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1722년

색인 1722년

172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1 처지: 돈숙황귀비, 도네강, 도자와 마사노부 (1640년), 도자와 마사노부 (1720년), 도자와 마사요시 (1719년), 도키 요리타카, 루이스 1세 (스페인),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 마키노 야스시게 (에도 시대), 마쓰다이라 나가쓰네, 마쓰다이라 노리사토,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676년), 마하치칼라, 모라비아 형제회, 모리 나가나오, 목호룡, 몽골, 몽골의 역사, 미시시피 계획, 감라스탄, 백시구, 바오타이, 바솔로뮤 로버츠, 강희, 강희제, 강희제의 섭정, 박세당, 가메야마 번 (단바 국), 가미노야마 번, 가사마 번, 건륭제,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광해군비당의, 그바르데이스크, 김종정, 김창집, 김창업, 김성행, 김한록, 김시묵, 김원행, 대리청정, 대빈묘, 교호, 구세프, 나이토 마사사다, 나이토 마사아쓰, 뉴올리언스, 다테 무라요리, 니즈니타길, ..., 니콜라 뤼크네르, 니와 다카히로, 효강장황후, 효공인황후, 효단문황후, 효혜장황후, 우에스기 무네노리, 우에스기 가쓰치카, 우에스기 요시노리, 요네자와 번, 요네쿠라 다다스케, 요한 쿠나우, 임인,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이덕주 (1617년), 이만성 (1659년), 이명회, 이명익, 이명좌,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건창, 이노우에 마사미네, 이재항 (1678년), 이이명, 이은 (1722년), 이중환, 이형종 (1706년), 이사, 이세복, 이원정 (1622년), 이홍매, 이홍술, 의암, 의원군 (1661년),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 제2대 그래프턴 공작 찰스 피츠로이, 제국의 목록, 제임스 브래들리, 제임스 오글소프, 정발 (1553년), 정빈 이씨, 정존겸, 조정만, 조태채, 조피 도로테아 폰 하노버 왕녀, 조선 경종, 조선 영조, 존 버고인,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중가르 칸국,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진주 청곡사 영산회괘불탱, 참근교대, 유나가야 번, 윤록, 윤잉, 윤증, 윤상 (청나라), 윤사, 윤세겸, 태양 사로스 111, 태양 사로스 113, 순치제, 영평군 (1636년), 오규 소라이, 오다 노부야스 (1678년), 옹정제, 옹화궁, 어유봉, 양산 통도사 동종 및 종거, 엘리제궁, 사이 온, 사파비 왕조, 사화, 쓰치야 마사나오, 프레데리크 4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서덕수, 앨라배마주, 야마우치 도요타다 (1722년), 안도 노부토모, 안과,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수첩,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코 번, 아오야마 다다시게 (1654년), 아시스와 갈라테아, 퉁기야 롱코도, 신임, 신임사화, 원국봉행, 홍인한, 완도 객사, 홋타 마사타카, 와키사카 야스테루, 1720년대, 17세기, 18세기, 1월 1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1 더) »

돈숙황귀비

숙황귀비 연씨(敦肅皇貴妃 年氏, 1697년 ~ 1725년 11월)는 중국 청나라의 제5대 황제인 옹정제의 후궁이며 청나라 육군 군인 겸 정치가 연갱요 장군의 이복 서매(異服 庶妹, 배다른 누이동생.)이.

새로운!!: 1722년와 돈숙황귀비 · 더보기 »

도네강

강()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

새로운!!: 1722년와 도네강 · 더보기 »

도자와 마사노부 (1640년)

자와 마사노부(1640년 11월 16일 ~ 1722년 3월 19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신조 번의 2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도자와 마사노부 (1640년) · 더보기 »

도자와 마사노부 (1720년)

자와 마사노부(1720년 ~ 1765년 11월 3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신조 번의 5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도자와 마사노부 (1720년) · 더보기 »

도자와 마사요시 (1719년)

자와 마사요시(1719년 ~ 1745년 9월 9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신조 번의 4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도자와 마사요시 (1719년) · 더보기 »

도키 요리타카

요리타카(1642년 9월 26일 ~ 1722년 10월 31일)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가미노야마 번의 2대 번주, 노오카 번주, 다나카 번의 초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도키 요리타카 · 더보기 »

루이스 1세 (스페인)

이스 1세 (1707년 8월 25일 ~ 1724년 8월 31일, 재위:1724년 1월 15일 ~ 1724년 8월 31일)은 펠리페 5세의 장자로 7개월간 스페인의 왕이었.

