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1445년

색인 1445년

설명이 없습니다.

60 처지: 동작구, 류관 (여말선초),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 바실리 2세, 박연 (1378년), 건문제, 공릉 (조선), 권제, 분안, 비텔스바흐가, 김문 (조선), 김국광, 김약채, 다이호아, 효연경황후, 용비어천가, 우의정, 특수교육, 장순왕후, 임사홍, 임원준 (1423년),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티안 1세, 평원대군, 이예 (1373년), 이세좌, 의방유취, 익안대군, 을축, 전순의, 정인지, 정창손, 정통, 조반니 자코모 델 몬페라토, 조선 덕종, 조선 세조, 조선왕조실록, 좌의정, 직전, 천자총통, 유호인, 파리 대학교, 호소카와 가쓰모토, 최만리, 최윤덕, 최윤온, 풍수, 사육신공원, 산드로 보티첼리, 세계 공의회, ..., 알수유티, 한확, 안지귀, 안순왕후, 학당, 신숙주, 황자총통, 외역전, 1440년대, 3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동작구

동작구(銅雀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1445년와 동작구 · 더보기 »

류관 (여말선초)

(柳寬, 1346년 ~ 143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1445년와 류관 (여말선초) · 더보기 »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

앙주의 마거릿(Margaret of Anjou, 1430년 3월 23일 - 1482년 8월 25일)은 랭커스터 왕가의 국왕 헨리 6세의 아내이.

새로운!!: 1445년와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 · 더보기 »

바실리 2세

바실리 2세 바실리 2세(1415년 3월 10일 ~ 1462년 3월 27일)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재위: 1425년 2월 27일 ~ 1462년 3월 27일)이.

새로운!!: 1445년와 바실리 2세 · 더보기 »

박연 (1378년)

박연 (朴堧, 1378년 음력 8월 20일 ~ 1458년 3월 2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 도학자, 경세가, 문장가, 천문학자, 음악가이.

새로운!!: 1445년와 박연 (1378년) · 더보기 »

건문제

명 혜종 건문제(明惠宗 建文帝, 1377년: 홍무(洪武) 10년 12월 5일 ~ 1402년(?))은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朱元璋)의 장손이자 의문황태자(懿文皇太子) 주표(朱標)의 아들이.

새로운!!: 1445년와 건문제 · 더보기 »

공릉 (조선)

공릉(恭陵)은 조선 제 8대 왕 예종의 정비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의 능이.

새로운!!: 1445년와 공릉 (조선) · 더보기 »

권제

제(權踶, 1387년 ∼ 144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1445년와 권제 · 더보기 »

분안

분안(文安, ぶんあん/ぶんなん)은,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445년와 분안 · 더보기 »

비텔스바흐가

비텔스바흐 가(Haus Wittelsbach)는 바이에른과 그리스에서 왕을 배출한 가문이.

새로운!!: 1445년와 비텔스바흐가 · 더보기 »

김문 (조선)

문(金汶, ? ~ 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1445년와 김문 (조선) · 더보기 »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445년와 김국광 · 더보기 »

김약채

약채(金若采)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산(光山)이.

새로운!!: 1445년와 김약채 · 더보기 »

다이호아

이호아()또는 타이호아()는 후 레 왕조 제3대 황제 인종(仁宗) 레방꺼(黎邦基)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1445년와 다이호아 · 더보기 »

효연경황후

효연경황후 왕씨(孝淵景皇后 汪氏, 선덕 2년(1427년) ~ 정덕 원년 12월 23일(1507년 1월 15일))는 경태제의 정실황후이.

새로운!!: 1445년와 효연경황후 · 더보기 »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 세종 때 권제와 정인지, 안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지은 악장·서사시이.

새로운!!: 1445년와 용비어천가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1445년와 우의정 · 더보기 »

특수교육

특수교육은 특별한 정신적,신체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 교육 목표, 방법, 내용을 그들 각각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이.

새로운!!: 1445년와 특수교육 · 더보기 »

장순왕후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1445년 2월 22일(음력 1월 16일) ~ 1462년 1월 5일(1461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 예종(睿宗)의 정비이.

새로운!!: 1445년와 장순왕후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1445년와 임사홍 · 더보기 »

임원준 (1423년)

임원준(任元濬, 1423년 ~ 1500년)은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사돈이며, 임사홍의 아버지이.

새로운!!: 1445년와 임원준 (1423년) · 더보기 »

크리스토페르 3세

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1416년 2월 26일 ~ 1448년 1월 6일) 또는 바이에른의 크리스토페르()는 덴마크의 국왕(재위: 1440년 4월 9일 ~ 1448년 1월 6일), 스웨덴의 국왕(재위: 1441년 ~ 1448년 1월 6일),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442년 6월 ~ 1448년 1월 6일)이.

새로운!!: 1445년와 크리스토페르 3세 · 더보기 »

크리스티안 1세

리스티안 1세 크리스티안 1세(1426년 2월 ~ 1481년 5월 21일)는 덴마크의 국왕(재위: 1448년 9월 1일 ~ 1481년 5월 21일)이자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450년 5월 13일 ~ 1481년 5월 21일), 스웨덴의 국왕(재위: 1457년 6월 23일 ~ 1464년 6월 23일)이.

