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1376년

색인 1376년

설명이 없습니다.

90 처지: 덴주, 독일의 군주, 롱칸, 류숙 (고려), 리처드 2세, 목충, 몽골의 역대 칸, 문익점, 방효유, 배극렴, 반야 (고려), 바르데요우, 바츨라프 4세, 고려 공민왕, 고려의 역대 국왕, 곽추, 병진 (간지), 부석사, 기화 (조선), 김속명,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나주 손씨, 나세, 노진, 노한, 우루스 칸, 회원현, 자한기르 미르자 1세, 장크트길겐, 장창 (동음이의), 크베들린부르크, 이마가와 사다요, 이종학 (1361년), 이천, 이천 (1376년), 이서 (1332년), 인효문황후, 제1대 글로스터 공작 토머스, 정몽주, 정정공, 정총, 정양생, 조박,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정종, 카를 4세, 카넴-보르누 제국, 유연, 유석질의론, 윤보 (고려), ..., 샤를 5세, 태양 사로스 111, 순정왕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오우치 요시히로, 올라프 2세 (덴마크), 호콘 6세, 혜근, 최윤덕, 최영, 에드워드 3세, 에드워드 흑태자, 에이와, 킵차크 칸국, 선광 (북원), 설미수, 성달생, 성석용, 서원군, 손광유, 토크토아부카, 송희경 (1376년), 해동 (별칭), 해동용궁사, 야보리우, 한방신, 한국 불교의 역사, 안경공 (여말선초), 하연 (1376년),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 아카마피치틀리, 신륵사, 심양왕, 홍무, 홍무제, 황희, 황산대첩, 완풍대군, 1370년대, 6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0 더) »

덴주

주()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376년와 덴주 · 더보기 »

독일의 군주

독일의 군주는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카롤링거 제국의 동쪽이 동 프랑크 왕국으로 분리된 이후 1918년 독일에서 제정이 폐지될 때까지 존재.

새로운!!: 1376년와 독일의 군주 · 더보기 »

롱칸

융경()은 베트남 쩐 왕조 예종(睿宗)의 연호이.

새로운!!: 1376년와 롱칸 · 더보기 »

류숙 (고려)

숙(柳淑, 1316년 ~ 1368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류숙 (고려) · 더보기 »

리처드 2세

리처드 2세(Richard II, 1367년 1월 6일 ~ 1400년 2월 14일, 재위 1377년 6월 22일 ~ 1399년 9월 30일)는 플랜태저넷 왕가의 잉글랜드 8번째 왕으로, 흑태자 에드워드의 아들이.

새로운!!: 1376년와 리처드 2세 · 더보기 »

목충

목충(睦忠)은 고려의 무신이.

새로운!!: 1376년와 목충 · 더보기 »

몽골의 역대 칸

몽골의 역대 칸은 다음과 같. 다만 칸과 카간을 포함하며, 그 둘은 서로 다르.

새로운!!: 1376년와 몽골의 역대 칸 · 더보기 »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새로운!!: 1376년와 문익점 · 더보기 »

방효유

방효유(方孝孺, 원 지정(至正) 17년 (1357년) ~ 명 건문(建文) 4년 (1402년))는 명나라 초기의 학자.

새로운!!: 1376년와 방효유 · 더보기 »

배극렴

1378년, 배극렴이 합포(현재의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쌓게 한 합포성지 배극렴(裵克廉, 1325년 ~ 1392년 12월 10일(음력 11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 무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1376년와 배극렴 · 더보기 »

반야 (고려)

반야(般若, ? ~ 1376년 음력 3월)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우왕(모니노)의 생모이.

새로운!!: 1376년와 반야 (고려) · 더보기 »

바르데요우

바르데요우()는 슬로바키아 북동부 프레쇼우 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72.78km2, 높이는 283m, 인구는 33,020명(2010년 기준), 인구 밀도는 454명/km2이.

새로운!!: 1376년와 바르데요우 · 더보기 »

바츨라프 4세

1390년대에 출간된 《벤첼 성경》에 그려진 삽화에 등장한 바츨라프 4세 바츨라프 4세(1361년 2월 26일 ~ 1419년 8월 16일)는 보헤미아의 국왕(재위: 1378년 11월 29일 ~ 1419년 8월 16일),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재위: 1373년 10월 2일 ~ 1378년 11월 29일), 독일의 국왕(재위: 1376년 6월 10일 ~ 1400년 8월 20일), 룩셈부르크의 공작(재위: 1383년 12월 7일 ~ 1388년)이.