새로운!!: 1722년와 루이스 1세 (스페인) · 더보기 »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1652년 5월 27일 ~ 1722년 12월 8일)는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두 번째 아내이.

새로운!!: 1722년와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 · 더보기 »

마키노 야스시게 (에도 시대)

마키노 야스시게(1677년 10월 18일 ~ 1723년 1월 4일)는 에치고 요이타 번 제3대 번주, 시나노 고모로 번 초대 번주를.

새로운!!: 1722년와 마키노 야스시게 (에도 시대)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나가쓰네

마쓰다이라 나가쓰네(1716년 4월 23일 ~ 1779년 5월 6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가미노야마 번의 2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마쓰다이라 나가쓰네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노리사토

마쓰다이라 노리사토(松平乗邑)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마쓰다이라 노리사토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676년)

마쓰다이라 노부미치(1676년 10월 31일 ~ 1722년 10월 31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로, 오키도메 번주, 니와세 번주, 가미노야마 번의 초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676년) · 더보기 »

마하치칼라

마하치칼라()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수도이고, 카스피 해에 접해 있. 인구는 약 33만 명(2001년)이.

새로운!!: 1722년와 마하치칼라 · 더보기 »

모라비아 형제회

모라비아 교회 모라비아 형제회()는 18세기 보헤미아에서 등장한 복음주의자들이.

새로운!!: 1722년와 모라비아 형제회 · 더보기 »

모리 나가나오

모리 나가나오(1673년 1월 9일 ~ 1722년 10월 4일)는 빗추 니시에바라 번 제2대 번주, 하리마 아코 번 초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모리 나가나오 · 더보기 »

목호룡

목호룡(睦虎龍, 1684년~1724년)은 조선 경종 때의 지관(地官)으로, 신임옥사의 고변자이.

새로운!!: 1722년와 목호룡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1722년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의 역사

몽골의 역사는 부족 시대 이후 칭기스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하고 청나라의 통치기를 겪은 몽골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이.

새로운!!: 1722년와 몽골의 역사 · 더보기 »

미시시피 계획

1720년 12월, 빌로옥시에 있는 존 로의 캠프 미시시피 계획(Compagnie du Mississippi)는 18세기 초반에 북미에 식민지를 건설한 프랑스가 세운 미시시피 강 주변의 개발 무역 계획이.

새로운!!: 1722년와 미시시피 계획 · 더보기 »

감라스탄

스탄 감라스탄()은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의 구 시가지이.

새로운!!: 1722년와 감라스탄 · 더보기 »

백시구

백시구(白時耉, 1649년 ~ 1722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자 충신이.

새로운!!: 1722년와 백시구 · 더보기 »

바오타이

바오타이()은 후 레 왕조 제23대 황제 유종(裕宗)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1722년와 바오타이 · 더보기 »

바솔로뮤 로버츠

은 준남작 바솔로뮤 로버츠(Bartholomew "Barti Ddu" Roberts, 1682년 5월 17일 ~ 1722년 2월 10일)는 18세기에 활동했던 웨일스 출신의 해적이.

새로운!!: 1722년와 바솔로뮤 로버츠 · 더보기 »

강희

강희(康熙,, Elhe Taifin)는 청나라 성조 강희제의 연호로 1662년부터 1722년까지 61년간 쓰인 연호이.

새로운!!: 1722년와 강희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1722년와 강희제 · 더보기 »

강희제의 섭정

이 문서는 청나라 성조 강희제의 섭정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1722년와 강희제의 섭정 · 더보기 »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새로운!!: 1722년와 박세당 · 더보기 »

가메야마 번 (단바 국)

메야마 번()은 일본 에도 시대 단바 국 내에 있던 번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토부 가메오카 시에 위. 산인도의 입구에 있었기 때문에 에도 막부에서 특히 중요시되었.

새로운!!: 1722년와 가메야마 번 (단바 국) · 더보기 »

가미노야마 번

미노야마 번()은 일본 에도 시대의 번으로, 데와 국 무라야마 군 가미노야마 주변을 차지하였.

