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1661년

색인 1661년

166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75 처지: 도네강, 도쿠가와 미쓰쿠니, 도쿠가와 고산케, 도쿠가와 요리후사,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쓰나에다, 도쿠가와 쓰나시게, 도야마성,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루이 14세, 루이 드 프랑스 왕세자 (1661년), 룩셈부르크의 군주, 만지, 마르그레트루이즈 도를레앙 공녀, 마리 드 메디시스,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34년), 마사소이트, 마쓰다이라 미쓰시게 (도다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가쓰유키 (초대), 마쓰다이라 노리히사, 마쓰다이라 다다치카 (1661년),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1630년), 모리야마 번, 목행선, 몽골, 몽골의 역사, 명나라, 명청 전쟁, 미토 번, 간분, 강희제, 강희제의 섭정, 박형, 가토 아키나리, 가와고에성,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버지니아 식민지, 볼티모어, 브라질, 브라질의 역사, 금평군 (1646년), 금중병공가제법도, 빈토, 김덕령, 김용 (1924년), 김우명, 김주신, 김수항, ..., 김석주, 김성탄, 대만부, 누카다 번, 구쓰키 다네마사, 구왈기야 오보이, 남양군, 난부 나오마사, 나라 숙사하, 낙천군, 다자이 오사무, 다테 무라요리, 횡천면, 스태튼아일랜드, 스웨덴 국립은행, 효강장황후, 효장문황후, 효혜장황후,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메이카의 국장, 자한다르 샤, 펠리페 4세, 장바티스트 콜베르,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포르투갈 제국, 포송령, 이로하히메, 이르쿠츠크, 이간 (1527년), 이경유, 이경한, 이관명, 이노우에 마사시게, 이익한, 이정한, 이케야-장 혜성, 이세정, 이서우 (1633년), 이시카와 후사나가 (1605년), 이원정 (1622년), 인도의 역사, 인경왕후, 일본의 연호, 음력 8월 15일, 음력 9월 3일, 의암, 의원군 (1661년), 익릉,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제1대 옥스포드와 모티머 백작 로버트 할리, 정성공, 정세규, 조선 경종, 조선 효종,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조선왕조실록,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쥘 마자랭, 질란디아 요새 공방전, 창평수, 창원시의 행정 구역,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숙공 이상길 묘역,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코시모 3세 데 메디치, 윤병현, 윤비경, 윤선도, 윌리엄 페티, 태양 사로스 114, 태황태후, 타이완, 타이완의 역사, 투언득, 숭덕제, 숭정 (명), 순치, 순치제, 순치제의 섭정, 수성 일면통과, 숙휘공주, 오다 노부나리, 오카베 노부카쓰, 오타와라 번, 올리버 크롬웰, 호나이 번, 호시나 마사사다, 에제이 칸, 연령군, 허목, 허셔리 소닌, 허후 (1588년),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표도르 3세, 키로브그라드, 사쿠라 번, 삼충사 (평원군), 쓰가루 노부후사, 쓰시마 후추 번, 프랑스의 국기, 프랑스의 총리 목록, 프레시오지테, 성직자성, 서원 철폐, 송준길, 송시열, 소마 마사타네 (1661년), 안 도트리슈, 필리프 1세 도를레앙 공작, 아이작 뉴턴, 아코성, 앙리 4세, 앙리에타 도를레앙 공작부인, 신축, 황도창, 10월 7일, 11월 6일, 1660년대, 1661년 잉글랜드 총선, 3월 9일, 6월 23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5 더) »

도네강

강()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

새로운!!: 1661년와 도네강 · 더보기 »

도쿠가와 미쓰쿠니

와 미쓰쿠니(1628년 ~ 1701년)은 에도 시대 2대 미토 번주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미쓰쿠니 · 더보기 »

도쿠가와 고산케

와 고산케(徳川御三家)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손가문인 오와리 번, 미토 번, 기슈 번의 번주 가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고산케 · 더보기 »

도쿠가와 요리후사

와 요리후사(1603년 9월 15일 ~ 1661년 8월 23일)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요리후사 · 더보기 »

도쿠가와 쓰나요시

와 쓰나요시 (1646년 2월 23일 ~ 1709년 2월 19일)는 에도 막부의 제 5대 쇼군(재위 1680년 ~ 1709년)이.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쓰나요시 · 더보기 »

도쿠가와 쓰나에다

와 쓰나에다(徳川綱條, 1656년 ~ 1718년)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쓰나에다 · 더보기 »

도쿠가와 쓰나시게

와 쓰나시게(1644년 6월 28일 ~ 1678년 10월 29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로서 가이 고후 번 초대 번주를.

