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1553년

색인 1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132 처지: 덴분, 독락당, 레이디 제인 그레이, 루카스 크라나흐, 류조지 다카노부,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마카오, 마쓰나가 히사히데, 메리 1세 (잉글랜드), 모리 데루모토, 모리 모토나리, 무라카미 요시키요, 문정왕후 (조선), 뮌스터 주교령, 미요시 나가요시, 미카엘 세르베투스, 백광홍, 박충원, 박순 (조선), 가스가 도라쓰나, 가정 (연호), 가정제, 가와나카지마 전투,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베트남의 연호, 경복궁,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주 정씨, 경주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고노에 사키히사, 공빈 김씨, 계축, 브라질의 역사, 깐릿, 김공망, 김장생, 김희철 (1519년), 김이원, 김이원 (1553년), 김인후, 김제갑, 군정국경지대, 남궁침, 남궁숙, 납속책, 나가오 하루카게, 디오고 1세, 디안 드 푸아티에, 네스토리우스파, ..., 노부나가의 야망 창천록, 노부나가의 야망 천하창세, 다이겐 셋사이, 다케다 노부시게 (1525년), 다케다 신겐, 효의장황후, 우에다하라 전투, 우에스기 겐신, 튜더가, 장 칼뱅, 히지카타 가쓰히사, 페드로 데 발디비아, 임해군, 잉글랜드의 군주 배우자, 클래런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 이감 (조선), 이반 4세, 이광식 (1493년), 이득윤, 이준경, 이탁 (조선), 이순신 (1553년), 이언적, 이여백, 이사벨 데 보르본, 이황, 정발, 정발 (1553년), 정난정, 정희계, 정사준, 조광조, 조선 명종,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역사, 존 릴리 (작가), 지그문트 2세, 충주 박씨, 유홍 (1524년), 윤탁연, 윤선, 상베르나르두두캄푸, 샤츠크, 태양 사로스 114, 오부 도라마사, 오다 노부나가, 오시성, 옥루, 호리 히데마사, 옹 (성씨), 옹몽진, 에드워드 6세, 에이로쿠의 변, 여산 송씨, 허엽, 풍아익,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유키타카, 산투안드레, 쓰와노성,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 서양 17세기의 교육, 송희립, 톤브리지 스쿨, 소 요시시게, 알바로 2세, 알브레히트 2세 알키비아데스,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 하치스카 마사카쓰, 아레초의 키마이라, 아바나, 아폰수 2세 (콩고), 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아시카가 요시테루, 앙리 4세, 황열 (조선), 왕희걸, 12월 13일, 12월 27일, 1550년대, 7월 19일, 7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2 더) »

덴분

분(天文, てんぶん/てんもん)은,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553년와 덴분 · 더보기 »

독락당

독락당(獨樂堂)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옥산서원 뒤에 있는 사랑채이.

새로운!!: 1553년와 독락당 · 더보기 »

레이디 제인 그레이

이디 제인 그레이(Lady Jane Grey, 1537년 - 1554년 2월 12일)는 1553년 불과 9일 동안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가의 네 번째 여왕이었다(재위 1553년 7월 10일 - 7월 19일).

새로운!!: 1553년와 레이디 제인 그레이 · 더보기 »

루카스 크라나흐

스 크라나흐 루카스 크라나흐(Lucas Cranach, 1472년~1553년)는 독일의 화가이.

새로운!!: 1553년와 루카스 크라나흐 · 더보기 »

류조지 다카노부

조지 다카노부(1529년 3월 24일 ~ 1584년 5월 4일)는 기타큐슈 다이묘 류조지 가의 19대 당주이자 5주 태수(五州太守), 히젠의 곰(肥前の熊)의 별명을 가진 기타큐슈의 유력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류조지 다카노부 · 더보기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1553년 5월 14일 - 1615년 5월 27일)는 프랑스의 공주로, 프랑스와 나바라 왕국의 왕 앙리 4세의 첫 왕비이.

