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1594년

색인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0 처지: 늑대인간, 끼엔통, 도네강, 도다 가쓰타카, 도쿠이 미치유키, 루호비치, 류형, 말괄량이 길들이기, 만력, 만력제,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마에다 도시쓰네, 마쓰다이라 나리시게, 마테오 리치, 메고히메, 모가미 이에치카, 배설 (1551년), 백이소, 갑오, 박진 (1560년), 가덕도왜성, 가쓰야마성 (후쿠이현), 겐나 대순교, 베르나르도 2세,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고니시 유키나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고토 스미하루, 고토 하루마사, 관우, 권응수, 권징 (조선의 문신), 분로쿠, 김덕령, 김경로, 김자점, 김육, 김억추, 꽝흥,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납속책, 난중일기, 나카가와 히데시게,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논개, 니콜라 푸생, 효경태황태후, 우쓰노미야 구니쓰나, ..., 장릉 (조선 인조), 장문포 해전, 장현광, 히로사키성, 히바 칸국, 임경업, 임진왜란 해전 목록, 임현, 평해 오씨, 이로하히메, 이간 (1527년), 이복남, 이광 (1541년), 이광악, 이이첨, 이일, 이지함, 이상의 (1560년), 이순신 (1553년), 이산보, 이시다 미쓰나리, 이시카와 고에몬, 이시언 (조선), 이원진, 인렬왕후, 음력 3월 4일, 제2차 당항포 해전,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정기룡, 정기원 (1559년), 정대민, 정구 (1543년), 정인홍, 정철, 정선옹주, 조목, 조총, 좌의정, 주라쿠다이, 주상윤, 죄르, 진릉군, 지그문트 3세 바사, 찰스 1세, 천주실의, 처영, 충장사 (광주광역시), 칠천도, 유정 (1544년), 유형원, 유홍 (1524년), 윤국형, 윤두수, 윤휘, 윤탁연, 윤선도, 융경제, 수르구트, 영양군 (왕족), 오를란도 디 라소, 오다와라 번, 오즈성, 오카성, 오쿠보 다다요, 오쿠보 다다치카, 오시성, 최동망, 최립, 최진립, 최원 (조선), 어영담, 양명학, 허균,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시게, 사카이 다다카쓰 (1594년), 쓰가루 다메노부, 성윤문, 성혼, 서천 문헌서원, 서생포왜성, 속오군, 송대립, 송여종, 소베츠크 (키로프 주), 항왜, 해주 오씨, 알바로 2세, 한국의 반란 목록, 한효순, 하타 지카시,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1573년), 아나 애 단마르크 왕녀, 아사노 나가아키라, 앙리 4세, 신각, 심충겸, 틴토레토, 시마즈 요시히사 (1533년), 원각사지, 원균, 원천군 (1533년), 원사웅, 홍가신, 홍성민 (1536년), 홍서봉, 1590년대, 4월 23일, 5월 29일, 6월 1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0 더) »

늑대인간

18세기에 그려진 인간을 공격하는 늑대인간. 늑대인간() 또는 리칸트로페() 또는 브리콜라카스() 은 신화 또는 민속에서 늑대와 반인반수 또는, 동시에 늑대와 같이 혼혈종이 되는 인간을 의미.

새로운!!: 1594년와 늑대인간 · 더보기 »

끼엔통

엔통()은 막 왕조 제8대 군주 막낀꿍(莫敬恭)의 연호이.

새로운!!: 1594년와 끼엔통 · 더보기 »

도네강

강()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

새로운!!: 1594년와 도네강 · 더보기 »

도다 가쓰타카

(戸田勝隆, 생년 미상 ~ 분로쿠 3년 음력 10월 23일(1594년 12월 4일))는 센고쿠 시대로부터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까지의 무장·다이묘, 도요토미 가문의 가신이.

