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1337년

색인 1337년

설명이 없습니다.

56 처지: 룩셈부르크의 군주, 류큐 제도의 국왕 목록, 몽골의 역대 칸, 문충공, 미하일 아센 3세, 백년 전쟁, 바얀 후투그 카툰, 강간, 박의중, 겐무, 벤첼 1세 폰 룩셈부르크 공작, 고려 충목왕,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구스노키 마사시게, 군사 동맹 목록, 노숭, 다이라노 마사카도, 닛타 요시사다, 슬로이스 해전, 우희열, 우인열, 우천석, 트라카이, 히라이즈미, 잔 드 부르고뉴 공녀, 이반 알렉산더르, 음력 10월 11일, 음력 12월 22일, 제릉, 정도전, 정몽주, 정보 (조선), 정진 (1361년), 정축, 조토 디 본도네, 주손지, 지원 (원 혜종), 쩐 예종 (10대), 카이흐우, 오를레앙 공작, 에드워드 흑태자, 엔겐, 사사키 도요, 산잔 시대, 쇼삿토,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트베리 대공), 하산 부즈루그, 필리프 6세, 신의왕후, 시칠리아의 군주, ..., 원충, 홍규, 왕흔, 1330년대, 1337, 1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 더) »

룩셈부르크의 군주

룩셈부르크는 922년부터 백작, 공작, 대공이 다스려 왔.

새로운!!: 1337년와 룩셈부르크의 군주 · 더보기 »

류큐 제도의 국왕 목록

이 문서는 류큐 제도에 있었던 왕조들의 역대 국왕의 목록이.

새로운!!: 1337년와 류큐 제도의 국왕 목록 · 더보기 »

몽골의 역대 칸

몽골의 역대 칸은 다음과 같. 다만 칸과 카간을 포함하며, 그 둘은 서로 다르.

새로운!!: 1337년와 몽골의 역대 칸 · 더보기 »

문충공

문충공(文忠公)은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1337년와 문충공 · 더보기 »

미하일 아센 3세

미하일 아센 3세() 일반적으로 미하일 시슈만(Михаил Шишман)는 1323년에서 1300년까지 불가리아의 차르였.

새로운!!: 1337년와 미하일 아센 3세 · 더보기 »

백년 전쟁

백년 전쟁(百年戰爭)은 1337년에서 1453년 사이에 잉글랜드 왕국의 플랜태저넷 가와 프랑스 왕국의 발루아 가 사이에 프랑스 왕위 계승 문제를 놓고 일어난 일련의 분쟁들을 총체적으로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1337년와 백년 전쟁 · 더보기 »

바얀 후투그 카툰

바얀 후투그 또는 바얀 후두(), 1324년 ~ 1365년 9월 7일)는 원나라 황제 혜종의 계후이다. 맞이한 순서로 따지면 두 번째 제1황후가 된다.(제1황후 다나슈리 폐위 후 맞이한 정궁황후) 대대로 황후를 배출한 옹기라트 부족 출신이다.

새로운!!: 1337년와 바얀 후투그 카툰 · 더보기 »

강간

강간(強姦)은 성폭력(sexual violence) 중 성적 폭행(sexual assault)의 일종으로, 상대방의 동의 없이 억지로 성적 삽입행위를 하는 것을 말. 성폭행(性暴行)이.

새로운!!: 1337년와 강간 · 더보기 »

박의중

박의중(朴宜中, 1337년 ~ 140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37년와 박의중 · 더보기 »

겐무

무(建武, けんむ)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337년와 겐무 · 더보기 »

벤첼 1세 폰 룩셈부르크 공작

벤첼 1세 벤첼 1세(1337년 2월 25일 프라하 ~ 1383년 12월 7일 룩셈부르크)는 룩셈부르크의 백작(재위: 1353년 ~ 1354년 3월 13일)이자 룩셈부르크의 공작(재위: 1354년 3월 13일 ~ 1383년 12월 7일)으로 룩셈부르크 왕조 출신이.