새로운!!: 1661년와 도쿠가와 쓰나시게 · 더보기 »

도야마성

모의천수 모의천수와 벚꽃 지토세 문 망루를 본딴 사토 기념미술관 도야마 성은 도야마현 도야마 시 마루노우치에 있는 제곽식 평성이.

새로운!!: 1661년와 도야마성 · 더보기 »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이몬도 몬테쿠콜리(1609년 2월 21일 모데나 레조 공국 파불로넬프리냐노 ~ 1680년 10월 16일 오스트리아 대공국 린츠)는 이탈리아의 군인, 군사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 더보기 »

루이 14세

이 14세(1638년 9월 5일 ~ 1715년 9월 1일)는 프랑스의 왕이자 나바라의 군주이.

새로운!!: 1661년와 루이 14세 · 더보기 »

루이 드 프랑스 왕세자 (1661년)

이 드 프랑스(Louis de France, 1661년 11월 1일 ~ 1711년 4월 14일)는 프랑스의 왕태자(도팽)로, 루이 14세와 마리 테레즈의 장남이.

새로운!!: 1661년와 루이 드 프랑스 왕세자 (1661년) · 더보기 »

룩셈부르크의 군주

룩셈부르크는 922년부터 백작, 공작, 대공이 다스려 왔.

새로운!!: 1661년와 룩셈부르크의 군주 · 더보기 »

만지

만지(万治, まんじ)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661년와 만지 · 더보기 »

마르그레트루이즈 도를레앙 공녀

마르그레트루이즈 도를레앙(), 이탈리아식으로는 마르게리타 루이사(1645년 7월 28일 ~ 1721년 9월 17일)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코시모 3세의 아.

새로운!!: 1661년와 마르그레트루이즈 도를레앙 공녀 · 더보기 »

마리 드 메디시스

마리 드 메디시스(1573년 4월 26일 - 1642년 7월 3일)은 이탈리아 피렌체의 명문귀족 집안인 메디치 가문 출신의 프랑스 왕비로, 앙리 4세의 부인이자 루이 13세의 모후이.

새로운!!: 1661년와 마리 드 메디시스 · 더보기 »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34년)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1652년(벨라스케스 그림)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Mariana de Austria, 1634년 12월 23일 ~ 1696년 5월 16일)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의 두 번째 왕비이.

새로운!!: 1661년와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34년) · 더보기 »

마사소이트

1902년에 찍은 프로필 바위, 아소넷. 현지인 왐파노아그들은 이 상이 마사소이트의 상이라고 믿는다 마사소이트(Massasoit, 일명 "노란 날개"를 의미하는 오우사메퀸, OusaMequin 1581년 - 1661년)는 미국 인디언이며, 파카노켓의 추장이자, 왐파노아그 연맹체의 추장이.

새로운!!: 1661년와 마사소이트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미쓰시게 (도다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미쓰시게(1622년 ~ 1668년 9월 6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미쓰시게 (도다 마쓰다이라가) · 더보기 »

마쓰다이라 가쓰유키 (초대)

마쓰다이라 가쓰유키(1661년 9월 8일 ~ 1728년 3월 24일)는 에도 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하타모토,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가쓰유키 (초대)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노리히사

마쓰다이라 노리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노리히사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다다치카 (1661년)

마쓰다이라 다다치카(1661년 5월 17일 ~ 1728년 6월 8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다다치카 (1661년) · 더보기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마쓰다이라 요리모토(松平頼元)는 히타치 누카다 번 초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 더보기 »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1630년)

마쓰다이라 요리타카(1630년 1월 12일 ~ 1707년 12월 23일)는 에도 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1630년) · 더보기 »

모리야마 번

모리야마 번()은 일본 에도 시대에 이와키노쿠니 다무라 군, 지금의 후쿠시마현 고리야마 시에 위치했던 번이며, 미토 번의 지번이.

새로운!!: 1661년와 모리야마 번 · 더보기 »

목행선

목행선(睦行善, 1609년 ∼ 1661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661년와 목행선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1661년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의 역사

몽골의 역사는 부족 시대 이후 칭기스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하고 청나라의 통치기를 겪은 몽골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이.