새로운!!: 1445년와 크리스티안 1세 · 더보기 »

평원대군

평원대군 이임(平原大君 李琳, 1427년 11월 18일 ~ 1445년 1월 16일)은 조선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소생의 일곱째 아들이.

새로운!!: 1445년와 평원대군 · 더보기 »

이예 (1373년)

이예(李藝, 1373년 ~ 1445년 3월 31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 초의 무신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1445년와 이예 (1373년) · 더보기 »

이세좌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445년와 이세좌 · 더보기 »

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는 1445년(조선 세종 27년)에 완성된 의학서이.

새로운!!: 1445년와 의방유취 · 더보기 »

익안대군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1445년와 익안대군 · 더보기 »

을축

을축(乙丑)은 60간지 중 2번째이.

새로운!!: 1445년와 을축 · 더보기 »

전순의

전순의(全循義, ? ~ ?)는 조선 전기의 의관이.

새로운!!: 1445년와 전순의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1445년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1445년와 정창손 · 더보기 »

정통

정통(正統)는, 명나라 정통제의 연호(元号) 이.

새로운!!: 1445년와 정통 · 더보기 »

조반니 자코모 델 몬페라토

조반니 자코모 팔레올로고(1395년 3월 23일 - 1445년 3월 12일)는 1418년부터 1445년까지 몬페라토 변경백국을 통치한 변경백이.

새로운!!: 1445년와 조반니 자코모 델 몬페라토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1445년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1445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1445년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1445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직전

직전(職田)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있었던 토지 제도이.

새로운!!: 1445년와 직전 · 더보기 »

천자총통

자총통(天字銃筒)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가장 큰 총통으로 천ㆍ지ㆍ현ㆍ황 중 가장 대형 화포였.

새로운!!: 1445년와 천자총통 · 더보기 »

유호인

유호인 (兪好仁, 1445년 ∼ 1494년) 은 조선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1445년와 유호인 · 더보기 »

파리 대학교

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종합대학교였.

새로운!!: 1445년와 파리 대학교 · 더보기 »

호소카와 가쓰모토

호소카와 가쓰모토 호소카와 가쓰모토(1430년~1473년)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유력 슈고 다이묘이자, 쇼군가 아시카가 가문의 방계로 간레이직을 돌아가며 맡는 세 가문 중 하나인 호소카와 가문(細川氏)의 당주이.

새로운!!: 1445년와 호소카와 가쓰모토 · 더보기 »

최만리

만리(崔萬理, ? ~ 1445년 10월 23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자 철학자, 법학자이.

새로운!!: 1445년와 최만리 · 더보기 »

최윤덕

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445년와 최윤덕 · 더보기 »

최윤온

윤온(崔閏溫, 1390년 ~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445년와 최윤온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1445년와 풍수 · 더보기 »

사육신공원

사육신 공원(死六臣公園)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묘와 그 외 사육신비 등이 안장된 공원이.

새로운!!: 1445년와 사육신공원 · 더보기 »

산드로 보티첼리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1445년 3월 1일 ~ 1510년 5월 17일)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화가이.

새로운!!: 1445년와 산드로 보티첼리 · 더보기 »

세계 공의회

세계 공의회(世界公議會, 영어: ecumenical councils, 라틴어: Concilium Ecumenicum)는 교리와 의식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규정하기 위하여 “전체 교회”의 주교와 대표자들을 소집하여 진행하는 기독교의 종교회의인데, “전체 교회”의 의미는 교파마다 차이가 있. 예를 들어 로마 가톨릭의 경우 로마의 주교와 상통관계(full communion)가 있는 신자들을 일컫.

새로운!!: 1445년와 세계 공의회 · 더보기 »

알수유티

이맘 알라루딘 알수유티(Imam Jalaluddin Al-Suyuti, 1445년 ~ 1505년, جلال الدين السيوطي)는 이븐 쿳브로 알려져 있는 이집트 작가이자 종교 지도자이며 율법학자이자 율법사였.

새로운!!: 1445년와 알수유티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1445년와 한확 · 더보기 »

안지귀

안지귀(安知歸)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1445년와 안지귀 · 더보기 »

안순왕후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1445년? 음력 3월 12일 ~ 1499년 2월 3일(1498년 음력 12월 23일)는 조선 예종의 계비이다. 시호는 인혜명의소휘제숙안순왕후(仁惠明懿昭徽齊淑安順王后)이다. 청천부원군 양혜공 한백륜(淸川府院君 襄惠公 韓伯倫)과 서하부부인 임씨(西河府夫人 任氏)의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성종 즉위 초 그와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이 있었다.

새로운!!: 1445년와 안순왕후 · 더보기 »

학당

학당(學堂)은 고려 말기부터 설치되었던 학교이.

새로운!!: 1445년와 학당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1445년와 신숙주 · 더보기 »

황자총통

황자총통(黃字銃筒)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천자총통·지자총통·현자총통 다음으로 큰 총통이.

새로운!!: 1445년와 황자총통 · 더보기 »

외역전

외역전(外役田)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향리에게 직역의 대가로 주던 수조지이.

새로운!!: 1445년와 외역전 · 더보기 »

1440년대

1440년대는 1440년부터 144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445년와 1440년대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445년와 3월 1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