새로운!!: 1337년와 벤첼 1세 폰 룩셈부르크 공작 · 더보기 »

고려 충목왕

충목왕(忠穆王, 1337년 5월 15일 (음력 4월 15일) ~ 1348년 12월 25일 (음력 12월 5일)은 고려 제29대 국왕(재위: 1344년~1348년)이다. 휘는 흔(昕), 몽골 이름은 파드마도르지(),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목왕(忠穆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다. 충혜왕와 덕녕공주(德寧公主)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없이 요절한다.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그의 모후인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새로운!!: 1337년와 고려 충목왕 · 더보기 »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바타케 아키이에 기타바타케 아키이에(1318년 ~ 1338년 6월 10일)는 난보쿠초 시대의 구게, 무장이.

새로운!!: 1337년와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 더보기 »

구스노키 마사시게

스노키 마사시게(? ~ 1336년 7월 4일)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南北朝) 시대까지 활약한 가와치(河内)의 무장이.

새로운!!: 1337년와 구스노키 마사시게 · 더보기 »

군사 동맹 목록

이 문서는 군사 동맹 목록이.

새로운!!: 1337년와 군사 동맹 목록 · 더보기 »

노숭

숭(盧嵩, 1337년 ~ 141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37년와 노숭 · 더보기 »

다이라노 마사카도

이라노 마사카도(? 940년 3월 25일)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간토(關東)의 호족이.

새로운!!: 1337년와 다이라노 마사카도 · 더보기 »

닛타 요시사다

닛타 요시사다(1301년 ~ 1338년 8월 17일)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의 고케닌이며 난보쿠초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1337년와 닛타 요시사다 · 더보기 »

슬로이스 해전

슬로이스 해전(1340년 7월 24일)는 백년전쟁때 벌어진 주요 해전중 하나이.

새로운!!: 1337년와 슬로이스 해전 · 더보기 »

우희열

우희열(禹希烈, 1354년 ~ 1420년 12월 6일)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단양(丹陽)이.

새로운!!: 1337년와 우희열 · 더보기 »

우인열

우인렬(禹仁烈, 1337년 ~ 140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1337년와 우인열 · 더보기 »

우천석

우천석(禹天錫)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단양(丹陽)이.

새로운!!: 1337년와 우천석 · 더보기 »

트라카이

이(Trakai)는 리투아니아의 도시로, 인구는 5,406명(2007년 기준)이며 빌뉴스(리투아니아의 수도)에서 서쪽으로 28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 left.

새로운!!: 1337년와 트라카이 · 더보기 »

히라이즈미

히라이즈미()는, 일본 이와테현(岩手縣) 남서부에 있는 옛 지명으로 오늘날의 히라이즈미 정(平泉町)의 중심부에 해당.

새로운!!: 1337년와 히라이즈미 · 더보기 »

잔 드 부르고뉴 공녀

부르고뉴의 잔 부르고뉴의 잔(Jeanne de Bourgogne, 1293년? ~ 1348년)은 프랑스 군주 필리프 6세의 첫 번째 왕비이.

새로운!!: 1337년와 잔 드 부르고뉴 공녀 · 더보기 »

이반 알렉산더르

이반 알렉산더르()는 1331년부터 1371년까지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였.

새로운!!: 1337년와 이반 알렉산더르 · 더보기 »

음력 10월 11일

음력 10월 11일은 음력 10월의 11번째 날이.

새로운!!: 1337년와 음력 10월 11일 · 더보기 »

음력 12월 22일

음력 12월 22일은 음력 12월의 22번째 날이.

새로운!!: 1337년와 음력 12월 22일 · 더보기 »

제릉

제릉(齊陵)은 태조 이성계의 원비인 신의왕후 한씨의 능이.

새로운!!: 1337년와 제릉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1337년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1337년와 정몽주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337년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진 (1361년)

정진(鄭津, 1361년 ~ 1427년)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으로 시호는 희절공(僖節公)이며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아들이.

새로운!!: 1337년와 정진 (1361년) · 더보기 »

정축

정축(丁丑)은 육십간지 중 14번째이.

새로운!!: 1337년와 정축 · 더보기 »

조토 디 본도네

우피치 미술관 근처에 있는 조토 디 본토네의 동상 조토 디 본도네(Giotto di Bondone, 1267년 ~ 1337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화가·건축가이.