새로운!!: 1376년와 바츨라프 4세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1376년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1376년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곽추

곽추(郭樞, 1338년 ~ 1405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

새로운!!: 1376년와 곽추 · 더보기 »

병진 (간지)

병진(丙辰)은 육십간지 중 53번째이.

새로운!!: 1376년와 병진 (간지)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1376년와 부석사 · 더보기 »

기화 (조선)

화(己和, 1376년 ~ 1431년)는 조선 전기의 승려이.

새로운!!: 1376년와 기화 (조선) · 더보기 »

김속명

속명(金續命, 1297년 ~ 1386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화평(化平)이.

새로운!!: 1376년와 김속명 · 더보기 »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南原楊氏 宗中 文書 一括)은 남원 양씨 종중에 전해지는, 고려 시대의 문과 급제 합격증 문서이.

새로운!!: 1376년와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 더보기 »

나주 손씨

주 손씨(羅州 孫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376년와 나주 손씨 · 더보기 »

나세

세(羅世, 1320년~1397년 10월 8일(음력 9월 17일))는 원나라에서 귀화한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장이.

새로운!!: 1376년와 나세 · 더보기 »

노진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76년와 노진 · 더보기 »

노한

(盧閈, 1376년 ~ 1443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노진의 손자이자 노균의 아들이며 태종의 비 원경왕후의 제부.

새로운!!: 1376년와 노한 · 더보기 »

우루스 칸

우루스는 백장 한국의 제 8대 칸(1374년~1376년)이었으며 청장 한국의 칸(재위:1376년 ~1377년)이었.

새로운!!: 1376년와 우루스 칸 · 더보기 »

회원현

회원현(檜原縣)은 지금의 창원시 마산 지역 일대의 옛 지명으로 합포(合浦)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졌.

새로운!!: 1376년와 회원현 · 더보기 »

자한기르 미르자 1세

자한기르(1356년 경 ~ 1376년 경)는 티무르의 아들이.

새로운!!: 1376년와 자한기르 미르자 1세 · 더보기 »

장크트길겐

장크트길겐 장크트길겐()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98.67km2, 높이는 545m, 인구는 3,850명(2016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39명/km2이.

새로운!!: 1376년와 장크트길겐 · 더보기 »

장창 (동음이의)

장창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1376년와 장창 (동음이의) · 더보기 »

크베들린부르크

베들린부르크의 위치 크베들린부르크()는 독일 작센안할트 주(州)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1376년와 크베들린부르크 · 더보기 »

이마가와 사다요

이마가와 사다요(1326년~1420년?)는 일본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무로마치 시대에 걸쳐서 활약한 무장으로, 도토미·스루가의 슈고 다이묘이.

새로운!!: 1376년와 이마가와 사다요 · 더보기 »

이종학 (1361년)

이종학(李種學, 1361년 ~ 1392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1376년와 이종학 (1361년) · 더보기 »

이천

이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76년와 이천 · 더보기 »

이천 (1376년)

이천(李蕆, 1376년 ~ 1451년 11월 30일(음력 11월 8일))은 조선 세종 대에 활약한 무관(武官)이자 행정가, 과학자(科學者)이.

새로운!!: 1376년와 이천 (1376년) · 더보기 »

이서 (1332년)

이서(李舒, 1332년∼1410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이서 (1332년) · 더보기 »

인효문황후

인효문황후 서씨(仁孝文皇后 徐氏, 원 지정 22년 2월 9일(1362년 3월 5일) ~ 명 영락 5년 7월 22일(1407년 8월 27일)) 서씨는 명나라 제3대 황제인 영락제의 부인이자 정비이며 명나라 개국공신인 장군 중산왕(中山王) 서달(徐達)의 장녀이.

새로운!!: 1376년와 인효문황후 · 더보기 »

제1대 글로스터 공작 토머스

제1대 글로스터 공작 우드스톡의 토머스(1355년 1월 7일 ~ 1397년 9월 8일)는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와 에노의 필리파 사이의 7남이.

