 위치한 교량이.

새로운!!: 한강와 구리암사대교 · 더보기 »

구석기 시대

석기 시대(舊石器時代)는 선사 시대의 시대 구분으로 석기 시대 초기를 말.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타제석기)를 도구로 사용.

새로운!!: 한강와 구석기 시대 · 더보기 »

국가가 부른다

《국가가 부른다》은 2010년 5월 10일부터 2010년 6월 29일까지 방송한 KBS의 월화 미니시리즈인데 대부분 배우들이 출연료를 한동안 받지 못.

새로운!!: 한강와 국가가 부른다 · 더보기 »

굴포천

(掘浦川)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청 앞에서 산곡천과 원통천을 합류시키는 지점부터 부천시를 거쳐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지점까지의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굴포천 · 더보기 »

두만강

만강의 위치 두만강 图们江 두만강(豆滿江)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러시아 국경 (ru:Российско-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граница)을 이.

새로운!!: 한강와 두만강 · 더보기 »

남한강

강(南漢江)은 한강의 본류 중 평창강의 합류지점부터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까지의 구간을 뜻.

새로운!!: 한강와 남한강 · 더보기 »

낙동강

낙동강의 모습(안동 월영교) 낙동강(洛東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되어 영남 지방을 통해 남해로 흐르는 강이.

새로운!!: 한강와 낙동강 · 더보기 »

노량대교

량대교(鷺梁大橋)는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총연장 2,070m의 다리로, 한강 남단을 통. 전 구간이 올림픽대로에 속해있으며, 1986년 5월 2일에 개통되었.

새로운!!: 한강와 노량대교 · 더보기 »

단층

층의 종류. A: 역단층, B: 정단층, C: 수평단층 단층(斷層)은 지진 등의 지질 활동으로 인해 지층이 어긋나있는 것을 말.

새로운!!: 한강와 단층 · 더보기 »

당산철교

당산철교(堂山鐵橋)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당산역과 합정역을 연결하는 철교이.

새로운!!: 한강와 당산철교 · 더보기 »

용암천

용암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강와 용암천 · 더보기 »

우각호

쑹화 강의 우각호 우각호(牛角湖)는 범람원을 비롯한 낮은 평야 지대를 사행하던 하천이 끊겨 생긴 호수로 쇠뿔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

새로운!!: 한강와 우각호 · 더보기 »

우이천

우이천(牛耳川)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동 도봉산(우이령)에서 발원하여 중랑천으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우이천 · 더보기 »

자이언트

자이언트(giant)는 거인(巨人)의 영어 표현이.

새로운!!: 한강와 자이언트 · 더보기 »

잠수교

잠수교(潛水橋)는 물에 잠기도록 설계된 다리를 뜻. 배를 지나다니게 하기 위해서 임의로 물에 잠기도록 만든 가동교와, 움직이지 않지만 홍수 등으로 물이 불어나면 잠기는 다리로 분류할 수 있.

새로운!!: 한강와 잠수교 · 더보기 »

잠실보

잠실보는 한강의 수위 및 유량 조절, 퇴사 및 퇴적오염토 제거, 홍수예방을 위하여 잠실대교 하류 10m 지점에 설치된 총길이 873m의 수중보 이. 가동보와 고정보로 구성된 혼합보 형태로 1986년 10월에 설치되었.

새로운!!: 한강와 잠실보 · 더보기 »

잠실대교

잠실대교(蠶室大橋)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잠실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잠실대교 · 더보기 »

잠실철교

잠실철교(蠶室鐵橋)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과 송파구 신천동을 잇는 도로 겸 철도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잠실철교 · 더보기 »

편마암

마암 편마암()은 기존의 암석이 고온 고압의 변성과정을 받아 생기는 암석중의 하나이.

새로운!!: 한강와 편마암 · 더보기 »

임계천

임계천()는 강원도 정성군을 흐르는 강이.

새로운!!: 한강와 임계천 · 더보기 »

임진강

임진강(臨津江)은 한반도 중부를 서쪽으로 흘러가서 황해로 흘러가는 강이.

새로운!!: 한강와 임진강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철도

I'REX 시절의 로고, 2007년에 AREX으로 바뀌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내부 인천국제공항철도(仁川國際空港鐵道)는 서울역에서 용유차량기지와 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간선철도 및 공항철도 노선이.

