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1032년

색인 1032년

설명이 없습니다.

46 처지: 로마노스 3세, 로베르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명도 (북송), 미에슈코 2세, 반 (성씨),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베스프림, 북송 진종, 북송 영종, 부르고뉴 공작, 빌라체르크바, 교황 목록, 교황 베네딕토 9세, 교황 요한 19세, 울릉군, 요 도종, 요 흥종, 요 성종, 요나라의 역대 황제, 요나라의 역대 황후, 장의황후, 장헌명숙황후, 임신 (간지), 이계천, 이현운, 정호, 조겐 (1028년),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천성 (북송), 콘라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코르순셰우첸키우스키, 쿠르스크, 올드르지흐, 프로방스, 서하, 서하 경종, 서하의 역사, 소우기, 앙리 1세, 티엔탄, 황보영, 황주량, 1030년대, 2월 16일.

로마노스 3세

마노스 8세 아르이로스'(그리스어: Ρωμανός Γ΄ Αργυρός, 968년 – 1034년 4월 15일)는 1028년 부터 1034년 4월까지 비잔티움의 황제였.

새로운!!: 1032년와 로마노스 3세 · 더보기 »

로베르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베르 1세 부르고뉴의 로베르 1세(duke of Burgundy, Robert I Capet, 1011년 ~ 1076년 3월 21일)는 부르고뉴 공작으로, 프랑스 왕 로베르 2세의 아들이자 앙리 1세의 동생이.

새로운!!: 1032년와 로베르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 더보기 »

명도 (북송)

명도(明道)는 북송(北宋)의 인종(仁宗)인 조정(趙禎)의 치세에 쓰였던 연호(年號)이.

새로운!!: 1032년와 명도 (북송) · 더보기 »

미에슈코 2세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990년 ~ 1034년 5월 10일)는 폴란드 피아스트 왕조의 3대 국왕(1025~1031)이며, 103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공작을 역임하였.

새로운!!: 1032년와 미에슈코 2세 · 더보기 »

반 (성씨)

반(潘, 班)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032년와 반 (성씨)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1032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베스프림

얀 마테이코가 그린 베스프림 베스프림(986년경 ~ 1032년)은 폴란드의 공작(재위: 1031년 ~ 1032년)이.

새로운!!: 1032년와 베스프림 · 더보기 »

북송 진종

송 진종 송 진종(宋 眞宗, 968년 12월 23일~ 1022년 3월 23일)은 중국 북송의 제3대 황제(재위 998년 ~ 1022년) 태종의 아들이.

새로운!!: 1032년와 북송 진종 · 더보기 »

북송 영종

송 영종 송 영종(宋 英宗, 1032년 2월 16일 ~ 1067년 1월 25일)은 북송의 제 5대 황제(재위: 1063년 ~ 1067년).

새로운!!: 1032년와 북송 영종 · 더보기 »

부르고뉴 공작

부르고뉴의 십자기 부르고뉴 공작은 지금의 부르고뉴 지방에 해당하는 부르고뉴 공국 통치자의 신분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1032년와 부르고뉴 공작 · 더보기 »

빌라체르크바

빌라체르크바에 있는 교회 빌라체르크바의 위치 빌라체르크바("하얀 교회"라는 뜻)는 우크라이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키예프 주 남서부에 위. 면적은 34km2, 인구는 203,300명(2004년 기준), 인구밀도는 5,979.4명/km2이며 키예프(우크라이나의 수도)에서 남쪽으로 약 8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 파일:Flag of Bila Cerkva.svg|기 파일:Bil_cr_s.png|문장.

새로운!!: 1032년와 빌라체르크바 · 더보기 »

교황 목록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된 교황들의 명단이 새겨진 대리석판. 라틴어로 표기된 교황들의 이름 옆에 있는 숫자는 해당 교황의 시신이 매장된 년도를 가리킨다. 이 문서는 《교황청 연감》의 ‘로마 교황들’(I Sommi Pontefici Romani)에 실린 교황 연대표를 토대로 작성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목록이.

새로운!!: 1032년와 교황 목록 · 더보기 »

교황 베네딕토 9세

황 베네딕토 9세(라틴어: Benedictus PP. IX, 이탈리아어: Papa Benedetto IX)는 총 세 번 역임한 교황(재위: 1032년 10월 ~ 1044년 9월, 1045년 4월 ~ 5월, 1047년 11월 ~ 1048년 7월)이.

새로운!!: 1032년와 교황 베네딕토 9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19세

황 요한 19세(라틴어: Ioannes PP. XIX,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XIX)는 제144대 교황(재위: 1024년 4월/5월 - 1032년 12월 6일)이.

새로운!!: 1032년와 교황 요한 19세 · 더보기 »

울릉군

울릉군(鬱陵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상의 군이.

새로운!!: 1032년와 울릉군 · 더보기 »

요 도종

요 도종 야율홍기(遼 道宗 耶律洪基, 1032년 ~ 1101년)는 요나라의 제8대 황제(재위: 1055년 ~ 1101년)이.

새로운!!: 1032년와 요 도종 · 더보기 »

요 흥종

요 흥종 야율종진(遼 興宗 耶律宗眞, 1016년 ~ 1055년)은 요나라의 제7대 황제(재위:1031년 ~ 1054년)이.