새로운!!: 1661년와 몽골의 역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1661년와 명나라 · 더보기 »

명청 전쟁

명청 전쟁(明清戰爭)은 17세기 중국 대륙의 패권을 두고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1661년와 명청 전쟁 · 더보기 »

미토 번

미토 번()은 일본 에도 시대 히타치 국 내에 있던 번으로, 지금의 이바라키현 중부・북부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1661년와 미토 번 · 더보기 »

간분

분(寛文, かんぶん)은,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661년와 간분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1661년와 강희제 · 더보기 »

강희제의 섭정

이 문서는 청나라 성조 강희제의 섭정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1661년와 강희제의 섭정 · 더보기 »

박형

박형(朴泂, ?~167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며 본관은 상주이.

새로운!!: 1661년와 박형 · 더보기 »

가토 아키나리

아키나리(1592년 ~ 1661년 2월 20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아이즈 번의 2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가토 아키나리 · 더보기 »

가와고에성

혼마루 어전 가와고에 성()은 사이타마현 가와고에 시에 있는 평산성이.

새로운!!: 1661년와 가와고에성 · 더보기 »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추기경의 초상화 베르나르디노 스파다(1594년 4월 21일 - 1661년 11월 10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자 로마의 스파다궁 안에 상당량의 예술품을 소장한 예술의 후원자이.

새로운!!: 1661년와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 더보기 »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베트남의 황태후는 딘 왕조가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국과 같이 황제의 모후를 황태후라고 부른.

새로운!!: 1661년와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버지니아 식민지

1609년 버지니아 식민지의 영토 버지니아 식민지(Colony of Virginia)는 북미 대륙에 설립된 영국령 식민지이.

새로운!!: 1661년와 버지니아 식민지 · 더보기 »

볼티모어

Federal Hill로부터 보이는 볼티모어의 Inner Harbor 풍경 볼티모어(Baltimore)는 미국 메릴랜드 주의 독립시이며, 패텁스코 강 하류에 위치해 있. 2005년 현재 인구는 641,943명이.

새로운!!: 1661년와 볼티모어 · 더보기 »

브라질

브라질 연방공화국(), 줄여서 브라질()은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1661년와 브라질 · 더보기 »

브라질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토착민이 살았지만 브라질의 역사는 보통 포르투갈인이 건너온 뒤의 역사를 일컫.

새로운!!: 1661년와 브라질의 역사 · 더보기 »

금평군 (1646년)

평군 이제(錦平君 李濟, 1646년 ∼ 1708년)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성군 이해령(珍城君 李海齡)의 6남이.

새로운!!: 1661년와 금평군 (1646년) · 더보기 »

금중병공가제법도

중병공가제법도()는 에도 막부(江戶幕府)가 천황과 구게에 대한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정한 법령이.

새로운!!: 1661년와 금중병공가제법도 · 더보기 »

빈토

빈토()은 후 레 왕조 제18대 황제 신종(神宗)이 복위 후에 쓴 세 번째 연호이자 여섯 번째 연호이.

새로운!!: 1661년와 빈토 · 더보기 »

김덕령

덕령(金德齡, 1567년~1596년 8월)은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김덕령 · 더보기 »

김용 (1924년)

융(1924년 2월 6일 ~)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의 무협 소설 작가이며 언론인이.

새로운!!: 1661년와 김용 (1924년)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1661년와 김우명 · 더보기 »

김주신

주신(金柱臣, 1661년 음력 10월 4일 ~ 1721년 음력 7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661년와 김주신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1661년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1661년와 김석주 · 더보기 »

김성탄

성탄(金聖歎, 중국어: 진성탄, 1610년 4월 17일 ~ 1661년 8월 7일)은 중국 명말 청초의 문예비평가이.

새로운!!: 1661년와 김성탄 · 더보기 »

대만부

만부(臺灣府)는 청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기관이.

새로운!!: 1661년와 대만부 · 더보기 »

누카다 번

번()은 일본 에도 시대 히타치 국 나카 군(현 이바라키현 나카 시) 내에 있던 번이.

새로운!!: 1661년와 누카다 번 · 더보기 »

구쓰키 다네마사

쓰키 다네마사(朽木稙昌)는 히타치 쓰치우라 번 제2대 번주, 단바 후쿠치야마 번 초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구쓰키 다네마사 · 더보기 »

구왈기야 오보이

200px 구왈기야 오보이(1610년경 ~ 1669년)는 청나라 초기의 군인, 대신이자 정치가(강희제의 섭정)였.