새로운!!: 1553년와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 더보기 »

마카오

마카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1553년와 마카오 · 더보기 »

마쓰나가 히사히데

마쓰나가 히사히데(1510년 ~ 1577년 11월 19일)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

새로운!!: 1553년와 마쓰나가 히사히데 · 더보기 »

메리 1세 (잉글랜드)

메리 1세(Mary I, 1516년 2월 18일 ~ 1558년 11월 17일)는 잉글랜드 왕국 및 아일랜드 왕국의 여왕(재위 1553년 7월 19일 - 1558년 11월 17일)이.

새로운!!: 1553년와 메리 1세 (잉글랜드) · 더보기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1553년 2월 4일 ~ 1625년 6월 2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한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모리 데루모토 · 더보기 »

모리 모토나리

모리 모토나리(1497년 4월 16일 ~ 1571년 7월 6일)는 전국 시대 후기에 활약한 센고쿠 다이묘이다. 아키(安芸)의 일개 호족에서 시작해 주고쿠 지방 대부분을 손에 넣은 전국 시대 최고의 명장 중 하나다. 용의주도한 책모를 거듭해 전략, 전술 양면의 승리를 이끌어낸 희대의 책략가로 명성이 높다. 아키국(安芸国) 요시다고리야마성(吉田郡山城)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왔으며, 모리 히로모토(毛利弘元)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명은 쇼주마루(松寿丸)이며 통칭 쇼노지로(少輔次郎). 본처 생전에는 첩을 두지 않았던 애처가였고, 깃카와 모토하루(吉川元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등 기량이 자기 못지않은 아들들까지 두었으며, 비록 실화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세 화살의 교훈(三矢の訓)' 이야기의 주인공으로도 일본인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새로운!!: 1553년와 모리 모토나리 · 더보기 »

무라카미 요시키요

무라카미 요시키요(1501년 ~ 1573년 1월 1일)는 센고쿠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으로서 북 시나노의 센고쿠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무라카미 요시키요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1553년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뮌스터 주교령

뮌스터 주교령()은 795년 성립하여 1803년까지 존속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주교령이.

새로운!!: 1553년와 뮌스터 주교령 · 더보기 »

미요시 나가요시

미요시 나가요시(1522년 3월 10일 ~ 1564년 8월 10일)는 기나이와 시코쿠를 지배한 무장 겸 센고쿠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미요시 나가요시 · 더보기 »

미카엘 세르베투스

미카엘 세르베투스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또는 Miguel Servet 또는 Miguel Serveto; 1511년 9월 29일~1553년 10월 27일)는 에스파냐의 의학자이자 신학자이.

새로운!!: 1553년와 미카엘 세르베투스 · 더보기 »

백광홍

백광홍 (白光弘, 1522년 ~ 1556년) 은 조선 명종 때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1553년와 백광홍 · 더보기 »

박충원

박충원(朴忠元, 1507년 윤1월 16일『박충원 신도비명』 ~ 1581년 2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중초(仲初), 호는 낙촌(駱村)·정관재(靜觀齋), 본관은 밀양(密陽)이.

새로운!!: 1553년와 박충원 · 더보기 »

박순 (조선)

박순(朴淳, 1523년 ~ 1589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성리학자, 시인이.

새로운!!: 1553년와 박순 (조선) · 더보기 »

가스가 도라쓰나

사카 마사노부 가스가 도라쓰나(1527년 ~ 1578년)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武将)으로 다케다 가문의 가신이.

새로운!!: 1553년와 가스가 도라쓰나 · 더보기 »

가정 (연호)

정(嘉靖)은 명나라 가정제의 연호(元號)이.

새로운!!: 1553년와 가정 (연호) · 더보기 »

가정제

정제(嘉靖帝, 1507년 9월 16일 ~ 1567년 1월 23일)는 중국 명나라 제11대 황제(재위 1521년 ~ 1567년)이며 휘는 후총(厚熜)이.