새로운!!: 1376년와 제1대 글로스터 공작 토머스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1376년와 정몽주 · 더보기 »

정정공

정정공(貞靖公/丁靖公)은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1376년와 정정공 · 더보기 »

정총

정총(鄭摠, 1358년 ~ 1397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정총 · 더보기 »

정양생

정양생(鄭良生, ? ~ 1392년 6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이.

새로운!!: 1376년와 정양생 · 더보기 »

조박

조박(趙璞, 1356년 ~ 140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조박 · 더보기 »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朝鮮前期-文學)은 조선시대 초기의 아악의 정비와 훈민정음 창제의 영향으로 악장, 시조, 가사 문학이 발달하였.

새로운!!: 1376년와 조선 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1376년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카를 4세

를 4세(1316년 5월 14일 프라하 ~ 1378년 11월 29일 프라하)는 보헤미아의 국왕(재위: 1346년 8월 26일 ~ 1378년 11월 29일)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1355년 ~ 1378년 11월 29일)이.

새로운!!: 1376년와 카를 4세 · 더보기 »

카넴-보르누 제국

-보르누 제국은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후 1899년까지 서아프리카 일대에 존재하던 이슬람 왕국으로, 오늘날의 리비아 남부와 니제르 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북부, 차드의 차드 호 유역에 위치했던 왕국이었.

새로운!!: 1376년와 카넴-보르누 제국 · 더보기 »

유연

유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76년와 유연 · 더보기 »

유석질의론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은 조선(1392~1897) 전기의 승려인 기화(己和: 1376~1433)가 유불도 3교 중 특히 유교와 불교의 차이점 및 불교의 진리를 설명한 책이.

새로운!!: 1376년와 유석질의론 · 더보기 »

윤보 (고려)

윤보(尹珤, ? ~ 1329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윤문옥(尹文玉)『씨족원류』,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1376년와 윤보 (고려) · 더보기 »

샤를 5세

샤를 5세(Charles V le Sage, 1338년 1월 21일 ~ 1380년 9월 16일)는 프랑스 발루아 왕가 제3대 국왕(재위: 1364년 ~ 1380년)이.

새로운!!: 1376년와 샤를 5세 · 더보기 »

태양 사로스 111

사로스 111의 일식 에니메이션 태양 사로스 111은 18년 11일 마다 반복되는 사로스 주기의 한 유형이.

새로운!!: 1376년와 태양 사로스 111 · 더보기 »

순정왕후

순정왕후 한씨(順靜王后 韓氏, ? ~ 1376년)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이자 추존 왕후로 고려 우왕의 법모이.

새로운!!: 1376년와 순정왕후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은 1376년에 중수된 목조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8호이.

새로운!!: 1376년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더보기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남북조 시대에서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의 무장이자 슈고 다이묘(守護大名)이.

새로운!!: 1376년와 오우치 요시히로 · 더보기 »

올라프 2세 (덴마크)

올라프 2세 올라프 2세(1370년 12월 ~ 1387년 8월 23일)는 덴마크의 국왕(재위: 1376년 5월 3일 ~ 1387년 8월 23일)이자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380년 7월 29일 ~ 1387년 8월 23일)이.

새로운!!: 1376년와 올라프 2세 (덴마크) · 더보기 »

호콘 6세

호콘 6세의 인장 호콘 6세(1340년 ~ 1380년)는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343년 8월 15일 ~ 1380년)이자 스웨덴의 국왕(재위: 1362년 ~ 1364년)이.

새로운!!: 1376년와 호콘 6세 · 더보기 »

혜근

혜근(惠勤: 1320년 2월 24일(음력 1월 15일)~1376년 6월 2일(음력 5월 15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1376년와 혜근 · 더보기 »

최윤덕

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376년와 최윤덕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1376년와 최영 · 더보기 »

에드워드 3세

에드워드 3세(Edward III, 1312년 11월 13일 ~ 1377년 6월 21일)는 중세 시대의 가장 성공적인 왕으로 평가받고 있는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에드워드 2세의 장자이.

새로운!!: 1376년와 에드워드 3세 · 더보기 »

에드워드 흑태자

에드워드 흑태자(Edward the Black Prince, 1330년 6월 15일~1376년 6월 8일)는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의 장남으로, 옥스퍼드셔의 우드스톡 궁전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우드스톡의 에드워드(Edward of Woodstock)라고도 불린.