새로운!!: 1594년와 도다 가쓰타카 · 더보기 »

도쿠이 미치유키

이 미치유키(1557년 ~ 1592년 음력 6월 2일)는 센고쿠 시대에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

새로운!!: 1594년와 도쿠이 미치유키 · 더보기 »

루호비치

시 문장 루호비치()는 러시아 모스크바 주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32,403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1594년와 루호비치 · 더보기 »

류형

형(柳珩, 1566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류형 · 더보기 »

말괄량이 길들이기

말괄량이 길들이기(The Taming of the Shrew)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으로 그의 초기 연극 중 하나이며, 1590년 ~ 1594년 사이에 쓰여 졌.

새로운!!: 1594년와 말괄량이 길들이기 · 더보기 »

만력

만력(萬曆)은 명나라 만력제의 연호(元号)이.

새로운!!: 1594년와 만력 · 더보기 »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새로운!!: 1594년와 만력제 · 더보기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1553년 5월 14일 - 1615년 5월 27일)는 프랑스의 공주로, 프랑스와 나바라 왕국의 왕 앙리 4세의 첫 왕비이.

새로운!!: 1594년와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 더보기 »

마에다 도시쓰네

마에다 도시쓰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마에다 도시쓰네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나리시게

마쓰다이라 나리시게(1594년 ~ 1633년 10월 18일)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마쓰다이라 나리시게 · 더보기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1594년와 마테오 리치 · 더보기 »

메고히메

메고히메(1568년 ~ 1653년 2월 21일)는 다테 마사무네의 정실이.

새로운!!: 1594년와 메고히메 · 더보기 »

모가미 이에치카

모가미 이에치카(1582년 ~ 1617년 4월 11일)는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모가미 이에치카 · 더보기 »

배설 (1551년)

배설(裵楔, 1551년 ~ 1599년)은 조선의 무관이.

새로운!!: 1594년와 배설 (1551년) · 더보기 »

백이소

백이소(白以昭, 1557년 ~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융원(隆遠), 호는 부암(傅巖)이.

새로운!!: 1594년와 백이소 · 더보기 »

갑오

갑오(甲午)는 60간지 중 31번째이.

새로운!!: 1594년와 갑오 · 더보기 »

박진 (1560년)

박진(朴晉, 1560년 8월 25일 ~ 1597년 3월)은 무신, 군인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워 벼슬을.

새로운!!: 1594년와 박진 (1560년) · 더보기 »

가덕도왜성

덕도왜성(加德島倭城)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1594년와 가덕도왜성 · 더보기 »

가쓰야마성 (후쿠이현)

쓰야마 성터 비 가쓰야마 성()은 후쿠이현 가쓰야마 시에 있었던 제곽식 평성이.

새로운!!: 1594년와 가쓰야마성 (후쿠이현) · 더보기 »

겐나 대순교

순교()는 일본의 에도 시대 초기인 1622년 나가사키 시의 니시자카 언덕에서 기리시탄(일본에서 기독교인을 일컫는 말) 55명이 화형및 참형을 당한 종교탄압 사건이.

새로운!!: 1594년와 겐나 대순교 · 더보기 »

베르나르도 2세

베르나르도 2세(Bernardo II, 본명(本名)은 니미 아야 응캉가 토 데 베르나르도(Nimi aya Nkanga tǒ de Bernardo), 1579년 ~ 1615년 8월 24일)는 17세기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594년와 베르나르도 2세 · 더보기 »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추기경의 초상화 베르나르디노 스파다(1594년 4월 21일 - 1661년 11월 10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자 로마의 스파다궁 안에 상당량의 예술품을 소장한 예술의 후원자이.

새로운!!: 1594년와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 더보기 »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헤르하르뒤스 메르카토르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1512년 3월 5일~1594년 12월 2일)는 플랑드르 (현대 벨기에)의 지리학자이.

새로운!!: 1594년와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 더보기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바야카와 히데아키()/하시바 히데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와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1594년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리드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Gottfried Heinrich Graf zu Pappenheim; 1594년 5월 29일 ~ 1632년 11월 17일)은 30년 전쟁 때 신성로마제국의 육군원수이.