새로운!!: 1553년와 가정제 · 더보기 »

가와나카지마 전투

와나카지마 전투(는 일본 센고쿠 시대 가이노쿠니(甲斐国)의 센고쿠 다이묘 다케다 신겐(武田信玄)과 에치고노쿠니(越後国)의 센고쿠 다이묘 우에스기 겐신(上杉謙信)사이에서 북시나노(北信濃)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벌어진 수차례의 전투를 말한다. 이 전투는 지쿠마가와(千曲川)와 사이가와(犀川)가 합류하는 삼각지대의 평지인 가와나카지마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가와나카지마' 전투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 1553년와 가와나카지마 전투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1553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베트남의 연호

베트남의 연호는 전 리 왕조때 잠시 쓰인 적이 있으나, 중국의 오랜 지배 끝에 독립 후인 딘 왕조때부터 다시 연호를 쓰면서 명나라가 잠시 지배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응우옌 왕조때까지 계속 쓰인.

새로운!!: 1553년와 베트남의 연호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1553년와 경복궁 · 더보기 »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景福宮峨嵋山-)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이.

새로운!!: 1553년와 경복궁 아미산 굴뚝 · 더보기 »

경주 정씨

경주 정씨(慶州 鄭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53년와 경주 정씨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1553년와 경주시 · 더보기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초상화, 1682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1539년 4월 5일 - 1603년 4월 25일) 또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장로공()은 호엔촐레른 왕가 출신 독일, 폴란드의 군주로,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후작이자, 폴란드의 오폴레, 라치부시 공작이.

새로운!!: 1553년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 더보기 »

고노에 사키히사

에 사키히사(1536년 ~ 1612년 6월 7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살았던 구게이.

새로운!!: 1553년와 고노에 사키히사 · 더보기 »

공빈 김씨

공빈 김씨(恭嬪 金氏, 1553년 11월 16일 ~ 1577년 6월 13일) 또는 공성왕후(恭聖王后)는 조선의 제 14대 임금 선조의 빈이자 추존왕후이며 임해군, 광해군 형제의 생모이.

새로운!!: 1553년와 공빈 김씨 · 더보기 »

계축

축(癸丑)은 육십간지 중 50번째이.

새로운!!: 1553년와 계축 · 더보기 »

브라질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토착민이 살았지만 브라질의 역사는 보통 포르투갈인이 건너온 뒤의 역사를 일컫.

새로운!!: 1553년와 브라질의 역사 · 더보기 »

깐릿

릿()은 막 왕조 제4대 군주 선종(宣宗) 막푹응우옌(莫福源)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1553년와 깐릿 · 더보기 »

김공망

공망(金公望, 1482년 ~ 1528년 7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김공망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김장생 · 더보기 »

김희철 (1519년)

희철(金希哲, 1519년 ~ 1592년 8월 1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의병장으로 본관은 김해(金海)이.

새로운!!: 1553년와 김희철 (1519년) · 더보기 »

김이원

이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553년와 김이원 · 더보기 »

김이원 (1553년)

이원(金履元, 1553년 ~ 161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김이원 (1553년)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1553년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제갑

제갑(金悌甲, 1525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원주 영원산성에서 성을 끝까지 지키다가 죽었.

새로운!!: 1553년와 김제갑 · 더보기 »

군정국경지대

정국경지대 군정국경지대(軍政國境地帶)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남부 국경 지대에 설치되었던 육군 상설 지대이.

새로운!!: 1553년와 군정국경지대 · 더보기 »

남궁침

궁 침(南宮忱, 1513년 ~ 15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남궁침 · 더보기 »

남궁숙

궁 숙(南宮淑, 1491년 ∼ 155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남궁숙 · 더보기 »

납속책

납속책(納粟策)은 조선 초기 이후부터 군량(軍糧) 등 재정 궁핍과 구호 대책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하였던 재정 정책의 하나이.

새로운!!: 1553년와 납속책 · 더보기 »

나가오 하루카게

오 하루카게()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1553년와 나가오 하루카게 · 더보기 »

디오고 1세

오고 1세(Diogo I, 본명(本名)은 디오고 응쿰비 아 음푸디(Diogo Nkumbi a Mpudi), 1503년 ~ 1561년 3월)는 16세기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553년와 디오고 1세 · 더보기 »

디안 드 푸아티에

안 드 푸아티에 디안 드 푸아티에(Diane de Poitiers, 1499년 9월 3일 - 1566년 4월 25일)은 프랑스의 귀부인으로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 시대의 프랑스 궁정에 출입했으며, 특히 앙리 2세의 애첩으로 잘 알려져 있.