새로운!!: 1376년와 에드워드 흑태자 · 더보기 »

에이와

에이와(永和, えいわ)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376년와 에이와 · 더보기 »

킵차크 칸국

킵차크 칸국() 또는 금장 칸국()은 중앙아시아 북부와 동유럽에 성립한 몽골계의 칸국이.

새로운!!: 1376년와 킵차크 칸국 · 더보기 »

선광 (북원)

선광(宣光)은 북원 소종의 연호이.

새로운!!: 1376년와 선광 (북원) · 더보기 »

설미수

설미수(偰眉壽, 1359년 ~ 1415년 4월 13일(음력 3월 4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설미수 · 더보기 »

성달생

성달생(成達生, 1376년 ~ 1444년)은 고려·조선시대의 무신이며 자는 효백(孝白)이고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1376년와 성달생 · 더보기 »

성석용

성석용(成石瑢, 1352년 ~ 1403년 4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성석용 · 더보기 »

서원군

서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376년와 서원군 · 더보기 »

손광유

손광유(孫光裕)는 고려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1376년와 손광유 · 더보기 »

토크토아부카

아부카(? ~ 1376년)는 제5대 심양왕(재위 1354년 - 1376년)이.

새로운!!: 1376년와 토크토아부카 · 더보기 »

송희경 (1376년)

송희경(宋希璟, 1376년 ~ 144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송희경 (1376년)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1376년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용궁사

동용궁사(海東龍宮寺)는 부산 기장군 시랑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1376년와 해동용궁사 · 더보기 »

야보리우

야보리우 시청 야보리우()는 우크라이나 서부 리비우 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23.35km2, 높이는 296m, 인구는 12,905명(2013년 기준), 인구 밀도는 569명/km2이.

새로운!!: 1376년와 야보리우 · 더보기 »

한방신

방신(韓方信, ? ~ 1376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한방신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1376년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안경공 (여말선초)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1월 10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안경공 (여말선초) · 더보기 »

하연 (1376년)

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1376년와 하연 (1376년) · 더보기 »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

리프 드 발루아(Philip de Valois, 1336년 7월 1일 오스트리아 빈 ~ 1376년 9월 1일 프랑스 오를레앙)는 프랑스 발루아 왕가의 귀족으로 제1대 오를레앙 공작이 되었.

새로운!!: 1376년와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 · 더보기 »

아카마피치틀리

아카마피치틀리(? - 1395년)는 아즈텍의 초대 통일 군주(재위 1376년–1395년)였.

새로운!!: 1376년와 아카마피치틀리 · 더보기 »

신륵사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 때 창건되었다고 여.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신륵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

새로운!!: 1376년와 신륵사 · 더보기 »

심양왕

충선왕 시절 고려와 심양의 지도 심양왕(瀋陽王, 1307 또는 1308~1310) 및 심왕(瀋王, 1310~1375)은 고려의 왕이 원나라 황제로부터 받은 봉작(封爵)의 하나이.

새로운!!: 1376년와 심양왕 · 더보기 »

홍무

홍무(洪武)는 명나라 태조 홍무제의 연호로 명나라 최초의 연호 이. 1368년부터 1398년까지 31년간 쓰였.

새로운!!: 1376년와 홍무 · 더보기 »

홍무제

명 태조(明太祖, 원 천력 원년 9월 18일(1328년 10월 21일) ~ 홍무 31년 윤 5월 10일(1398년 6월 24일) 또는 홍무제(洪武帝)는 명나라(明)의 태조(재위: 1368년 ~ 1398년)이다.

새로운!!: 1376년와 홍무제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1376년와 황희 · 더보기 »

황산대첩

황산대첩(荒山大捷)은 1380년(우왕 6년) 9월 이성계가 황산에서 고려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전투이.

새로운!!: 1376년와 황산대첩 · 더보기 »

완풍대군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 호(號)는 불사재(不思齋)이.

새로운!!: 1376년와 완풍대군 · 더보기 »

1370년대

1370년대는 1370년부터 137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376년와 1370년대 · 더보기 »

6월 8일

6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9번째(윤년일 경우 1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376년와 6월 8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