새로운!!: 1594년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 더보기 »

고토 스미하루

스미하루(1562년 ~ 1594년 9월 12일)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고토 스미하루 · 더보기 »

고토 하루마사

마사(1548년 ~ 1612년 4월 8일)은 센고쿠 시대에서 에도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고토 하루마사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1594년와 관우 · 더보기 »

권응수

응수(權應銖, 1546년 ~ 160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여러 전투에 참여해 큰 공을 세웠.

새로운!!: 1594년와 권응수 · 더보기 »

권징 (조선의 문신)

징(權徵, 1538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크게 활약하였.

새로운!!: 1594년와 권징 (조선의 문신) · 더보기 »

분로쿠

분로쿠(文禄, ぶんろ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594년와 분로쿠 · 더보기 »

김덕령

덕령(金德齡, 1567년~1596년 8월)은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1594년와 김덕령 · 더보기 »

김경로

경로(金敬老,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전라도 남원 출신이.

새로운!!: 1594년와 김경로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1594년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1594년와 김육 · 더보기 »

김억추

억추(金億秋, 1548년 ~ 161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김억추 · 더보기 »

꽝흥

꽝흥()는 후 레 왕조 제16대 황제 세종(世宗)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1594년와 꽝흥 · 더보기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스타브 2세 아돌프(1594년 12월 9일 ~ 1632년 11월 6일)는 스웨덴의 국왕(재위: 1611년 10월 30일 ~ 1632년 11월 6일)이자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손자이.

새로운!!: 1594년와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더보기 »

납속책

납속책(納粟策)은 조선 초기 이후부터 군량(軍糧) 등 재정 궁핍과 구호 대책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하였던 재정 정책의 하나이.

새로운!!: 1594년와 납속책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1594년와 난중일기 · 더보기 »

나카가와 히데시게

와 히데시게(中川秀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로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나카가와 히데시게 · 더보기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동인도 회사(東印度會社)는 네덜란드에서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으로의 경제적 진출을 위해 1602년에 세운 칙허 회사이.

새로운!!: 1594년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더보기 »

논개

(論介, 1574년 9월 3일 ~ 1593년) 또는 주논개(朱論介)는 조선 선조 시대의 열녀이.

새로운!!: 1594년와 논개 · 더보기 »

니콜라 푸생

생이 1650년에 그린 자화상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594년 6월 15일 - 1665년 11월 19일)은 프랑스의 화가이.

새로운!!: 1594년와 니콜라 푸생 · 더보기 »

효경태황태후

효경태황태후 이씨(孝敬太皇太后 李氏, 생년 미상 ~ 만력 25년 3월 21일(1597년 5월 6일))는 중국 명나라 제13대 황제 신종 만력제(神宗 萬曆帝)의 후궁(後宮)이.

새로운!!: 1594년와 효경태황태후 · 더보기 »

우쓰노미야 구니쓰나

우쓰노미야 구니쓰나()는, 시모쓰케 국(下野国)의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이.

새로운!!: 1594년와 우쓰노미야 구니쓰나 · 더보기 »

장릉 (조선 인조)

주 장릉(坡州 長陵)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이.

새로운!!: 1594년와 장릉 (조선 인조) · 더보기 »

장문포 해전

장문포 해전(長門浦海戰)은 1594년 11월 12일(음력 10월 1일)부터 12월 29일(음력 11월 18일)까지 진행된 전투로서, 정유재란 이전의 마지막 전투이.

새로운!!: 1594년와 장문포 해전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1594년와 장현광 · 더보기 »

히로사키성

수대용의 3층망루 히로사키 성의 항공사진, 1975년 촬영〈일본국토교통성〉 히로사키 성()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 시에 있는 성으로 국가 지정 사적이.

새로운!!: 1594년와 히로사키성 · 더보기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화레즘 지방에서 1740년에서 1747년 동안에 페르시아의 나디르 샤가 점령한 때를 제외한 БСЭ, 3-е издание.

새로운!!: 1594년와 히바 칸국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1594년와 임경업 · 더보기 »

임진왜란 해전 목록

아래의 목록은 임진왜란의 해전 목록이.