새로운!!: 1337년와 조토 디 본도네 · 더보기 »

주손지

주손지(中尊寺, ちゅうそんじ)는, 일본 이와테 현(岩手県) 西磐井郡 히라이즈미 정(平泉町)에 있는 천태종(天台宗) 도호쿠 대본산(東北大本山) 사찰이.

새로운!!: 1337년와 주손지 · 더보기 »

지원 (원 혜종)

원(至元)은 원나라 혜종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1337년와 지원 (원 혜종) · 더보기 »

쩐 예종 (10대)

예종(1337년 ~ 1377년)은 베트남 쩐 왕조의 제10대 황제(재위: 1373년 ~ 1377년)이.

새로운!!: 1337년와 쩐 예종 (10대) · 더보기 »

카이흐우

우()는 베트남 쩐 왕조 헌종의 연호이.

새로운!!: 1337년와 카이흐우 · 더보기 »

오를레앙 공작

오를레앙 공의 문장 오를레앙 공작은 적어도 14세기까지 프랑스의 귀족 계급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작위였.

새로운!!: 1337년와 오를레앙 공작 · 더보기 »

에드워드 흑태자

에드워드 흑태자(Edward the Black Prince, 1330년 6월 15일~1376년 6월 8일)는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의 장남으로, 옥스퍼드셔의 우드스톡 궁전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우드스톡의 에드워드(Edward of Woodstock)라고도 불린.

새로운!!: 1337년와 에드워드 흑태자 · 더보기 »

엔겐

엔겐(延元, えんげん)은,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337년와 엔겐 · 더보기 »

사사키 도요

사사키 도요 사사키 도요(1296년 ~ 1373년 9월 12일)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

새로운!!: 1337년와 사사키 도요 · 더보기 »

산잔 시대

잔 (南山) 산잔 시대(三山時代; 삼산 시대)는 1322년부터 1429년까지의 고대 류큐 제도의 시대 분류이.

새로운!!: 1337년와 산잔 시대 · 더보기 »

쇼삿토

쇼우삿토(承察度, ? ~ 1398년)는 산잔 시대 난잔왕국(南山王國)의 제1대 왕이.

새로운!!: 1337년와 쇼삿토 · 더보기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트베리 대공)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1301년 10월 7일 ~ 1339년 10월 29일)는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대공(재위: 1322년 ~ 1326년)이.

새로운!!: 1337년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트베리 대공) · 더보기 »

하산 부즈루그

산 부즈루그(تاج الدين حسن بزرگ بن امير حسين گوركان جلايرى Tāj al-Dīn Ḥasan (Buzurg) b. Amīr Ḥusayn Gūrkān Jalāyrī, ? ~1356년)는 자라이르 왕조의 초대 군주(재위: 1336년 ~ 1356년)이.

새로운!!: 1337년와 하산 부즈루그 · 더보기 »

필리프 6세

리프 6세(1293년 ~ 1350년 8월 22일)는 프랑스의 발루아 왕가의 초대 왕(재위:1328년 - 1350년)이.

새로운!!: 1337년와 필리프 6세 · 더보기 »

신의왕후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년 음력 9월 ~ 1391년 10월 21일(음력 9월 2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첫 아내로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

새로운!!: 1337년와 신의왕후 · 더보기 »

시칠리아의 군주

음은 시칠리아의 군주 목록이다.

새로운!!: 1337년와 시칠리아의 군주 · 더보기 »

원충

원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37년와 원충 · 더보기 »

홍규

홍규(洪奎, 1242년 ~ 1316년 6월 23일)는 고려 후기의 무신이자 국구(國舅)로, 초명은 홍문계(洪文系), 자는 미루(彌樓)『홍규 묘지명』,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1337년와 홍규 · 더보기 »

왕흔

왕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37년와 왕흔 · 더보기 »

1330년대

1330년대는 1330년부터 133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337년와 1330년대 · 더보기 »

1337

1337(천삼백삼십칠)은 1336보다 크고 1338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1337년와 1337 · 더보기 »

1월 8일

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번째(윤년일 경우도 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337년와 1월 8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