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1072년

색인 1072년

설명이 없습니다.

40 처지: 레온 국왕,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 말리크샤 1세, 미하일 7세 두카스, 강릉 최씨, 베트남의 연호,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고려 문종, 북송 인종, 북송 신종, 불가리아 제2제국, 대월, 교자 (지폐), 구양수, 요 성종,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페터르 4세, 임자, 희녕, 이정 (고려 전기), 정선 이씨, 카스티야 국왕, 탄부, 탕크레드 드 오트빌 (1072년), 타이닌, 오스트리아의 군주 배우자, 헤이안 시대, 엔큐, 산초 2세 (카스티야), 성종, 알폰소 6세 (레온과 카스티야), 알프 아르슬란, 시라카와 천황, 시칠리아, 원정 (군주제), 왕진 (고려), 왕영 (낙랑공), 1070년대, 1월 10일.

레온 국왕

이 문서는 레온의 역대 군주에 대한 목록이.

새로운!!: 1072년와 레온 국왕 · 더보기 »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Ρωμανός Δ΄ Διογένης, Rōmanos IV Diogenēs)는 비잔티움 제국 두카스 왕조의 3대 황제(재위:1068년~1071년)이.

새로운!!: 1072년와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 더보기 »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

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Rodrigo Díaz de Vivar, 1040년 부르고스 근처 비바르 - 1099년 7월 10일, 발렌시아), 또는 엘 시드 캄페아도르(El Cid Campeador)로 알려진 그는 카스티야 귀족이자 장군 및 외교관이었으며, 후에 발렌시아에 망명하여 정복하고 통치하였.

새로운!!: 1072년와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 · 더보기 »

말리크샤 1세

말리크샤 1세(자랄 알다울라 무이즈 알딘 아불파스 말리크샤 이븐 알프 아르슬란; 생몰년: 1055년 ~ 1092년)은 셀주크 제국의 술탄이.

새로운!!: 1072년와 말리크샤 1세 · 더보기 »

미하일 7세 두카스

미카엘 7세 주화 미하일 7세 두카스 (그리스어: Μιχαήλ Ζ΄ Δούκας, 1050년 – 1090년)는 1071년부터 1078년까지 비잔티움의 황제였.

새로운!!: 1072년와 미하일 7세 두카스 · 더보기 »

강릉 최씨

강릉 최씨(江陵 崔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072년와 강릉 최씨 · 더보기 »

베트남의 연호

베트남의 연호는 전 리 왕조때 잠시 쓰인 적이 있으나, 중국의 오랜 지배 끝에 독립 후인 딘 왕조때부터 다시 연호를 쓰면서 명나라가 잠시 지배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응우옌 왕조때까지 계속 쓰인.

새로운!!: 1072년와 베트남의 연호 · 더보기 »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베트남의 황태후는 딘 왕조가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국과 같이 황제의 모후를 황태후라고 부른.

새로운!!: 1072년와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새로운!!: 1072년와 고려 문종 · 더보기 »

북송 인종

송 인종 송 인종(宋仁宗, 1010년 ~ 1063년)은 북송의 제4대 황제(재위:1022년 ~ 1063년)였.

새로운!!: 1072년와 북송 인종 · 더보기 »

북송 신종

송 신종 송 신종(宋 神宗, 1048년 ~ 1085년)은, 북송의 6대 황제(재위: 1067년 ~ 1085년)로 제5대 황제 영종의 장남으로 태어.

새로운!!: 1072년와 북송 신종 · 더보기 »

불가리아 제2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은 1185년 ~ 1396년 동안 중세 불가리아에 존속했던 왕조이.

새로운!!: 1072년와 불가리아 제2제국 · 더보기 »

대월

월(大越) 또는 다이비엣()은 베트남의 정식 국호로 1054년~1804년까지 사용되었.

새로운!!: 1072년와 대월 · 더보기 »

교자 (지폐)

자 교자(jiāozǐ)는 쓰촨 성(四川省) 청두 시(成都市)에서 10세기 사용되던 지폐이.

새로운!!: 1072년와 교자 (지폐) · 더보기 »

구양수

양수 구양수(歐陽脩, 1007년 ~ 1072년)는 중국 송나라 인종 ~ 신종 때의 정치가ㆍ시인ㆍ문학자ㆍ역사학자이.

새로운!!: 1072년와 구양수 · 더보기 »

요 성종

요 성종 야율융서(遼聖宗 耶律隆緒, 971년 - 1031년)는 요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982년 ~ 1031년)이.

새로운!!: 1072년와 요 성종 · 더보기 »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시베니크에 위치한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동상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생년 미상 ~ 1074년)는 크로아티아의 국왕(재위: 1058년 ~ 1074년)이.