새로운!!: 1594년와 임진왜란 해전 목록 · 더보기 »

임현

남원성 전투 당시 일본군의 공략도 남원성 내부 간략도 임현(任鉉, 1547년 ~ 1597년 8월 16일『임현 신도비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사중(士重), 호는 애탄(愛灘)이.

새로운!!: 1594년와 임현 · 더보기 »

평해 오씨

평해 오씨(平海吳氏)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94년와 평해 오씨 · 더보기 »

이로하히메

이로하히메 이로하히메(五郎八姫, 1594년 8월 2일 ~ 1661년 6월 4일)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6남인 마쓰다이라 다다테루의 정실이.

새로운!!: 1594년와 이로하히메 · 더보기 »

이간 (1527년)

이간(李幹, 1527년 3월 6일 ~ 1598년 3월 3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관이.

새로운!!: 1594년와 이간 (1527년)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1594년와 이복남 · 더보기 »

이광 (1541년)

이광(李洸, 1541년 ~ 160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이광 (1541년) · 더보기 »

이광악

이광악(李光岳, 1557년 ~ 160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인물이.

새로운!!: 1594년와 이광악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1594년와 이일 · 더보기 »

이지함

이지함(李之菡, 1517년 10월 5일(음력 9월 20일이관명, 『병산집』(屛山集) 권11, 토정 이공 시장) ~ 1578년 8월 19일(음력 7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

새로운!!: 1594년와 이지함 · 더보기 »

이상의 (1560년)

소릉 이상의 이상의(李尙毅, 1560년(명종 15) ∼ 1624년(인조 2))는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594년와 이상의 (1560년)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1594년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산보

이산보(李山甫, 1539년 ~ 159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이산보 · 더보기 »

이시다 미쓰나리

이시다 미쓰나리(에이로쿠 3년(1560년) ~ 게이초 5년 음력 10월 1일(1600년 11월 6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 겸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이시다 미쓰나리 · 더보기 »

이시카와 고에몬

팽형으로 살해당하는 이시카와 고에몬과 그의 아들 고로이치 이시카와 고에몬(생년 미상 ~ 1594년 10월 8일)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도적이.

새로운!!: 1594년와 이시카와 고에몬 · 더보기 »

이시언 (조선)

이시언(李時言, 생년 미상 ~ 162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경주읍성을 탈환하는 등 전공을 세웠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처형되었.

새로운!!: 1594년와 이시언 (조선) · 더보기 »

이원진

이원진(李元鎭, 1594년 ~ 1665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1594년와 이원진 · 더보기 »

인렬왕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

새로운!!: 1594년와 인렬왕후 · 더보기 »

음력 3월 4일

음력 3월 4일은 음력 3월의 4번째 날이.

새로운!!: 1594년와 음력 3월 4일 · 더보기 »

제2차 당항포 해전

제2차 당항포 해전은 1594년 4월 23일(음력 3월 4일)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당항포 지역 인근의 왜군들을 몰아내기 위해 부하 어영담을 사령관으로 삼아 전라좌수영과 전라우수영, 경상우수영이 연합하여 출전한 6차 연합함대 출전이자 이순신의 12번째 해전이.

새로운!!: 1594년와 제2차 당항포 해전 · 더보기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제임스 1세(James I, 1566년 6월 19일 ~ 1625년 3월 27일)는 엘리자베스 1세의 뒤를 이은 왕이.

새로운!!: 1594년와 제임스 1세 (잉글랜드) · 더보기 »

정기룡

정기룡(鄭起龍, 1562년 ~ 1622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정기룡 · 더보기 »

정기원 (1559년)

정기원(鄭期遠, 1559년 ~ 1597년 8월)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정기원 (1559년) · 더보기 »

정대민

정대민(鄭大民, 1551년 ~ 15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정대민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1594년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1594년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1594년와 정철 · 더보기 »

정선옹주

정선옹주(貞善翁主, 1594년 음력 4월 1일 ~ 1614년 음력 8월 1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1594년와 정선옹주 · 더보기 »

조목

조목(趙穆, 1524년 ~ 160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1594년와 조목 · 더보기 »

조총

조총(鳥銃)은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아쿼버스급 화승총이.