새로운!!: 한강와 인천국제공항철도 · 더보기 »

일산대교

일산대교(一山大橋)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동 이산포 분기점과 김포시 걸포동 걸포 나들목을 잇는 총길이 1,840m의 한강 다리이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56호선에 속해있.

새로운!!: 한강와 일산대교 · 더보기 »

을축년 대홍수

을축년 대홍수(乙丑年 大洪水)는 1925년 일제 강점기에 발생한 4차례의 홍수를 말. 이 홍수로 특히 한강과 낙동강 유역의 피해가 심. 홍수가 일어난 1925년, 을축년의 이름을 따서 을축년 대홍수라고 부른.

새로운!!: 한강와 을축년 대홍수 · 더보기 »

정선군

정선군(旌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강와 정선군 · 더보기 »

조운 (제도)

조운(漕運) 또는 운조(運漕)는 지방에서 조세로 거두어들인 곡식과 포백(布帛)을 수도로 운반하는 제도이며, 조전(漕轉)이라고도 하였.

새로운!!: 한강와 조운 (제도) · 더보기 »

조창 (기관)

조창(漕倉)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경창으로 조운할 곡식과 포백을 보관하던 창고이.

새로운!!: 한강와 조창 (기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강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강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랑천

중랑천(中浪川)은 한강의 여러 지류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원하여 의정부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중랑천 · 더보기 »

중생대

중생대(中生代, Mesozoic Era)는 현생누대를 나누는 지질 시대 구분 중 하나이.

새로운!!: 한강와 중생대 · 더보기 »

쥐라기

(Jurassic period)는 중생대의 두 번째 시기로, 2억 년 전부터 1억 4500만 년 전까지 지속된 지질 시대이.

새로운!!: 한강와 쥐라기 · 더보기 »

증기선

의 증기선 SS Ukkopekka 증기선(蒸氣船)은 증기기관을 이용하여 증기력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는 배를 말. 선박명 앞에 선박 접두어 "SS"를 붙인.

새로운!!: 한강와 증기선 · 더보기 »

진 (군사)

(鎭)은 옛날에 있었던 특수목적 행정구역이.

새로운!!: 한강와 진 (군사) · 더보기 »

지류

르웨이 글로마 강이 본류 보르마와 만나고 있다. 지류(支流)는 다른 강이나 개울에 합류하면서도 바다로 직접적으로 흐르지 않는 물줄기를 가리.

새로운!!: 한강와 지류 · 더보기 »

차령산맥

령산맥(車嶺山脈)은 오대산에서 시작하여 충청도, 경기도를 남서 방향으로 뻗어 보령, 서천까지 이어진 길이 250km, 평균높이가 600m인 매우 낮은 산맥이.

새로운!!: 한강와 차령산맥 · 더보기 »

창릉천

창릉천(昌陵川, Changreungcheon streams)은 북한산 효자계곡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경계를 지나다가 방화대교 북단 부근에서 한강에 유입하는 지방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창릉천 · 더보기 »

철기 시대

시대(鐵器時代, 기원전 1200년경 ~ 586년경)는 철을 주로 사용하여 도구나 무기를 만들던 시대를 말. 고고학에서 선사 시대를 분류하는 세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이.

새로운!!: 한강와 철기 시대 · 더보기 »

철교

(鐵橋)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강와 철교 · 더보기 »

철원군

1932년~1945년의 철원군. 녹색선이 군사분계선이고 청색으로 표시된 3개면은 삭녕군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철원군(鐵原郡)은 강원도 중서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한강와 철원군 · 더보기 »

청동기 시대

Muséum de Toulouse 청동기 시대 (靑銅器時代)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제창한 선사 시대의 역사 구분법 중의 하나로 문명의 발전 단계 중 선진적 금속 제련을 통하여 구리를 제련하여 청동기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이.

새로운!!: 한강와 청동기 시대 · 더보기 »

청미천

청미천(淸渼川)은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에서 발원하여 한강으로 합류하는 대한민국의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청미천 · 더보기 »

청계천

청계천(淸溪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

새로운!!: 한강와 청계천 · 더보기 »

청담대교

청담대교의 야경 청담대교 (淸潭大橋)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과 강남구 청담동, 삼성동 사이를 연결하는 폭 27m, 길이 1,211m의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청담대교 · 더보기 »

천호대교

호대교(千戶大橋)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잇는 총연장 1,150m의 한강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천호대교 · 더보기 »

충적층

충적층(alluvium, 沖積層)은 하천에 의해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굳지 않은 퇴적층으로, 주로 모래, 진흙, 점토, 자갈 등으로 구성되며 유기물질을.