새로운!!: 1553년와 디안 드 푸아티에 · 더보기 »

네스토리우스파

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또는 경교(景敎)는 콘스탄티노플의 네스토리우스(?∼451?) 총주교를 시조로 하는 기독교의 일파를 말. 아시리아 동방교회로 소급.

새로운!!: 1553년와 네스토리우스파 · 더보기 »

노부나가의 야망 창천록

《노부나가의 야망 창천록》()은 2002년 6월 28일에 코에이에서 Windows용이 발매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의 열 번째 작품이.

새로운!!: 1553년와 노부나가의 야망 창천록 · 더보기 »

노부나가의 야망 천하창세

《노부나가의 야망 천하창세》()는 코에이에서 발매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의 열한 번째 작품이.

새로운!!: 1553년와 노부나가의 야망 천하창세 · 더보기 »

다이겐 셋사이

이겐 셋사이(1496년 ~ 1555년 음력 10월 10일)는 센고쿠 시대의 승려이며,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義元)의 군사(軍師)이.

새로운!!: 1553년와 다이겐 셋사이 · 더보기 »

다케다 노부시게 (1525년)

부시게 다케나 노부시게()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1553년와 다케다 노부시게 (1525년) · 더보기 »

다케다 신겐

신겐() 또는 다케다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가이 국의 슈고 다이묘(守護大名)·센고쿠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다케다 신겐 · 더보기 »

효의장황후

효의장황후 이씨(孝懿莊皇后 李氏, ? ~ 가정 37년 4월 13일(1558년 4월 30일))는 융경제의 정실이며 추존황후이.

새로운!!: 1553년와 효의장황후 · 더보기 »

우에다하라 전투

우에다하라 전투()는 1548년 3월 23일(덴분 17년 2월 14일)에 시나노 국 우에다하라(上田原, 나가노현 우에다 시)에서 벌어진, 가이 국의 센고쿠 다이묘 다케다 하루노부(후의 신겐)와 기타시나노(北信濃)의 센고쿠 다이묘 무라카미 요시키요와의 전투이.

새로운!!: 1553년와 우에다하라 전투 · 더보기 »

우에스기 겐신

우에스기 겐신(1530년 음력 1월 21일(2월 18일) ~ 1578년 음력 3월 13일(4월 19일))은 센고쿠 시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우에스기 겐신 · 더보기 »

튜더가

왕가(House of Tudor) 또는 튜더 왕조(Tudor dynasty)는 잉글랜드 왕국(1485년 - 1603년)과 아일랜드 왕국(1541년 - 1603년)을 다스렸던 다섯 명의 군주들을 배출한 집안을 말. 전반적으로 튜더 출신 군주들의 통치 덕분에 그전까지 유럽의 바다 건너 약소국이었던 영국은 훗날 세계를 석권하게 되는 대영제국으로 전환될 수 있었.

새로운!!: 1553년와 튜더가 · 더보기 »

장 칼뱅

장 칼뱅(1509년 7월 10일 - 1564년 5월 27일)은 종교 개혁을 이끈 프랑스 출신의 개혁교회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1553년와 장 칼뱅 · 더보기 »

히지카타 가쓰히사

히지카타 가쓰히사 히지카타 가쓰히사(1553년 ~ 1608년 12월 19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히지카타 가쓰히사 · 더보기 »

페드로 데 발디비아

발디비아(Pedro de Valdivia, 1497년 4월 17일~1553년 12월 25일)는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였으며 스페인령 칠레의 초대 총독(재임 1540년~1547년)과 제3대 총독(재임 1549년~1553년)을.

새로운!!: 1553년와 페드로 데 발디비아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1553년와 임해군 · 더보기 »

잉글랜드의 군주 배우자

이 문서는 잉글랜드 왕국의 군주 배우자를.