새로운!!: 1594년와 조총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1594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주라쿠다이

《주라쿠다이 병풍도》(미쓰이 문고 소장) 주라쿠다이/주라쿠테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교토의 나이야에 지은 대저택이다. 주라쿠 정(聚楽亭)이라고도 불린다. 일종의 해자가 있는 성으로 볼 수 있어, 주라쿠 성(聚楽城)으로도 불린다.

새로운!!: 1594년와 주라쿠다이 · 더보기 »

주상윤

혜왕 주상윤(惠王 朱常潤, 1594년 ~ 1647년 1월 7일)은 중국 명나라 제13대 군주 신종 만력제의 서자이며 남명(南明) 왕조의 종실이.

새로운!!: 1594년와 주상윤 · 더보기 »

죄르

죄르()는 헝가리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죄르모숀쇼프론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174.61km2, 인구는 131,267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730.71명/km2이.

새로운!!: 1594년와 죄르 · 더보기 »

진릉군

릉군 이태경(晋陵君 李泰慶, 1594년 ~ 1612년)은 무옥(誣獄)에 희생된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1594년와 진릉군 · 더보기 »

지그문트 3세 바사

문트 3세 바사(1566년 6월 20일 ~ 1632년 4월 19일)는 폴란드의 국왕(재위: 1587년 9월 18일 ~ 1632년 4월 19일)이며, 1592년 11월 17일부터 1599년 7월 24일까지 스웨덴의 국왕을 겸하였.

새로운!!: 1594년와 지그문트 3세 바사 · 더보기 »

찰스 1세

스 1세 (Charles I, 1600년 11월 19일 ~ 1649년 1월 30일)는 1625년부터 164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이.

새로운!!: 1594년와 찰스 1세 · 더보기 »

천주실의

《천주실의》(天主實義) 또는 《천주실록》(天主實錄)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의를 변증한 기독교 변증서이며,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출간하였.

새로운!!: 1594년와 천주실의 · 더보기 »

처영

영(處英, ? ~ ?)은 조선 중기의 승려로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이끌고 여러 전투에 참여해 공을 세웠.

새로운!!: 1594년와 처영 · 더보기 »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장군을 모신 사당이.

새로운!!: 1594년와 충장사 (광주광역시) · 더보기 »

칠천도

(七川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섬으로 거제도의 북서쪽에 있고, 면적은 9.87 km2, 해안선의 길이는 25 km이며,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236 명이.

새로운!!: 1594년와 칠천도 · 더보기 »

유정 (1544년)

사명대사 유정(惟政, 1544년 10월 17일 ~1610년 음력 8월 26일 (양력 10월 12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 1912년 촬영된 사명대사 기적비(紀蹟碑). 언젠가 파괴되었다가, 1996년 파편이 건봉사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1594년와 유정 (1544년)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1594년와 유형원 · 더보기 »

유홍 (1524년)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숙, 호는 송당, 시호는 충목, 본관은 기계이.

새로운!!: 1594년와 유홍 (1524년) · 더보기 »

윤국형

윤국형(尹國馨, 1543년 ∼ 161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윤국형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1594년와 윤두수 · 더보기 »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윤휘 · 더보기 »

윤탁연

윤탁연(尹卓然, 1538년 5월 15일 ~ 1594년 5월 28일『윤탁연 묘갈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시호는 헌민(憲敏),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1594년와 윤탁연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1594년와 윤선도 · 더보기 »

융경제

융경제(隆慶帝, 1537년 3월 4일 ~ 1572년 7월 5일)는 명나라의 제12대 황제(재위: 1567년 ~ 1572년).

새로운!!: 1594년와 융경제 · 더보기 »

수르구트

수르구트()는 한티만시 자치구의 중심지이.

새로운!!: 1594년와 수르구트 · 더보기 »

영양군 (왕족)

영양군 이거(永陽君 李岠, 1521년 4월 24일 ~ 1561년 7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중종의 네번째 서자(庶子)이자 창빈 안씨 소생이.