새로운!!: 1722년와 가미노야마 번 · 더보기 »

가사마 번

사마 번()은 에도 시대 히타치 국(常陸国) 이바라키 군(茨城郡) 가사마(笠間)에 존재(현 이바라키현 가사마 시)한 번이.

새로운!!: 1722년와 가사마 번 · 더보기 »

건륭제

보친왕 시절의 건륭제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이.

새로운!!: 1722년와 건륭제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1722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광해군비당의

광해군비단배자는 조선 15대 임금 광해군의 왕비인 중궁 유씨(柳氏, 1576∼1623)의 저고리를 말. 청삼(靑衫)이라고도 하는 이 옷은 저고리 위에 덧입는, 단추가 없는 조끼 모양의 배자(褙子)인데 중궁 유씨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로 광해군이 폐위될 때 함께 폐위되었.

새로운!!: 1722년와 광해군비당의 · 더보기 »

그바르데이스크

바르데이스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주의 도시이.

새로운!!: 1722년와 그바르데이스크 · 더보기 »

김종정

종정(金鍾正, 1722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김종정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1722년와 김창집 · 더보기 »

김창업

연행록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은 조선 후기의 화가·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김창업 · 더보기 »

김성행

성행(金省行, 1696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경종 당시 연잉군을 추대하려 했다가 서덕수 등과 함께 사형당.

새로운!!: 1722년와 김성행 · 더보기 »

김한록

록(金漢祿, 1722년 ~ 1790년)는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여수(汝綏)이며 호는 한간(寒澗)이.

새로운!!: 1722년와 김한록 · 더보기 »

김시묵

시묵(金時默, 1722년 ~ 1772년 음력 7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1722년와 김시묵 · 더보기 »

김원행

원행의 초상화 김원행(金元行, 1702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김원행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1722년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빈묘

빈묘(大嬪墓)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에 있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무덤이.

새로운!!: 1722년와 대빈묘 · 더보기 »

교호

호(享保, きょうほう/きょうほ)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722년와 교호 · 더보기 »

구세프

세프((1945년까지는), (1945년까지는))는 칼리닌그라드 주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1722년와 구세프 · 더보기 »

나이토 마사사다

이토 마사사다(1685년 ~ 1722년 6월 6일)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유나가야 번 제3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나이토 마사사다 · 더보기 »

나이토 마사아쓰

이토 마사아쓰(1711년 ~ 1741년 10월 14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유나가야 번 4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나이토 마사아쓰 · 더보기 »

뉴올리언스

올리언스(프랑스어: La Nouvelle-Orléans, 스페인어: Nueva Orleans)는 미국 루이지애나 주 남부의 미시시피 강 어귀로부터 상류로 170km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1722년와 뉴올리언스 · 더보기 »

다테 무라요리

무라요리(1661년 9월 18일 ~ 1722년 8월 10일)는 미즈사와 번의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다테 무라요리 · 더보기 »

니즈니타길

의 항공 사진 니즈니타길은 러시아 스베르들롭스크 주의 도시로, 우랄 산맥에 위치해 있. 2002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39만498명이.

새로운!!: 1722년와 니즈니타길 · 더보기 »

니콜라 뤼크네르

르 혹은 루크너 백작 니콜라우스(Nikolaus, Count Luckner, 1722년 1월 12일 ~ 1794년 1월 4일)는 독일 출신의 프랑스 군인으로 이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그의 이름은 프랑스어로는 니콜라(Nicolas), 독일어로는 니콜라우스(Nikolaus)이다).

새로운!!: 1722년와 니콜라 뤼크네르 · 더보기 »

니와 다카히로

와 다카히로(1707년 ~ 1769년 8월 1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니혼마쓰 번의 5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니와 다카히로 · 더보기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 퉁기야씨(孝康章皇后 佟佳氏,, 숭덕(崇德) 5년 2월 8일(1640년 2월 29일) ~ 강희(康熙) 2년 2월 11일(1663년 3월 20일))는 청나라의 제3대 황제 순치제(順治帝)의 세 번째 황후(추존황후)이며 후에 순치제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오르는 강희제(康熙帝)의 생모이.