새로운!!: 1553년와 잉글랜드의 군주 배우자 · 더보기 »

클래런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

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1449년 10월 21일 - 1478년 2월 18일)은 영국의 왕족이.

새로운!!: 1553년와 클래런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 · 더보기 »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553년와 이감 (조선) · 더보기 »

이반 4세

이반 4세 바실리예비치 (1530년 8월 25일 모스크바 ~ 1584년 3월 28일 모스크바)는 1533년부터 1547년까지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이었으며, 차르(tsar)라는 호칭을 사용한 첫 번째 러시아 통치자였.

새로운!!: 1553년와 이반 4세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1553년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득윤

이득윤(李得胤, 1553년 ~ 1630년)은 조선 중기(선조-광해군)의 정치가·학자·음악 이론가이.

새로운!!: 1553년와 이득윤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1553년와 이준경 · 더보기 »

이탁 (조선)

이탁(李鐸, 1509년 5월 13일(음력 4월 25일『이탁 비명』) ~ 1576년 2월 9일(음력 1월 10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선명(善鳴),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이해수(李海壽)의 아버지이다.

새로운!!: 1553년와 이탁 (조선)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1553년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1553년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여백

이여백(李如柏, 1553년 ~ 1620년)은 명나라 말기의 장군이.

새로운!!: 1553년와 이여백 · 더보기 »

이사벨 데 보르본

이사벨 데 보르본(1602년 11월 22일 ~ 1644년 10월 6일)은 프랑스의 공주로, 스페인 왕 펠리페 4세의 왕비이.

새로운!!: 1553년와 이사벨 데 보르본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1553년와 이황 · 더보기 »

정발

정발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1553년와 정발 · 더보기 »

정발 (1553년)

정발(鄭撥, 1553년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53년와 정발 (1553년) · 더보기 »

정난정

정난정(鄭蘭貞, ? ~ 1565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며 명종의 넷째 외삼촌이자 재상인 윤원형의 애첩이자 그의 둘째 부인이.

새로운!!: 1553년와 정난정 · 더보기 »

정희계

정희계(鄭熙啓, ? ~ 1396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1553년와 정희계 · 더보기 »

정사준

정사준(鄭思竣, 1553년 ~ 몰년 미상)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53년와 정사준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1553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1553년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1553년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1553년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존 릴리 (작가)

존 릴리(John Lyly, 1553년 또는 1554년 ~ 1606년 11월)은 영국의 극작.

새로운!!: 1553년와 존 릴리 (작가) · 더보기 »

지그문트 2세

문트 2세 아우구스트(1520년 8월 1일 ~ 1572년 7월 7일)는 폴란드 야기에우워 왕조 최후의 국왕(1548~1572)이.

새로운!!: 1553년와 지그문트 2세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53년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유홍 (1524년)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숙, 호는 송당, 시호는 충목, 본관은 기계이.

새로운!!: 1553년와 유홍 (1524년) · 더보기 »

윤탁연

윤탁연(尹卓然, 1538년 5월 15일 ~ 1594년 5월 28일『윤탁연 묘갈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시호는 헌민(憲敏),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1553년와 윤탁연 · 더보기 »

윤선

윤선(輪船)은 조선 명종(明宗) 5년(1550년) 2월에 건조되었.

새로운!!: 1553년와 윤선 · 더보기 »

상베르나르두두캄푸

상베르나르두두캄푸의 위치 상베르나르두두캄푸()는 브라질 남부 상파울루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1553년와 상베르나르두두캄푸 · 더보기 »

샤츠크

시 문장 샤츠크()는 러시아 랴잔 주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7,563명(2002년 기준)이며 랴잔(랴잔 주의 주도)에서 남동쪽으로 94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 16세기 이 곳 주변은 깊은 숲에 둘러싸여 있어서 타타르족이 숲에 둘러싸인 모스크바 대공국을 침입하기 위한 통로로 여겨졌.