새로운!!: 1594년와 영양군 (왕족) · 더보기 »

오를란도 디 라소

볼로냐의 Civico Museo Bibliografia Musicale가 소장한 오를란도 디 라소의 초상화. 오를란도 디 라소(Orlando di Lasso, 1532년 경 ~ 1594년)는 벨기에의 음악가이.

새로운!!: 1594년와 오를란도 디 라소 · 더보기 »

오다와라 번

오다와라 번()은 에도 시대 사가미 국 아시가라시모 군을 지배했던 번이.

새로운!!: 1594년와 오다와라 번 · 더보기 »

오즈성

수(좌)와 고란 망루(우) 오즈 성()은 에히메현 오즈 시 오즈에 있는 성이.

새로운!!: 1594년와 오즈성 · 더보기 »

오카성

오카 성 오카 성()은 오이타현 다케타 시에 있는 제곽식 산성이.

새로운!!: 1594년와 오카성 · 더보기 »

오쿠보 다다요

오쿠보 다다요(1532년 ~ 1594년 10월 28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까지 활약한 무장이.

새로운!!: 1594년와 오쿠보 다다요 · 더보기 »

오쿠보 다다치카

오쿠보 다다치카(大久保忠隣)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오쿠보 다다치카 · 더보기 »

오시성

수대용의 3층 망루 오시 성()은 사이타마현 교다 시에 있는 평성이.

새로운!!: 1594년와 오시성 · 더보기 »

최동망

동망(崔東望, 1557년 ~ ?)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최동망 · 더보기 »

최립

립(崔岦, 1539년 5월 20일(음력 5월 3일)~ 1612년 8월 9일(음력 7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 겸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최립 · 더보기 »

최진립

립(崔震立, 1568년 ~ 1636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최진립 · 더보기 »

최원 (조선)

원(崔遠, ? ~ ?)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여러 벼슬들을 지내며 임진왜란 때 활약.

새로운!!: 1594년와 최원 (조선) · 더보기 »

어영담

어영담(魚泳潭, 1532년 ~ 1596년 음력 4월 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 휘하의 장수였.

새로운!!: 1594년와 어영담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1594년와 양명학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1594년와 허균 · 더보기 »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유키(1566년 ~ 1658년 11월 12일)는 센고쿠 시대에서 에도 시대 전기에 활동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사나다 노부유키 · 더보기 »

사나다 노부시게

사나다 노부시게(真田信繁, 1567년 - 1615년 음력 5월 7일 (6월 3일))은 일본 센고쿠 시대의 전설적인 무장이.

새로운!!: 1594년와 사나다 노부시게 · 더보기 »

사카이 다다카쓰 (1594년)

사카이 다다카쓰(さかい ただかつ, 1594년 ~ 1647년 11월 13일)는 일본 에도 시대 전기의 후다이 다이묘로, 에치고 국 다카다 번주, 시나노 국 마쓰시로 번주, 데와 국 쇼나이 번의 초대 번주를 역임하였.

새로운!!: 1594년와 사카이 다다카쓰 (1594년) · 더보기 »

쓰가루 다메노부

쓰가루 다메노부 쓰가루 다메노부(1550년 1월 18일 ~ 1607년 3월 29일)는 히로사키 번의 초대 번주이.

새로운!!: 1594년와 쓰가루 다메노부 · 더보기 »

성윤문

성윤문(成允文, ? ~ ?)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여러 벼슬을 지내며 전공을 세웠.

새로운!!: 1594년와 성윤문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594년와 성혼 · 더보기 »

서천 문헌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고려 말의 학자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을 배향하기 위해 만든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1594년와 서천 문헌서원 · 더보기 »

서생포왜성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서생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1594년와 서생포왜성 · 더보기 »

속오군

속오군(束伍軍)은 조선시대의 군대이.

새로운!!: 1594년와 속오군 · 더보기 »

송대립

송대립(宋大立, 1550년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무장.