새로운!!: 1722년와 효강장황후 · 더보기 »

효공인황후

효공인황후(孝恭仁皇后,, 순치(順治) 17년 3월 19일(1660년 4월 28일) ~ 옹정(雍正) 원년 5월 23일(1723년 6월 25일))는 청나라 강희제의 추존 황후이자 서후(庶后)로, 옹정제의 생모이.

새로운!!: 1722년와 효공인황후 · 더보기 »

효단문황후

효단문황후(孝端文皇后, 명(明) 만력(萬曆) 27년 4월 19일(1599년 5월 13일) ~ 순치(順治) 6년 4월 16일(1649년 5월 27일))은 홍타이지의 정후이.

새로운!!: 1722년와 효단문황후 · 더보기 »

효혜장황후

효혜장황후 (孝惠章皇后,, 숭덕(崇德) 6년 10월 3일(1641년 11월 5일) ~ 강희(康熙) 56년 12월 6일(1718년 1월 7일))는 중국 청나라 순치제의 두 번째 황후이.

새로운!!: 1722년와 효혜장황후 · 더보기 »

우에스기 무네노리

우에스기 무네노리(1714년 2월 26일 ~ 1734년 6월 14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네자와 번의 6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우에스기 무네노리 · 더보기 »

우에스기 가쓰치카

우에스기 가쓰치카(1696년 10월 6일 ~ 1747년 8월 7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네자와 신덴 번의 초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우에스기 가쓰치카 · 더보기 »

우에스기 요시노리

우에스기 요시노리 우에스기 요시노리(1684년 12월 14일 ~ 1722년 6월 14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네자와 번의 5대 번주이.

새로운!!: 1722년와 우에스기 요시노리 · 더보기 »

요네자와 번

요네자와 번()은 일본 에도 시대에 있었던 번으로, 데와노쿠니 오키타마 군에 있었.

새로운!!: 1722년와 요네자와 번 · 더보기 »

요네쿠라 다다스케

요네쿠라 다다스케(米倉忠仰)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요네쿠라 다다스케 · 더보기 »

요한 쿠나우

요한 쿠나우 요한 쿠나우(1660년 4월 6일 ~ 1722년 6월 5일)는 독일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쳄발로 주자이.

새로운!!: 1722년와 요한 쿠나우 · 더보기 »

임인

임인(壬寅)은 육십간지 중 39번째이.

새로운!!: 1722년와 임인 · 더보기 »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흐리우냐 지폐에 그려진 흐리호리 스코보로다의 초상화 흐리호리 사비치 스코보로다(1722년 12월 3일 러시아 제국(현재의 우크라이나) 키예프 현 ~ 1794년 11월 3일 러시아 제국(현재의 우크라이나) 하리코프 현)는 우크라이나의 철학자, 작가, 작곡가이.

새로운!!: 1722년와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 더보기 »

이덕주 (1617년)

이덕주(李德周, 1617년 ∼ 1682년)는 조선 2대왕 정종의 후손으로 덕천군의 8대손이며 이준(李準)의 손자이고 이방익(李邦益)의 아들이.

새로운!!: 1722년와 이덕주 (1617년) · 더보기 »

이만성 (1659년)

이만성(1659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숙종 때 판서를.

새로운!!: 1722년와 이만성 (1659년) · 더보기 »

이명회

이명회(李明會, 1685년 - 172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1722년와 이명회 · 더보기 »

이명익

이명익(李明翼, 1702년 - 1755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노론의 2문3사(二門三士) 중 한명이.

새로운!!: 1722년와 이명익 · 더보기 »

이명좌

이명좌(李明佐, 1681년 - 1722년)은 임인무옥(壬寅誣獄, 임인옥사)에 희생된 조선 후기의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었.

새로운!!: 1722년와 이명좌 · 더보기 »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명현(李命賢, 1706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조 때 송인명(宋寅明) 등과 같이 신비(愼妃,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 신씨)를 복위 할 것을 주장하였.

새로운!!: 1722년와 이명현 (조선의 문신)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1722년와 이건창 · 더보기 »

이노우에 마사미네

이노우에 마사미네(1653년 ~ 1722년 6월 30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이노우에 마사미네 · 더보기 »

이재항 (1678년)

이재항(李載恒, 1678년 - 1731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지냈으며, 친히 글자를 써 도활자(陶活字)를 만들었.