새로운!!: 1553년와 샤츠크 · 더보기 »

태양 사로스 114

사로스 114의 일식 에니메이션 1715년 5월 3일 일식. 태양 사로스 114의 60번째 일식이었다. 태양 사로스 114는 18년 11일 마다 반복되는 사로스 주기의 한 유형이.

새로운!!: 1553년와 태양 사로스 114 · 더보기 »

오부 도라마사

오부 도라마사 오부 도라마사(1504년? ~ 1565년 11월 7)의 오부 씨는 가이 겐지(甲斐源氏)의 일족이며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4남, 미나모토노 요시타다(源義忠)의 아들, 오부 다다무네(飯富忠宗)의 후예라고 전. 오부 도라마사는 다케다 노부토라부터 다케다 가문을 후다이 가로슈(譜代家老衆)으로서 섬. 그리고 시나노(信濃) 사쿠 군(佐久郡) 우치야마 성(内山城)을 다스.

새로운!!: 1553년와 오부 도라마사 · 더보기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1534년 6월 23일 ~ 1582년 6월 21일)는 일본의 전국 시대를 평정한 인물로,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를 연 무장이자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오다 노부나가 · 더보기 »

오시성

수대용의 3층 망루 오시 성()은 사이타마현 교다 시에 있는 평성이.

새로운!!: 1553년와 오시성 · 더보기 »

옥루

옥루(玉漏)는 조선시대의 천상시계(天象時計)이며 자동물시계의 하나이.

새로운!!: 1553년와 옥루 · 더보기 »

호리 히데마사

호리 히데마사()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호리 히데마사 · 더보기 »

옹 (성씨)

옹(邕, 雍)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53년와 옹 (성씨) · 더보기 »

옹몽진

옹몽진(邕夢辰, 1518년 ~ 158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553년와 옹몽진 · 더보기 »

에드워드 6세

에드워드 6세(Edward VI, 1537년 10월 12일 - 1553년 7월 6일)는 튜더 왕가 출신으로 잉글랜드 왕국 및 아일랜드 왕국의 국왕이다(재위 1547년 1월 28일 - 1553년 7월 6일).

새로운!!: 1553년와 에드워드 6세 · 더보기 »

에이로쿠의 변

에이로쿠의 변()은 에이로쿠 8년 5월 19일(1565년 6월 17일), 미요시 산닌슈(三好三人衆)와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군사를 이끌고 무로마치 막부 제 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머무르고 있던 교토의 니조 어소(二条御所)를 습격하여 쇼군 요시테루를 암살한 사건이.

새로운!!: 1553년와 에이로쿠의 변 · 더보기 »

여산 송씨

여산 송씨(礪山 宋氏)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53년와 여산 송씨 · 더보기 »

허엽

엽(許曄, 1517년 12월 29일 ~ 1580년 2월 4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로, 자는 태휘(太輝), 호는 초당(草堂), 본관은 양천(陽川)이.

새로운!!: 1553년와 허엽 · 더보기 »

풍아익

《풍아익》(風雅翼)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기양사(岐陽祠)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1553년와 풍아익 · 더보기 »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마사유키(真田昌幸, 1547년~1611년)는 일본 전국 시대와 에도 시대 초기에 활약한 센고쿠 다이묘, 무장이.

새로운!!: 1553년와 사나다 마사유키 · 더보기 »

사나다 유키타카

사나다 유키타카(1513년 ~ 1574년 6월 8일)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1553년와 사나다 유키타카 · 더보기 »

산투안드레

산투안드레의 위치 산투안드레 산투안드레()는 브라질 남부 상파울루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1553년와 산투안드레 · 더보기 »

쓰와노성

쓰와노 성의 석벽 쓰와노 성은 시마네현 가노아시 군 쓰와노 정에 있었던 성이.

새로운!!: 1553년와 쓰와노성 · 더보기 »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

이 문서는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를 나타낸 문서이.

새로운!!: 1553년와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 · 더보기 »

서양 17세기의 교육

본 문서는 서양 17세기의 교육에 관한 것이.

새로운!!: 1553년와 서양 17세기의 교육 · 더보기 »

송희립

송희립(宋希立, 1553년~1623년 12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수군으로 활약하였.