새로운!!: 한강와 충적층 · 더보기 »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한강와 춘천시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강와 파주시 · 더보기 »

팔당댐

당댐과 팔당호 팔당댐(八堂 -)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과 하남시 천현동(배알미동) 부근 한강에 위치해 있는 댐이.

새로운!!: 한강와 팔당댐 · 더보기 »

팔당대교

당대교(八堂大橋)는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과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를 잇는 다리로 총 연장 935m이.

새로운!!: 한강와 팔당대교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한강와 위례성 · 더보기 »

택리지

400px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이 1751년(영조 27년) 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

새로운!!: 한강와 택리지 · 더보기 »

태백산맥

백산맥(太白山脈, Taebaek Mountains)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원산시 부근의 추가령구조곡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산맥으로 한반도의 동부를 종단하는 산맥이.

새로운!!: 한강와 태백산맥 · 더보기 »

태백시

백시(太白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남동부의 시이.

새로운!!: 한강와 태백시 · 더보기 »

탄천

(炭川)은 한강의 지류로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서 발원하여 성남시를 거쳐, 서울특별시의 강남구 삼성동과 송파구 잠실동을 끝으로 한강으로 유입되는 총연장 35.6km의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탄천 · 더보기 »

수도권 (대한민국)

빨간색: 서울특별시, 보라색: 인천광역시, 초록색: 경기도, 청록색: 수도권 전철이 다니는 수도권 이외의 지역들(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강원도 춘천시) 대한민국의 수도권(首都圈)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방 구분 용어이.

새로운!!: 한강와 수도권 (대한민국) · 더보기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한강와 수도권 전철 1호선 · 더보기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首都圈電鐵四號線)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당고개역과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오이도역을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한강와 수도권 전철 4호선 · 더보기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首都圈 電鐵 京義·中央線)은 문산역과 지평역 또는 서울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

새로운!!: 한강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더보기 »

수상 택시

수상 택시 또는 수상 버스는 보트를 비롯한 수상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손님이 원하는 곳까지 데려다 주고 요금을 받는 대중교통 수단이.

새로운!!: 한강와 수상 택시 · 더보기 »

영동대교

영동대교 (永東大橋)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광진구 자양동과 강남구 청담동을 잇는 총연장 1,065m의 한강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영동대교 · 더보기 »

영월군

영월군(寧越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강와 영월군 · 더보기 »

오대천

오대천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오대천 · 더보기 »

오산천

오산천(烏山川)은 경기도 화성시 영천동과 오산시를 거쳐 평택시 서탄면 적봉리에서 진위천에 합류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오산천 · 더보기 »

올림픽대로

올림픽대로(올림픽大路,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는 서울특별시 한강 이남 지역의 주요 간선 도로이.

새로운!!: 한강와 올림픽대로 · 더보기 »

올림픽대교

올림픽대교와 강변북로 테크노차도육교 올림픽대교(五輪大橋, Olympic Bridge) 또는 오륜대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과 송파구 풍납동을 연결하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올림픽대교 · 더보기 »

호서 지방

호서 지방 호서 지방(湖西地方)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한강와 호서 지방 · 더보기 »

양재천

양재천(良才川)은 한강의 제2지류로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冠岳山)에서 발원해, 청계산, 염곡동구룡산의 염곡천(여의천)이 영동1교에서 합류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북동쪽으로 흘러 탄천(炭川)에 합류하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양재천 · 더보기 »

양평군

양평군(楊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한강와 양평군 · 더보기 »

양수리

양수리(兩水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한강와 양수리 · 더보기 »

양화대교

에서 본 제2한강교(양화대교, 1976) 양화대교(楊花大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연결하는 왕복 8차로의 한강 다리로, 국도 제6호선과 국도 제77호선의 일부분이.

새로운!!: 한강와 양화대교 · 더보기 »

행주대교

행주대교(幸州大橋)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을 연결하는 교량이.

새로운!!: 한강와 행주대교 · 더보기 »

여의도

여의도(汝矣島)는 서울특별시 한강에 있는 하중도이며, 너섬이.