새로운!!: 1594년와 송대립 · 더보기 »

송여종

송여종(宋汝悰,1553년 ~ 1609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송여종 · 더보기 »

소베츠크 (키로프 주)

시 문장 소베츠크()는 러시아 키로프 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18,167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1594년와 소베츠크 (키로프 주) · 더보기 »

항왜

항왜(降倭)는, 한국에서 항복한 일본인들을 가리키던 용어이.

새로운!!: 1594년와 항왜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594년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알바로 2세

알바로 2세(Álvaro II, 1553년 ~ 1614년 8월 9일)는 16세기와 17세기 시대의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594년와 알바로 2세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1594년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효순

효순(韓孝純, 1543년 ~ 16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

새로운!!: 1594년와 한효순 · 더보기 »

하타 지카시

시(생년 미상(16세기) ~ 1590년대(1594년 사망설, 1596년 사망설, 1597년 사망설이 전함))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하타 지카시 · 더보기 »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1573년)

오스트리아의 아나(1573년 8월 16일 ~ 1598년 2월 2일)는 폴란드 국왕이자 스웨덴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첫 번째 왕비이.

새로운!!: 1594년와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1573년) · 더보기 »

아나 애 단마르크 왕녀

마크의 앤(Anne of Denmark, 1574년 12월 12일 ~ 1619년 3월 2일)은 잉글랜드의 왕 제임스 1세 겸 스코틀랜드의 왕 제임스 6세의 왕비이.

새로운!!: 1594년와 아나 애 단마르크 왕녀 · 더보기 »

아사노 나가아키라

아사노 나가아키라(浅野長晟, 덴쇼 14년 음력 1월 28일(1586년 3월 18일) ~ 간에이 9년 음력 9월 3일(1632년 10월 16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다이묘이.

새로운!!: 1594년와 아사노 나가아키라 · 더보기 »

앙리 4세

앙리 4세(1553년 12월 13일 ~ 1610년 5월 14일)는 프랑스와 나바르 왕국의 왕으로, 카페 왕조의 분가인 부르봉 왕가 최초의 왕이.

새로운!!: 1594년와 앙리 4세 · 더보기 »

신각

신각(申恪, 생년 미상 ~ 1592년)은 강화도호부사(종3품), 상호군(정3품당하관), 경상좌도수군절도사(정3품당상관), 영흥대도호부사(정3품), 경상도방어사(종2품), 경상우도병마절도사(종2품), 팔도부원수(종2품) 등을 지낸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594년와 신각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1594년와 심충겸 · 더보기 »

틴토레토

(Tintoretto, 1518년-1594년)은 이탈리아의 화가이.

새로운!!: 1594년와 틴토레토 · 더보기 »

시마즈 요시히사 (1533년)

시마즈 요시히사 목상 시마즈 요시히사(1533년 3월 4일 ~ 1611년 3월 5일)는 센고쿠 시대에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

새로운!!: 1594년와 시마즈 요시히사 (1533년) · 더보기 »

원각사지

원각사지(圓覺寺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공원 안에 있던 절의 터이.

새로운!!: 1594년와 원각사지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1594년와 원균 · 더보기 »

원천군 (1533년)

원천군 이휘(原川君 李徽, 1533년 ~ 1594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시인이자 문관 겸 무관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1594년와 원천군 (1533년) · 더보기 »

원사웅

원사웅(元士雄, 1575년 ~ (?))은 조선시대 무신, 군인이자 경상우수영 우수사 원균의 아들이.

새로운!!: 1594년와 원사웅 · 더보기 »

홍가신

홍가신(洪可臣, 1541년 ~ 161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홍가신 · 더보기 »

홍성민 (1536년)

홍성민(洪聖民, 1536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1594년와 홍성민 (1536년) · 더보기 »

홍서봉

홍서봉(洪瑞鳳,1572년~16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594년와 홍서봉 · 더보기 »

1590년대

1590년대는 1590년부터 159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594년와 1590년대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94년와 4월 23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94년와 5월 29일 · 더보기 »

6월 15일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594년와 6월 15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