새로운!!: 1553년와 송희립 · 더보기 »

톤브리지 스쿨

브리지 위치 (노란색 점) 톤브리지 스쿨(Tonbridge School)은 1553년 앤드루 주드 경(Sir Andrew Judd)이 설립한 톤브리지 소재 남학생 사립학교(퍼블릭 스쿨, public school)이.

새로운!!: 1553년와 톤브리지 스쿨 · 더보기 »

소 요시시게

소 요시시게(宗義調, 1532년 ~ 1589년 1월 28일)는 쓰시마 국의 슈고 다이묘이자 센고쿠 다이묘로, 소(宗) 씨 제17대 당주이.

새로운!!: 1553년와 소 요시시게 · 더보기 »

알바로 2세

알바로 2세(Álvaro II, 1553년 ~ 1614년 8월 9일)는 16세기와 17세기 시대의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553년와 알바로 2세 · 더보기 »

알브레히트 2세 알키비아데스

알브레히트 2세 알키비아데스(Albrecht II Alcibiades, 1522년 3월 28일 - 1557년 1월 8일)는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 독일 신성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후작이었.

새로운!!: 1553년와 알브레히트 2세 알키비아데스 · 더보기 »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

인리히 볼로난(Heinrich Bollandt) 작 (1577년)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호엔촐레른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Herzog Albrecht Friedrich von Preußen: 1553년 5월 7일 - 1618년 8월 28일)은 프로이센의 제2대 공작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의 아들이고,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의 증손이.

새로운!!: 1553년와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 · 더보기 »

하치스카 마사카쓰

스카 고로쿠 마사카쓰 하치스카 마사카쓰(1526년 ~ 1586년 7월 8일)는 센고쿠 시대에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 겸 다이묘이.

새로운!!: 1553년와 하치스카 마사카쓰 · 더보기 »

아레초의 키마이라

아레초의 키마이라 아레초의 키마이라(Chimera of Arezzo)는 1553년 아레초에서 발견된 키마이라 청동상이.

새로운!!: 1553년와 아레초의 키마이라 · 더보기 »

아바나

아바나() 또는 하바나()는 쿠바의 수도이.

새로운!!: 1553년와 아바나 · 더보기 »

아폰수 2세 (콩고)

아폰수 2세(Afonso II, 1538년 ~ 1561년 11월)는 16세기 콩고 왕국 국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국왕이.

새로운!!: 1553년와 아폰수 2세 (콩고) · 더보기 »

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리 레이스의 지도의 일부. 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제독(Ahmed Muhiddin Pîrî Reis, 1465년 ~ 1553년)는 오스만 제국의 해군 제독이자 지도 제작자이.

새로운!!: 1553년와 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 더보기 »

아시카가 요시테루

아시카가 요시테루 아시카가 요시테루(1536년 3월 31일 ~ 1565년 6월 17일)는 무로마치 막부의 13대 쇼군(재위 1546년 ~ 1565년)으로 12대 쇼군 요시하루의 장남이.

새로운!!: 1553년와 아시카가 요시테루 · 더보기 »

앙리 4세

앙리 4세(1553년 12월 13일 ~ 1610년 5월 14일)는 프랑스와 나바르 왕국의 왕으로, 카페 왕조의 분가인 부르봉 왕가 최초의 왕이.

새로운!!: 1553년와 앙리 4세 · 더보기 »

황열 (조선)

황열(黃悅, 1501년 12월 1일 ~ 1575년 11월 12일『황열 묘비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황열 (조선) · 더보기 »

왕희걸

왕희걸(王希傑, ? ~ 155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53년와 왕희걸 · 더보기 »

12월 13일

1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7번째(윤년일 경우 3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53년와 12월 13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53년와 12월 27일 · 더보기 »

1550년대

1550년대는 1550년부터 155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553년와 1550년대 · 더보기 »

7월 19일

7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0번째(윤년일 경우 2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53년와 7월 19일 · 더보기 »

7월 6일

7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7번째(윤년일 경우 1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53년와 7월 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