새로운!!: 1661년와 구왈기야 오보이 · 더보기 »

남양군

양군(南陽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화성시 서부(남양읍 등)와 안산시 대부동,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일대이.

새로운!!: 1661년와 남양군 · 더보기 »

난부 나오마사

부 나오마사(1661년 6월 2일 ~ 1699년 4월 15일)는 하치노헤 번의 2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난부 나오마사 · 더보기 »

나라 숙사하

숙사하(1607년경 ~ 1669년)는 청나라 초기의 대신이자 정치가(강희제의 섭정)이.

새로운!!: 1661년와 나라 숙사하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1661년와 낙천군 · 더보기 »

다자이 오사무

자이 오사무(1909년 6월 19일 ~ 1948년 6월 13일)는 일본의 소설가이.

새로운!!: 1661년와 다자이 오사무 · 더보기 »

다테 무라요리

무라요리(1661년 9월 18일 ~ 1722년 8월 10일)는 미즈사와 번의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다테 무라요리 · 더보기 »

횡천면

횡천면(橫川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새로운!!: 1661년와 횡천면 · 더보기 »

스태튼아일랜드

스태튼아일랜드(Staten Island)는 미국 뉴욕 주의 뉴욕에 속하는 구역이.

새로운!!: 1661년와 스태튼아일랜드 · 더보기 »

스웨덴 국립은행

스웨덴 국립은행 본부 스웨덴 국립은행()은 1668년에 창설된 스웨덴의 중앙은행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중앙은행이.

새로운!!: 1661년와 스웨덴 국립은행 · 더보기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 퉁기야씨(孝康章皇后 佟佳氏,, 숭덕(崇德) 5년 2월 8일(1640년 2월 29일) ~ 강희(康熙) 2년 2월 11일(1663년 3월 20일))는 청나라의 제3대 황제 순치제(順治帝)의 세 번째 황후(추존황후)이며 후에 순치제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오르는 강희제(康熙帝)의 생모이.

새로운!!: 1661년와 효강장황후 · 더보기 »

효장문황후

효장문황후(孝莊文皇后,, 명(明) 만력(萬曆) 41년 2월 8일(1613년 3월 28일) ~ 강희(康熙) 26년 12월 25일(1688년 1월 27일))는 청 제국 태종(太宗) 숭덕제의 후궁이며, 순치제의 모후로서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

새로운!!: 1661년와 효장문황후 · 더보기 »

효혜장황후

효혜장황후 (孝惠章皇后,, 숭덕(崇德) 6년 10월 3일(1641년 11월 5일) ~ 강희(康熙) 56년 12월 6일(1718년 1월 7일))는 중국 청나라 순치제의 두 번째 황후이.

새로운!!: 1661년와 효혜장황후 · 더보기 »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작(子爵)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Henri de la Tour d'Auvergne, Vicomte de Turenne, 1611년 9월 11일 - 1675년 7월 27일)는 저명한 군인이자 프랑스 원수(元帥;Marshal of France)로써 흔히 튀렌(Turenne)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 유명한 가문인 라 투르 도베르뉴 가문 출신으로 프랑스 군사 역사상 단 6명만 임명된 프랑스 대원수(Marshal General of France)중 1명이었.

새로운!!: 1661년와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 더보기 »

자메이카의 국장

자메이카의 국장 자메이카의 국장은 영국의 식민지 시대였던 1661년에 제정되었.

새로운!!: 1661년와 자메이카의 국장 · 더보기 »

자한다르 샤

자한다르 샤(재위:1661년 5월 10일 - 1713년 2월 12일)는 1712년부터 1713년 사이의 짧은 기간 동안 무굴 제국을 통치한 황제였.

새로운!!: 1661년와 자한다르 샤 · 더보기 »

펠리페 4세

리페 4세(Felipe IV, 1605년 4월 8일 ~ 1665년 9월 17일)는 스페인 국왕, 포르투갈 국왕, 나폴리 국왕, 시칠리아 국왕이.

새로운!!: 1661년와 펠리페 4세 · 더보기 »

장바티스트 콜베르

장바티스트 콜베르(1619년 8월 29일 ~ 1683년 10월 6일)는 프랑스의 중상주의 정치가로 루이 14세 아래에서 1665년부터 1683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였.