새로운!!: 1722년와 이재항 (1678년)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1722년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은 (1722년)

이은(李溵, 1722년 ~ 178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이은 (1722년) · 더보기 »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이중환 · 더보기 »

이형종 (1706년)

이형종(李亨宗, 1706년 - 1759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1722년와 이형종 (1706년) · 더보기 »

이사

이사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1722년와 이사 · 더보기 »

이세복

이세복(李世福, 1695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종친이.

새로운!!: 1722년와 이세복 · 더보기 »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새로운!!: 1722년와 이원정 (1622년) · 더보기 »

이홍매

이홍매(李弘邁, 1655년 - 1743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1722년와 이홍매 · 더보기 »

이홍술

이홍술(李弘述, 1647년 - 1722년 5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정치인이며, 자는 사선(士善)이.

새로운!!: 1722년와 이홍술 · 더보기 »

의암

의암(義巖)은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내 촉석루 아래에 남강변에 있는 바위로, 제2차 진주성 전투 직후 1593년 7월 29일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를 껴안고 남강에 빠져 죽은 바위이.

새로운!!: 1722년와 의암 · 더보기 »

의원군 (1661년)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 1661년 6월 13일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 출신 성리학자, 문인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

새로운!!: 1722년와 의원군 (1661년) · 더보기 »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

말버러 공작 1세 존 처칠의 문장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John Churchill, 1st Duke of Marlborough, KG(1650년 5월 26일 - 1722년 6월 16일(O.S)은 17세기말부터 18세기 초 5명의 군주의 치세동안 활약했던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잉글랜드의 스튜어트 왕궁에서 낮은 신분에서 시작했으나, 전장에서 보인 탁월한 용기와 두드러진 활약을 그의 군주이자 스승인 요크 공작 제임스에게 일찍히 인정받아 빠른 승진을 거듭하며 떠올랐다. 1685년 제임스가 왕이 되자, 처칠은 몬머스 공작(Duke of Monmouth's)의 반란을 진압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지만, 그러나 3년 후 처칠은 그의 가톨릭 왕을 버리고 프로테스탄트인 오라녜의 윌리엄에게로 갔다. 윌리엄 대관식에서 처칠은 말버러 백작(Earl of Marlborough;발음/ʼmɔːl.bɹə/) 작위를 수여받았다. 처칠은 9년 전쟁 기간 아일랜드와 플랑드르에서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윌리엄과 메리의 치세 동안 말버러와 그의 영향력 있는 아내 사라(Sarah)는 그들과는 약간 냉랭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후 국외추방된 제임스 왕에 대한 공모 혐의에 대한 피해로 말버러는 모든 내정과 군사 관직에서 해임되고, 일시적으로 런던 탑에 수감되었다. 다만 메리가 죽은 뒤 또 하나의 중요한 유럽의 전쟁이 다가오는 징후를 보이자, 윌리엄은 호의를 베풀어 그를 다시 불러들였다. 말버러의 영향력은 앤 여왕의 오랜 친구인 아내 사라가 궁전에 들어가면서 정점에 달했다. 영국 군대의 대장(Captain-General)으로 승진하면서 이어 공작(Duke)이 되었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기간 블레넘, 라미예와 오우데나르데 전장에서 보인 활약으로 말버러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역사속에서 그의 지위는 유럽의 위대한 장군들 중 한명으로 기록되게 되었다. 그러나 아내 사라가 앤 여왕의 총애와 왕실의 은총을 잃게되고, 토리당이 프랑스와 평화를 맺기로 결심하면서 그를 압박해 실각시켰다. 말버러는 횡령(embezzlement) 혐의로 인해 내정과 군사 관직에서 해임되었지만 그러나 1714년 왕위를 계승한 조지 1세 때 왕실의 총애를 되찾았다. 비록 그는 이전의 관직을 되찾았으나 이미 건강이 악화되었고, 뇌졸중(strokes)의 여파로 인해 결국 병으로 쓰러져 1722년 6월 16일 윈저 저택(Windsor lodge)에서 사망했다. 덧붙여, 윈스턴 처칠의 먼 조상이기도 하다.