새로운!!: 1032년와 요 흥종 · 더보기 »

요 성종

요 성종 야율융서(遼聖宗 耶律隆緒, 971년 - 1031년)는 요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982년 ~ 1031년)이.

새로운!!: 1032년와 요 성종 · 더보기 »

요나라의 역대 황제

요(遼)의 황제(907년 ~ 1125년) 분류:중국의 황제.

새로운!!: 1032년와 요나라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요나라의 역대 황후

* 분류:군주 배우자 목록.

새로운!!: 1032년와 요나라의 역대 황후 · 더보기 »

장의황후

장의황후 이씨(章懿皇后 李氏, 987년 ~ 1032년)는 북송 진종의 후궁으로 인종의 생모이.

새로운!!: 1032년와 장의황후 · 더보기 »

장헌명숙황후

장헌명숙황후 장헌명숙황후 유씨(章獻明肅皇后 劉氏, 968년 ~ 1033년)는 북송 진종의 황후로 이름은 유아(劉娥)이.

새로운!!: 1032년와 장헌명숙황후 · 더보기 »

임신 (간지)

임신(壬申)은 육십간지 중 9번째이.

새로운!!: 1032년와 임신 (간지) · 더보기 »

이계천

조 이계천(夏太祖 李繼遷, 963년 ~ 1004년 1월 26일)은 탕구트족의 지도자이자 서하의 초대 군주(재위:983 ~ 1004)이.

새로운!!: 1032년와 이계천 · 더보기 »

이현운

이현운(李鉉雲, 968년 ~ 1032년)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032년와 이현운 · 더보기 »

정호

정호(程顥, 1032년~1085년)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

새로운!!: 1032년와 정호 · 더보기 »

조겐 (1028년)

조겐()은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1032년와 조겐 (1028년)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1032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에서 황제란 명칭은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에 의해 최초로 쓰였으며, "황제"의 어원으론 삼황오제에서 따왔다는 것이 정설이.

새로운!!: 1032년와 중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1032년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천성 (북송)

성(天聖)은 북송(北宋)의 인종(仁宗)인 조정(趙禎)의 치세에 쓰였던 첫 번째 연호(年號)이.

새로운!!: 1032년와 천성 (북송) · 더보기 »

콘라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2세 (990년경– 1039년 6월 4일)는 1024년부터 독일의 왕으로 선출되었고 1027년부터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이탈리아 왕이고, 1032년부터는 아를 왕이었.

새로운!!: 1032년와 콘라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 더보기 »

코르순셰우첸키우스키

르순셰우첸키우스키 로푸히니흐데미도비흐 궁전 코르순셰우첸키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체르카시 주의 도시로 면적은 118.65km2, 높이는 94m, 인구는 18,593명(2005년 기준), 인구 밀도는 163명/km2이.

새로운!!: 1032년와 코르순셰우첸키우스키 · 더보기 »

쿠르스크

르스크는 러시아 쿠르스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1032년와 쿠르스크 · 더보기 »

올드르지흐

올드르지흐 올드르지흐(975년경 ~ 1034년 11월 9일)는 보헤미아의 공작(재위: 1012년 ~ 1034년, 1034년)이.

새로운!!: 1032년와 올드르지흐 · 더보기 »

프로방스

오늘날의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지방 프랑스 남부의 현대의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속에 있는 프로방스 지역(오렌지 색) 프로방스()는 과거 로마 제국의 속주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에 기원을 둔 프랑스 남부와 이탈리아 북서부 일부를 가리.

새로운!!: 1032년와 프로방스 · 더보기 »

서하

서하(중국어: 西夏 병음: Xī Xià, 티베트어: 미냐크(Minyak))는 1032년에서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의 간쑤 성(甘肅省), 산시 성(陝西省)에 위치했던 티베트의 분파인 탕구트족의 왕조이.

새로운!!: 1032년와 서하 · 더보기 »

서하 경종

서하 경종 이원호(西夏 景宗 李元昊, 1003년 6월 7일 ~ 1048년 1월 19일)는 서하의 창건자이자, 서하의 초대 황제(재위: 1038년 11월 10일 ~ 1048년 1월 19일)이.

새로운!!: 1032년와 서하 경종 · 더보기 »

서하의 역사

이 문서는 서하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1032년와 서하의 역사 · 더보기 »

소우기

《소우기》(小右記)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구교(公卿) 후지와라노 사네스케(藤原実資, 957~1046.(음)1.18)의 일기이.

새로운!!: 1032년와 소우기 · 더보기 »

앙리 1세

앙리 1세(프랑스어:Henri I, 1008년 5월 4일 ~ 1060년 8월 4일)는 프랑스 왕이다(재위: 1031년 ~ 1060년).

새로운!!: 1032년와 앙리 1세 · 더보기 »

티엔탄

성()은 베트남 리 왕조 태종 이불마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1032년와 티엔탄 · 더보기 »

황보영

황보 영(皇甫穎, ? ~ 1047년 10월 24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1032년와 황보영 · 더보기 »

황주량

황주량(黃周亮, 983? ~ 1043년)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1032년와 황주량 · 더보기 »

1030년대

1030년대는 1030년부터 103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032년와 1030년대 · 더보기 »

2월 16일

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7번째(윤년일 경우도 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032년와 2월 1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