새로운!!: 1661년와 장바티스트 콜베르 · 더보기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리스티안 하위헌스(1629년 4월 14일 ~ 1695년 7월 8일)는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더보기 »

포르투갈 제국

르투갈 식민지 문장 포르투갈 제국의 영역(1415년~1999년)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포르투갈 제국()은 브라질과 앙골라,모잠비크와 동티모르,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등을 식민지로 삼고 스페인 제국과 식민지 경쟁을 하던 국가였.

새로운!!: 1661년와 포르투갈 제국 · 더보기 »

포송령

송령(蒲松齡, 푸쑹링, 1640년 6월 5일 ~ 1715년 2월 25일)은 중국 청나라 초기의 문관(文官), 무관(武官), 소설가, 극작가이.

새로운!!: 1661년와 포송령 · 더보기 »

이로하히메

이로하히메 이로하히메(五郎八姫, 1594년 8월 2일 ~ 1661년 6월 4일)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6남인 마쓰다이라 다다테루의 정실이.

새로운!!: 1661년와 이로하히메 · 더보기 »

이르쿠츠크

이르쿠츠크()는 시베리아에 있는 도시이자,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1661년와 이르쿠츠크 · 더보기 »

이간 (1527년)

이간(李幹, 1527년 3월 6일 ~ 1598년 3월 3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관이.

새로운!!: 1661년와 이간 (1527년) · 더보기 »

이경유

이경유(李慶裕, 1562년 8월 26일-1620년 11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자(字)는 자수(子綬) 또는 중유(仲裕)이.

새로운!!: 1661년와 이경유 · 더보기 »

이경한

이경한(李經漢, 1620년 - 166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661년와 이경한 · 더보기 »

이관명

이관명(1661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661년와 이관명 · 더보기 »

이노우에 마사시게

이노우에 마사시게(1585년 ~ 1661년 3월 27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이노우에 마사시게 · 더보기 »

이익한

이익한(李翊漢, 1609년 - 166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이.

새로운!!: 1661년와 이익한 · 더보기 »

이정한

이정한(李挺漢, 1601년 9월 25일 - 1671년 8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

새로운!!: 1661년와 이정한 · 더보기 »

이케야-장 혜성

2002년 4월 1일 촬영한 이케야-장 혜성 이케야-장 혜성(공식 이름 153P/Ikeya-Zhang)은 2002년 일본의 이케야 가오루와 중국의 장다칭이 독립적으로 발견한 혜성이.

새로운!!: 1661년와 이케야-장 혜성 · 더보기 »

이세정

이세정(李世禎, 1661년 - 172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1661년와 이세정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1661년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시카와 후사나가 (1605년)

이시카와 후사나가(1605년 ~ 1661년 12월 13일)는 이세 간베 번 초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이시카와 후사나가 (1605년) · 더보기 »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새로운!!: 1661년와 이원정 (1622년) · 더보기 »

인도의 역사

인도의 역사는 호모 에렉투스가 생활하던 시기인 50만년 전까지 소급될 수 있. 호모 사피엔스는 7만5천년 전 타밀 나두 지방에서 생활하기 시작하였.

새로운!!: 1661년와 인도의 역사 · 더보기 »

인경왕후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 1661년 10월 25일(음력 9월 3일) ~ 1680년 12월 16일(음력 10월 26일))는 조선의 왕 숙종의 정비이.

새로운!!: 1661년와 인경왕후 · 더보기 »

일본의 연호

일본의 연호()는 와레키(和曆)로 지금까지 일본에서 사용되는 연호이.

새로운!!: 1661년와 일본의 연호 · 더보기 »

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15일은 음력 8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1661년와 음력 8월 15일 · 더보기 »

음력 9월 3일

음력 9월 3일은 음력 9월의 3번째 날이.

새로운!!: 1661년와 음력 9월 3일 · 더보기 »

의암

의암(義巖)은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내 촉석루 아래에 남강변에 있는 바위로, 제2차 진주성 전투 직후 1593년 7월 29일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를 껴안고 남강에 빠져 죽은 바위이.

새로운!!: 1661년와 의암 · 더보기 »

의원군 (1661년)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 1661년 6월 13일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 출신 성리학자, 문인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

새로운!!: 1661년와 의원군 (1661년) · 더보기 »

익릉

익릉(翼陵)은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의 정비인 인경왕후의 능이.

새로운!!: 1661년와 익릉 · 더보기 »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N'Gangue M'voumbe Niambi, 1630년 ~ 1689년 12월 15일)는 17세기 시대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총리)을 지낸 전력이 있는 로앙고 군주국 제17대 군왕이었.