새로운!!: 1722년와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 · 더보기 »

제2대 그래프턴 공작 찰스 피츠로이

제2대 그래프턴 공작 찰스 피츠로이(Charles FitzRoy, 2nd Duke of Grafton, KG, FRS, 1683년 10월 25일~1757년 5월 6일)는 아일랜드와 영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1722년와 제2대 그래프턴 공작 찰스 피츠로이 · 더보기 »

제국의 목록

이 문서는 제국의 목록에 대해 서술.

새로운!!: 1722년와 제국의 목록 · 더보기 »

제임스 브래들리

right 제임스 브래들리 FRS (James Bradley, 1693년 3월 ~ 1762년 7월 13일) 는 영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제임스 브래들리 · 더보기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조지아 의사당) 제임스 오글소프의 동상 제임스 에드워드 오글소프(James Edward Oglethorpe, 1696년 12월 22일 - 1785년 6월 30일)는 영국의 장군이자, 의회의 의원, 그리고 박애주의자였으며, 조지아 식민지를 설립한 설립자였.

새로운!!: 1722년와 제임스 오글소프 · 더보기 »

정발 (1553년)

정발(鄭撥, 1553년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1722년와 정발 (1553년) · 더보기 »

정빈 이씨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년? ~ 1721년 6월 / 11월)는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후궁이자 빈(嬪)으로, 조선의 추존황제 진종의 어머니이며, 정조의 양 할머.

새로운!!: 1722년와 정빈 이씨 · 더보기 »

정존겸

정존겸(1722년 ~ 17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 정지화의 후손이.

새로운!!: 1722년와 정존겸 · 더보기 »

조정만

조정만(趙正萬, 1654년 ~ 1739년 4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조정만 · 더보기 »

조태채

조태채(趙泰采, 1660년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조태채 · 더보기 »

조피 도로테아 폰 하노버 왕녀

thumb 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Sophie Dorothea von Hannover, 1687년 3월 16일 ~ 1757년 6월 28일)는 프로이센의 왕비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아내이.

새로운!!: 1722년와 조피 도로테아 폰 하노버 왕녀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1722년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1722년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존 버고인

존 버고인(John Burgoyne, 1722년 2월 24일 - 1792년 8월 4일)은 대영제국의 장군, 정치가 및 극작가이.

새로운!!: 1722년와 존 버고인 · 더보기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주세페 카스틸리오네(1688년 7월 19일 ~ 1766년 7월 16일)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화가이.

새로운!!: 1722년와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더보기 »

중가르 칸국

중가르 칸국()는 몽골 오이라트 출신의 부족연합체이.

새로운!!: 1722년와 중가르 칸국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1722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1722년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진주 청곡사 영산회괘불탱

주 청곡사 영산회괘불탱(晉州 靑谷寺 靈山會掛佛幀)은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청곡사문화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화이.

새로운!!: 1722년와 진주 청곡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참근교대

산킨코타이()는 각 번의 다이묘를 정기적으로 에도를 오고 가게 함으로써 각 번에 재정적 부담을 가하고, 볼모를 잡아두기 위한 에도 막부의 제도이.

새로운!!: 1722년와 참근교대 · 더보기 »

유나가야 번

유나가야 번()은 일본 에도 시대에 있던 번으로, 무쓰 국 남부(이와키 국, 지금의 후쿠시마현 이와키 시 유나가야 정)에 위. 번청은 유나가야 진야이.

새로운!!: 1722년와 유나가야 번 · 더보기 »

윤록

장각친왕(莊恪親王, 1695년 7월 28일 ~ 1767년 3월 20일)은 중국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희제(康熙帝)의 서자이고 청나라 제5대 황제 옹정제(雍正帝)의 이복 동생이.

새로운!!: 1722년와 윤록 · 더보기 »

윤잉

애신각라윤잉(愛新覺羅允礽,. 강희(康熙) 13년 5월 3일(1674년 6월 16일) ~ 옹정(雍正) 2년 12월 14일(1725년 1월 27일))은 청나라의 황족으로 청나라 역사상 황제가 공식 석상에서 책봉한 유일한 황태자(皇太子)이.

새로운!!: 1722년와 윤잉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1722년와 윤증 · 더보기 »

윤상 (청나라)

화석이현친왕(和碩怡賢親王, 1686년 11월 16일 ~ 1730년 6월 18일)은 중국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희제(康熙帝)의 서자이고 청나라 제5대 황제 옹정제(雍正帝)의 이복 동생이.