새로운!!: 한강와 여의도 · 더보기 »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그의 아버지 이광사가 유배되었던 곳인 신지도(薪智島)에서 42세 때부터 집필하기 시작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약 30년에 걸쳐 편찬한 조선시대 야사(野史)의 총서이.

새로운!!: 한강와 연려실기술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한강와 풍수 · 더보기 »

킬로미터

베이징 동부에 위치한 중국의 베이징 고속도로의 간판. 주요 문구는 중국어로 되어 있으나, 거리 개념은 국제 표준 문자 킬로미터를 사용한다. 킬로미터(간단히 km)는 미터법에서 길이의 단위로, 일 천(1,000) 미터와 같.

새로운!!: 한강와 킬로미터 · 더보기 »

산곡천

산곡천(山谷川)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에서 발원해 굴포천으로 합류하는 하천으로, 총 길이는 2.19km이.

새로운!!: 한강와 산곡천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한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석촌호수공원

석촌호수공원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한강와 석촌호수공원 · 더보기 »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仙遊島公園)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한강에 위치한 하중도(河中島)인 선유도에 만든 공원이.

새로운!!: 한강와 선유도공원 · 더보기 »

섬강

원주 흥법사지 부근을 흐르는 섬강 섬강(蟾江)은 한강의 지류로, 강원도 횡성군 태기산에서 발원하며 상류는 계천으로 부른.

새로운!!: 한강와 섬강 · 더보기 »

성내천

성내천(城內川) 은 올림픽공원 내에 위치한 몽촌토성을 돌아 잠실철교 부근에서 한강으로 유입되는 준용하천으로서 한강의 제1지류이.

새로운!!: 한강와 성내천 · 더보기 »

성수대교

성수대교(聖水大橋)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잇. 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고려와 심의가 이루어진 최초의 교량이었.

새로운!!: 한강와 성수대교 · 더보기 »

성산대교

성산대교(城山大橋)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성산대교 · 더보기 »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는 《세종실록》에 실린 지리지이.

새로운!!: 한강와 세종실록 지리지 · 더보기 »

서래섬과 반포섬

서래섬은 반포한강공원에 있는 섬으로, 1980년대에 올림픽대로 건설 및 한강 종합개발을 하면서 조성한 인공 섬이.

새로운!!: 한강와 서래섬과 반포섬 · 더보기 »

서강대교

서강대교(西江大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정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한강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서강대교 · 더보기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二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 지하철 2호선 · 더보기 »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地下鐵 五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방화역과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상일동역 및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마천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 지하철 5호선 · 더보기 »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서울地下鐵7號線)은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부평구청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 지하철 7호선 · 더보기 »

서울 암사동 유적

암사동 선사주거지(岩寺洞先史住居址)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2동에 있는 선사 시대의 주거 유적지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 암사동 유적 · 더보기 »

서울교

서울교(서울橋)는 서울특별시 샛강을 건너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서울襄陽高速道路, 고속국도 제60호선)는 서울특별시 강동구를 기점으로, 강원도 양양군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양양고속도로 · 더보기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서울外郭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0호선)는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김포시, 인천광역시를 거쳐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를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한강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더보기 »

서호교

서호교 (西湖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에서 용산구 이촌동을 잇는 길이 4,850m 너비 18.4m~25.9m의 한강의 다리이며 전 구간이 강변북로에 속해있.

새로운!!: 한강와 서호교 · 더보기 »

송천

송천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강와 송천 · 더보기 »

송파강

송파강(松坡江)은 1971년까지 한강 중류 유역의 잠실동 부근에 있던 한강의 본류이.

새로운!!: 한강와 송파강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한강와 한반도 · 더보기 »

한반도 대운하

반도 대운하(韓半島大運河, Grand Korean Waterway)란 경부운하, 경인운하, 호남운하(영산강 운하), 금강운하, 북한운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계획의 핵심인 경부운하는 낙동강과 남한강을 가로막는 소백산맥의 조령을 뚫어 인천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내륙운송 수로를 4년 만에 건설하겠다는 계획이.