새로운!!: 1661년와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 더보기 »

제1대 옥스포드와 모티머 백작 로버트 할리

버트 할리 백작(Robert Harley, 1st Earl of Oxford and Mortimer, KG, 1661년 12월 5일~1724년 5월 21일)은 영국 스튜어트 왕가의 정치가이.

새로운!!: 1661년와 제1대 옥스포드와 모티머 백작 로버트 할리 · 더보기 »

정성공

정성공 정성공의 석상, 샤먼 시 정성공의 무덤, 난안 시 정성공(鄭成功, 정청궁,, 1624년 ~ 1662년)은 중국 명·청 교체기에 활동했던 명나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1661년와 정성공 · 더보기 »

정세규

정세규(鄭世規, 1583년 ~ 166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661년와 정세규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1661년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주세페 카스틸리오네(1688년 7월 19일 ~ 1766년 7월 16일)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화가이.

새로운!!: 1661년와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1661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1661년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쥘 마자랭

마자랭 쥘 레몽 마자랭 드 레델 마옌 느베르 추기공작(1602년 6월 14일 ~ 1661년 3월 9일) 은 이탈리아 출신의 추기경, 정치가로, 루이 14세 치하의 프랑스에서 수상을.

새로운!!: 1661년와 쥘 마자랭 · 더보기 »

질란디아 요새 공방전

아 요새 공방전(정체자: 정성공공대지역(鄭成功攻台之役); 문자 그대로 "정성공의 타이완 공략을 뜻한다.")는 1661년에서 1662년 사이에 벌어졌으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타이완 지배를 종결시키고 동녕 왕국(東寧王國;Kingdom of Tungning's)이 타이완 섬의 지배권을 확립하기 시작.

새로운!!: 1661년와 질란디아 요새 공방전 · 더보기 »

창평수

창평수 이준(昌平守 李浚, 1653년 ~ ?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양군 이담령(珍陽君 李聃齡)의 5남이.

새로운!!: 1661년와 창평수 · 더보기 »

창원시의 행정 구역

창원시의 행정 구역은 5개 일반구, 2읍 6면 49동(법정동 194개)으로 구성되어 있. 창원시의 면적은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744.26km2이며, 2012년 1월 1일 기준, 2012년 7월 13일 확인,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093,329명이고, 세대수는 408,227가구이.

새로운!!: 1661년와 창원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장군을 모신 사당이.

새로운!!: 1661년와 충장사 (광주광역시) · 더보기 »

충숙공 이상길 묘역

충숙공 이상길 묘역(忠肅公 李尙吉 墓域)은 조선 중기의 문신 충숙공 이상길의 묘역이.

새로운!!: 1661년와 충숙공 이상길 묘역 · 더보기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를로스 2세(1661년 11월 6일 ~ 1700년 11월 1일)는 스페인의 국왕이.

새로운!!: 1661년와 카를로스 2세 (스페인) · 더보기 »

코시모 3세 데 메디치

시모 3세 데 메디치(Cosimo III de' Medici, 1642년 8월 14일 ~ 1723년 10월 31일)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군주이.

새로운!!: 1661년와 코시모 3세 데 메디치 · 더보기 »

윤병현

윤병현(尹昞賢, 1920년 10월 5일 ∼ 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과 육군 제2군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1661년와 윤병현 · 더보기 »

윤비경

윤비경(尹飛卿, 1607년 ~ 1680년 12월 29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윤비경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1661년와 윤선도 · 더보기 »

윌리엄 페티

섬네일 윌리엄 페티 경(Sir William Petty, 1623년 5월 26일~1687년 12월 16일)은 영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윌리엄 페티 · 더보기 »

태양 사로스 114

사로스 114의 일식 에니메이션 1715년 5월 3일 일식. 태양 사로스 114의 60번째 일식이었다. 태양 사로스 114는 18년 11일 마다 반복되는 사로스 주기의 한 유형이.

새로운!!: 1661년와 태양 사로스 114 · 더보기 »

태황태후

황태후(太皇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1661년와 태황태후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1661년와 타이완 · 더보기 »

타이완의 역사

이완의 역사(臺灣의 歷史)가 문헌상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624년에 네덜란드 상인들이 타이완 섬(臺灣島)에 진출하여 점거하면서부터이.

새로운!!: 1661년와 타이완의 역사 · 더보기 »

투언득

언득()은 베트남 막 왕조 제10대 군주 막낀부(莫敬宇)의 연호이.