새로운!!: 1722년와 윤상 (청나라) · 더보기 »

윤사

애신각라 윤사(1681년 3월 29일 ~ 1726년 10월 5일)는 중국 청나라의 황족이자 군인, 정치가, 승려이.

새로운!!: 1722년와 윤사 · 더보기 »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윤세겸 · 더보기 »

태양 사로스 111

사로스 111의 일식 에니메이션 태양 사로스 111은 18년 11일 마다 반복되는 사로스 주기의 한 유형이.

새로운!!: 1722년와 태양 사로스 111 · 더보기 »

태양 사로스 113

사로스 113의 일식 에니메이션 태양 사로스 113은 18년 11일 마다 반복되는 사로스 주기의 한 유형이.

새로운!!: 1722년와 태양 사로스 113 · 더보기 »

순치제

순치제(順治帝, 숭덕(崇德) 3년 음력 1월 30일 (1638년 3월 15일) ~ 순치(順治) 18년 음력 1월 7일 (1661년 2월 5일))는 청 제국의 제3대 황제(재위 1643년 ~ 1661년)이.

새로운!!: 1722년와 순치제 · 더보기 »

영평군 (1636년)

영평군 이사(寧平君 李泗, 1636년(1631년) ∼ 1721년(1722년))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양군 이담령(珍陽君 李聃齡)의 2남이.

새로운!!: 1722년와 영평군 (1636년) · 더보기 »

오규 소라이

《선철상전(先哲像傳)》에 실려 있는 오규 소라이의 초상화 오규 소라이(1666년 3월 21일 ~ 1728년 2월 28일)는 에도(江戶) 중기의 유학자(儒學者)·사상가·문헌학자이.

새로운!!: 1722년와 오규 소라이 · 더보기 »

오다 노부야스 (1678년)

오다 노부야스(織田信休)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오다 노부야스 (1678년) · 더보기 »

옹정제

옹정제(雍正帝, 강희(康熙) 17년 음력 10월 30일 (1678년 12월 13일) ~ 옹정(雍正) 13년 음력 8월 22일 (1735년 10월 8일))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재위 1722년 ~ 1735년)이자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한 직후 청나라 군대의 산해관 입관(入關) 뒤 중국 대륙을 실질적으로 통치한 정통 황조로서의 세 번째 황제이.

새로운!!: 1722년와 옹정제 · 더보기 »

옹화궁

옹화궁 옹화궁(雍和宮)은 베이징 시에 있는 라마교 사원으로 세계의 라마교 사원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원 중 하나이.

새로운!!: 1722년와 옹화궁 · 더보기 »

어유봉

어유봉(魚有鳳, 1672년 ~ 174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조선 후기의 거유(巨儒)였.

새로운!!: 1722년와 어유봉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동종 및 종거

양산 통도사 동종 및 종거(梁山 通度寺 銅鍾 및 鍾虡)는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 및 종거이.

새로운!!: 1722년와 양산 통도사 동종 및 종거 · 더보기 »

엘리제궁

엘리제 궁전 입구 엘리제궁()은 프랑스 대통령의 공식 관저로서 대통령 사무소가 위치했으며 장관 회의도 이곳에서 열린.

새로운!!: 1722년와 엘리제궁 · 더보기 »

사이 온

사이 온의 기념비 사이 온(蔡温, 1682년 ~ 1761년)은 류큐국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사이 온 · 더보기 »

사파비 왕조

사파비 왕조() 또는 사파위 제국은 사파비 가(家)의 이스마일 1세를 시조로 하는 이란의 왕조(1501년~1736년)이.

새로운!!: 1722년와 사파비 왕조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1722년와 사화 · 더보기 »

쓰치야 마사나오

쓰치야 마사나오(1641년 3월 16일 ~ 1722년 12월 23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쓰치야 마사나오 · 더보기 »

프레데리크 4세

리크 4세 프레데리크 4세(1671년 10월 11일 ~ 1730년 10월 12일)는 덴마크의 국왕(재위: 1699년 8월 25일 ~ 1730년 10월 12일)이자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699년 8월 25일 ~ 1730년 10월 12일)이.