새로운!!: 한강와 한반도 대운하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 · 더보기 »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강 르네상스 프로젝트(Han River Renaissance Project, 한강 르네상스 계획)은 2006년부터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주운 및 수변문화공간 조성과 자연성 회복, 접근성 향상, 문화기반 조성, 경관개선, 수상이용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디자인 서울 정책의 핵심 계획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 더보기 »

한강공원

강공원 편집하기 한강공원(漢江公園) 은 한강을 옛날과 같이 깨끗한 강으로 되살리자는 목표로 만든 공원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공원 · 더보기 »

한강대교

강대교(漢江大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와 동작구 본동을 잇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대교 · 더보기 »

한강의 기적

1960년부터 2007년 사이 국내총생산 그래프. 반세기만에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 1조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강의 야경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의 기적 · 더보기 »

한강철교

강철교(漢江鐵橋)는 한강의 교량 중 최초로 건설된 교량 으로, 노량진역과 용산역 사이를 잇는 철교이.

새로운!!: 한강와 한강철교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강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한강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남대교

(漢南大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과 강남구 신사동 사이를 잇는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한남대교 · 더보기 »

한탄강

강(漢灘江)은 한국의 중서부 화산지대를 관류하는 강이.

새로운!!: 한강와 한탄강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한강와 한산주 · 더보기 »

한서

《한서》(漢書)는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로, 중국 이십사사에.

새로운!!: 한강와 한서 · 더보기 »

안양천

안양천(安養川)은 한강의 지류 중 하나이.

새로운!!: 한강와 안양천 · 더보기 »

하중도

중도(河中島)는 하천에 있는 섬을 말. 강의 유속이 느려지면서 퇴적물이 쌓여 강(江) 가운데에 만들어.

새로운!!: 한강와 하중도 · 더보기 »

아스팔트 사나이

아스팔트 사나이는 SBS에서 1995년 5월 17일부터 1995년 7월 6일까지 매주 수,목 밤 21시 50분에 방영되었던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한강와 아스팔트 사나이 · 더보기 »

아우라지

아우라지 아우라지는 강원도 정선군의 지명으로 정선군 여량면 여량5리에 자리잡고 있으며, 골지천과 송천이 합쳐져서 한강의 본류(조양강)를 이루는 곳이.

새로운!!: 한강와 아우라지 · 더보기 »

아차산대교

아차산대교 구리방향 아차산대교(峨嵯山大橋)는 서울특별시 광진구와 경기도 구리시를 잇는 다리로, 한강 북단을 통. 강변북로에 속해있으며, 2003년 11월에 개통되었.

새로운!!: 한강와 아차산대교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한강와 압록강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한강와 신라 · 더보기 »

신미양요

신미양요(辛未洋擾)는 1871년 6월 1일(고종 8년 음력 4월 14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

새로운!!: 한강와 신미양요 · 더보기 »

신곡보

신곡보(新谷洑)는 1980년대 한강종합개발계획(1982년 ~ 1986년) 당시 준설로 낮아진 한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그 밖에 바닷물 유입 방지 및 농업용수(農業用水)의 안정적 공급 등 여러 부가적 이유를 들어 1988년 6월에 설치된 총 길이 1,007 m의 보(洑)이.

새로운!!: 한강와 신곡보 · 더보기 »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드라마)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는 MBC TV에서 2010년 3월 6일부터 2010년 5월 23일까지 방영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며, 박봉성 화백의 만화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가 원작이.

새로운!!: 한강와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드라마)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한강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원효대교

원효대교(元曉大橋)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이.

새로운!!: 한강와 원효대교 · 더보기 »

월문천

월문천(月文川)은 경기도 남양주시 월문리에서 발원하여, 덕소리에서 한강에 합류하는 지방하천이며, 한강의 제1 지류이.

새로운!!: 한강와 월문천 · 더보기 »

홍제천

홍제천(弘濟川)은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서대문구·마포구의 일부 또는 전지역을 포함해 흐르다가 한강의 하류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이.

새로운!!: 한강와 홍제천 · 더보기 »

황금의 제국

《황금의 제국》은 2013년 7월 1일부터 2013년 9월 17일까지 SBS에서 24부작 대기획으로 방송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한강와 황금의 제국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한강와 황해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한강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해북도

황해북도(黃海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강와 황해북도 · 더보기 »

화강암

화강암 화강암(花崗巖)은 대륙지각의 깊고 압력이 높은 곳에서 형성되는 규장질 심성암 중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종류이.

새로운!!: 한강와 화강암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1900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강와 1912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강와 1916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강와 1920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1925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1970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199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2007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2010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강와 201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골지천, 한 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