새로운!!: 1661년와 투언득 · 더보기 »

숭덕제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한이자, 청 제국의 개국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

새로운!!: 1661년와 숭덕제 · 더보기 »

숭정 (명)

숭정(崇禎)은 명나라 숭정제의 연호이.

새로운!!: 1661년와 숭정 (명) · 더보기 »

순치

순치(順治)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부터 1661년까지 18년 동안 쓰였.

새로운!!: 1661년와 순치 · 더보기 »

순치제

순치제(順治帝, 숭덕(崇德) 3년 음력 1월 30일 (1638년 3월 15일) ~ 순치(順治) 18년 음력 1월 7일 (1661년 2월 5일))는 청 제국의 제3대 황제(재위 1643년 ~ 1661년)이.

새로운!!: 1661년와 순치제 · 더보기 »

순치제의 섭정

이 문서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섭정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1661년와 순치제의 섭정 · 더보기 »

수성 일면통과

2016년 5월 9일의 수성 일면통과. 2006년 11월 8일의 수성 일면통과. 흑점 #921,922,923이 함께 보인다. 수성 일면통과는 수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정확히 위치할 때 발생.

새로운!!: 1661년와 수성 일면통과 · 더보기 »

숙휘공주

숙휘공주(淑徽公主, 1642년 ~ 1696년 10월 27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4녀이.

새로운!!: 1661년와 숙휘공주 · 더보기 »

오다 노부나리

오다 노부나리(おだ のぶなり).

새로운!!: 1661년와 오다 노부나리 · 더보기 »

오카베 노부카쓰

오카베 노부카쓰 오카베 노부카쓰(1597년 ~ 1668년 11월 23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오카베 노부카쓰 · 더보기 »

오타와라 번

오타와라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시모쓰케 국 나스 군을 지배했던 번이.

새로운!!: 1661년와 오타와라 번 · 더보기 »

올리버 크롬웰

의회 광장에 있는 올리버 크롬웰 동상 올리버 크롬웰(1599년 4월 25일 - 1658년 9월 3일)은 영국의 정치가이며 군인이.

새로운!!: 1661년와 올리버 크롬웰 · 더보기 »

호나이 번

호나이 번()은 일본 에도 시대 히타치 국 구지 군(현 이바라키현 구지 군 다이고 정 호나이) 내에 있던 번이.

새로운!!: 1661년와 호나이 번 · 더보기 »

호시나 마사사다

호시나 마사사다 호시나 마사사다(1588년 6월 14일 ~ 1661년 12월 22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하타모토, 다이묘이.

새로운!!: 1661년와 호시나 마사사다 · 더보기 »

에제이 칸

에제이 칸 (額哲汗, ? ~ 1641년, 재위: 1634년 ~ 1635년)은 몽골 제국과 북원 최후의 보르지긴 대칸이.

새로운!!: 1661년와 에제이 칸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1661년와 연령군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1661년와 허목 · 더보기 »

허셔리 소닌

셔리 소닌(1601년 ~ 1667년)은 청 제국 초기의 대신이자 정치가(강희제의 섭정)로 청 제국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1661년와 허셔리 소닌 · 더보기 »

허후 (1588년)

후(許厚, 1588년 ~ 1661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1661년와 허후 (1588년) · 더보기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엘리자베스 스튜어트(Elizabeth Stuart, 1596년 8월 19일 ~ 1662년 2월 13일)은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의 아내이.

새로운!!: 1661년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 더보기 »

표도르 3세

르 3세(1661년 6월 9일 모스크바 ~ 1682년 5월 7일 모스크바)는 러시아의 차르이자 로마노프 왕조의 3대 황제(재위: 1676년 2월 8일 ~ 1682년 5월 7일)이.

새로운!!: 1661년와 표도르 3세 · 더보기 »

키로브그라드

브그라드()는 스베르들롭스크 주의 도시이.

새로운!!: 1661년와 키로브그라드 · 더보기 »

사쿠라 번

사쿠라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시모사 국 인바 군 내에 있던 번으로, 지금의 지바현 사쿠라 시에 있었.

새로운!!: 1661년와 사쿠라 번 · 더보기 »

삼충사 (평원군)

평원 삼충사(平原 三忠祠)는 평안남도 평원군에 있는 사우이.