새로운!!: 1722년와 프레데리크 4세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리드리히 빌헬름 1세(1688년 8월 15일 ~ 1740년 5월 31일)는 제2대 프로이센 국왕이다(재위: 1713년 2월 25일 - 1740년 5월 31일).

새로운!!: 1722년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더보기 »

서덕수

서덕수(徐德修, 1694년 - ?)는 조선 후기의 정치인으로,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 서씨의 조카이자, 그의 오빠 서명백의 아들이.

새로운!!: 1722년와 서덕수 · 더보기 »

앨라배마주

앨라배마 주()는 미국 남부의 주이.

새로운!!: 1722년와 앨라배마주 · 더보기 »

야마우치 도요타다 (1722년)

야마우치 도요타다(1722년 12월 20일 ~ 1791년 12월 21일)는 도사 신덴 번 초대 번주를.

새로운!!: 1722년와 야마우치 도요타다 (1722년) · 더보기 »

안도 노부토모

안도 노부토모 안도 노부토모(1671년 ~ 1732년 9월 13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안도 노부토모 · 더보기 »

안과

롭터 자동시력검사. 세극등 검사 안과(眼科, Ophthalmology)는 눈의 해부적인 구조, 기능, 그리고 질병과 관련된 의학의 한 분과이.

새로운!!: 1722년와 안과 · 더보기 »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수첩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수첩 중 한 페이지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Notenbüchlein für Anna Magdalena Bach)은 독일의 바로크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자신의 두 번째 아내 안나 막달레나에게 선물한 두 권의 자필 악보책이.

새로운!!: 1722년와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수첩 · 더보기 »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소장의 초상화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Абрам Петрович Ганнибал, Abram Petrovich Gannibal, 1696년 - 1781년 5월 14일) 또는 하니발(Hannibal), 가니발(Ganibal), 이브라힘 한니발(Ibrahim Hannibal)은 러시아 제국의 군인으로 러시아 제국의 황제 표트르 1세가 아프리카에서 데리고 온 인물이.

새로운!!: 1722년와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 더보기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1722년경 - 1772년)는 근대 아프가니스탄의 시발점으로 여기는 두라니 제국의 수립자이자 왕이.

새로운!!: 1722년와 아흐마드 샤 두라니 · 더보기 »

아코 번

아코 성 아코 번()은 일본 에도 시대 하리마 국 아코 군(지금의 효고현 아코 시·아이오이 시·가미고리 정) 주변을 지배했던 번으로, 주신구라(忠臣蔵)의 전설로 유명.

새로운!!: 1722년와 아코 번 · 더보기 »

아오야마 다다시게 (1654년)

아오야마 다다시게(青山忠重)는 에도 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아오야마 다다시게 (1654년) · 더보기 »

아시스와 갈라테아

아시스와 갈라테아(Acis and Galatea, HWV 49a -1718/ HWV 49b - 1732년)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영어 전원 오페라 혹은 가면극이.

새로운!!: 1722년와 아시스와 갈라테아 · 더보기 »

퉁기야 롱코도

퉁기야 롱코도(? ~ 1728년)는 중국 청나라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1722년와 퉁기야 롱코도 · 더보기 »

신임

신임(申銋, 1642년 ~ 172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722년와 신임 · 더보기 »

신임사화

신임사화(辛壬士禍) 또는 신임옥사(辛壬獄事)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 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1722년와 신임사화 · 더보기 »

원국봉행

원국봉행()은 에도 막부의 직책 중 하나이.

새로운!!: 1722년와 원국봉행 · 더보기 »

홍인한

홍인한(洪麟漢, 1722년 ~ 177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1722년와 홍인한 · 더보기 »

완도 객사

완도 객사(莞島客舍)는 전라남도 완도군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1722년와 완도 객사 · 더보기 »

홋타 마사타카

홋타 마사타카(堀田正高)는 시모쓰케 사노 번주, 오미 가타타 번 초대 번주를.

새로운!!: 1722년와 홋타 마사타카 · 더보기 »

와키사카 야스테루

와키사카 야스테루(脇坂安照)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722년와 와키사카 야스테루 · 더보기 »

1720년대

1720년대는 1720년부터 172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722년와 1720년대 · 더보기 »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새로운!!: 1722년와 17세기 · 더보기 »

18세기

18세기는 1701년부터 1800년까지이.

새로운!!: 1722년와 18세기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722년와 1월 12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