새로운!!: 1072년와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 더보기 »

페터르 4세

르 4세()는 1185년에서 1197년까지 불가리아 제2제국의 차르였던 사람으로, 그의 동생 아센과 함께 비잔티움 제국의 약 170년 간의 지배에서 불가리아를 해방시.

새로운!!: 1072년와 페터르 4세 · 더보기 »

임자

임자(壬子)는 육십간지 중 49번째이.

새로운!!: 1072년와 임자 · 더보기 »

희녕

희녕(熙寧)은 북송(北宋)의 신종(神宗)인 조욱(趙頊)의 치세에 쓰였던 첫 번째 연호(年號)이.

새로운!!: 1072년와 희녕 · 더보기 »

이정 (고려 전기)

이정(李頲, 1025년 ~ 1077년) 은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인예왕후의 오빠이자 원신궁주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1072년와 이정 (고려 전기) · 더보기 »

정선 이씨

정선 이씨(旌善 李氏)는 베트남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072년와 정선 이씨 · 더보기 »

카스티야 국왕

이 문서는 카스티야의 역대 군주에 대한 목록이.

새로운!!: 1072년와 카스티야 국왕 · 더보기 »

탄부

신무()는 베트남 리 왕조 성종 이일존의 5번째 연호이.

새로운!!: 1072년와 탄부 · 더보기 »

탕크레드 드 오트빌 (1072년)

안티오키아의 섭정 탕크레드의 가상 초상화. 갈릴리 공 탕크레드(Tancred, Prince of Galilee; 1072년 12월 5일 혹은 12월 12일 ~ 1112년)는 1차 십자군에 참가한 노르만족 지도자 중 한 명이며, 훗날 갈릴리 공(Prince of Galilee)의 지위를 얻고, 안티오키아 공국의 섭정이 되었.

새로운!!: 1072년와 탕크레드 드 오트빌 (1072년) · 더보기 »

타이닌

녕()은 베트남 리 왕조 인종 이건덕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1072년와 타이닌 · 더보기 »

오스트리아의 군주 배우자

이 문서는 오스트리아의 군주 배우자를 나타낸 문서이.

새로운!!: 1072년와 오스트리아의 군주 배우자 · 더보기 »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는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한 것으로부터, 가마쿠라 막부의 설립까지의 약 390년간을 지칭하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1072년와 헤이안 시대 · 더보기 »

엔큐

엔큐()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1072년와 엔큐 · 더보기 »

산초 2세 (카스티야)

산초 2세(Sancho II)는 카스티야, 레온, 갈리시아 왕국의 왕이였.

새로운!!: 1072년와 산초 2세 (카스티야) · 더보기 »

성종

성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1072년와 성종 · 더보기 »

알폰소 6세 (레온과 카스티야)

알폰소 6세(1040?년- 1109년 7월 1일)는 레온 왕국(1065년~1109년)의 왕이자 갈리시아 왕국(1071년~1109년)과 카스티야 왕국(1072년~1109년)의 왕이.

새로운!!: 1072년와 알폰소 6세 (레온과 카스티야) · 더보기 »

알프 아르슬란

알프 아르슬란 (1029년 - 1072년 12월 15일) 은 왕조명의 기원이 된 셀주크의 증손자이자 셀주크 제국의 두 번째 술탄이.

새로운!!: 1072년와 알프 아르슬란 · 더보기 »

시라카와 천황

시라카와 천황(1053년 7월 7일 ~ 1129년 7월 24일)은 일본의 제 72대 천황으로 휘는 사다히토(貞仁)이.

새로운!!: 1072년와 시라카와 천황 · 더보기 »

시칠리아

시칠리아()는 이탈리아의 자치주이자 지중해 최대의 섬이.

새로운!!: 1072년와 시칠리아 · 더보기 »

원정 (군주제)

원정()는 즉위해 있는 일본 천황의 직계존속인 상황(上皇)이 천황을 대신하여 정무를 직접 행한 형태의 정치이.

새로운!!: 1072년와 원정 (군주제) · 더보기 »

왕진 (고려)

왕진(王璡, ? - 1072년)은 고려 중기의 왕족으로, 현종 순의 손자이며 정간왕에 추증된 왕기(王基)의 장남이.

새로운!!: 1072년와 왕진 (고려) · 더보기 »

왕영 (낙랑공)

낙랑공 왕영(樂浪公 王瑛, 1043년~1112년)은 고려 전기의 왕족으로 현종의 손자이자 정간왕의 차남이.

새로운!!: 1072년와 왕영 (낙랑공) · 더보기 »

1070년대

1070년대는 1070년부터 107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072년와 1070년대 · 더보기 »

1월 10일

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번째(윤년일 경우도 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072년와 1월 10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