새로운!!: 1661년와 삼충사 (평원군) · 더보기 »

쓰가루 노부후사

쓰가루 노부후사 쓰가루 노부후사(1620년 10월 30일 ~ 1662년 11월 2일)는 에도 시대의 하타모토로, 구로이시 쓰가루 가문의 초대 당주이.

새로운!!: 1661년와 쓰가루 노부후사 · 더보기 »

쓰시마 후추 번

쓰시마 후추 번()은 이즈하라 번(厳原藩)이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는 쓰시마 번으로 불릴 때가 많. 일본 에도(江戶) 시대의 300번(藩)의 하나로, 쓰시마 전역과 규슈 일부를 통치하였.

새로운!!: 1661년와 쓰시마 후추 번 · 더보기 »

프랑스의 국기

랑스의 국기는 파랑, 하양, 빨강의 세 색으로 된 세로 삼색기이.

새로운!!: 1661년와 프랑스의 국기 · 더보기 »

프랑스의 총리 목록

이 문서는 역대 프랑스의 총리 목록을 다루고 있.

새로운!!: 1661년와 프랑스의 총리 목록 · 더보기 »

프레시오지테

시오지테(préciosité)는 17세기 프랑스 문학에서의 바로크 풍조의 한 갈래로서, 1620-1660년대 당시 살롱의 귀부인들 사이에서 유행한, 귀족적, 유미주의적인 어문학 및 생활 전반의 미학관이.

새로운!!: 1661년와 프레시오지테 · 더보기 »

성직자성

성직자성(聖職者省)은 수도회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사제들과 부제들에 관한 문제와 감독을 책임지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1661년와 성직자성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1661년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1661년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마 마사타네 (1661년)

소마 마사타네(1661년 8월 1일 ~ 1728년 11월 7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소마 나카무라 번의 5대 번주이.

새로운!!: 1661년와 소마 마사타네 (1661년) · 더보기 »

안 도트리슈

안 도트리슈(Anne of Austria,, 1601년 9월 22일 - 1666년 1월 20일)는 프랑스와 나바르의 왕 루이 13세의 왕비로, 루이 14세의 어머니이.

새로운!!: 1661년와 안 도트리슈 · 더보기 »

필리프 1세 도를레앙 공작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Philippe d'Orléans) 또는 필리프 드 프랑스(Philippe de France, 1640년 9월 21일 ~ 1701년 6월 8일)는 루이 13세와 안 도트리슈 사이에서 태어난 차남으로, 루이 14세의 동생이.

새로운!!: 1661년와 필리프 1세 도를레앙 공작 · 더보기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 경(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1727년 3월 31일,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1727년 3월 20일)은 잉글랜드의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1661년와 아이작 뉴턴 · 더보기 »

아코성

오테 문과 오테 망루 아코 성()은 일본 효고현 아코 시에 있는 변형윤곽식 평성이.

새로운!!: 1661년와 아코성 · 더보기 »

앙리 4세

앙리 4세(1553년 12월 13일 ~ 1610년 5월 14일)는 프랑스와 나바르 왕국의 왕으로, 카페 왕조의 분가인 부르봉 왕가 최초의 왕이.

새로운!!: 1661년와 앙리 4세 · 더보기 »

앙리에타 도를레앙 공작부인

앙리에타 도를레앙 공작부인(Henrietta d'Orléans), 영어식으로 헨리에타 앤 스튜어트(Henrietta Anne Stuart, 1644년 6월 16일 ~ 1670년 6월 30일)는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첫 번째 아내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국왕 찰스 2세와 제임스 2세의 여동생이.

새로운!!: 1661년와 앙리에타 도를레앙 공작부인 · 더보기 »

신축

신축(辛丑)은 60간지 중 38번째이.

새로운!!: 1661년와 신축 · 더보기 »

황도창

황도창(黃道昌, ?년 - 167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수사(水使) 등을.

새로운!!: 1661년와 황도창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61년와 10월 7일 · 더보기 »

11월 6일

1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0번째(윤년일 경우 3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61년와 11월 6일 · 더보기 »

1660년대

1660년대는 1660년부터 166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661년와 1660년대 · 더보기 »

1661년 잉글랜드 총선

1661년, 찰스 2세는 왕정복고 후 의회를 소집해 왕은 의회 활동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선포함으로써 의회와의 조심스런 한계를.

새로운!!: 1661년와 1661년 잉글랜드 총선 · 더보기 »

3월 9일

3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8번째(윤년일 경우 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61년와 3월 9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61년와 6월 23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