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184년

색인 184년

설명이 없습니다.

78 처지: 도원결의, 동관 전투, 동탁, 동아시아의 역사, 마원의, 막시미누스 트락스, 문덕황후 (조위), 개루왕, 갑자, 갑훈, 강거 (후한), 벌휴 이사금, 고계수, 고국천왕, 곽훈, 공손도, 변장 (삼국지), 광화 (후한), 봉서 (후한), 구수왕, 국연 (양주), 등성, 노식, 당고의 화, 당주, 장량 (후한), 장만성, 장각, 장보, 장보 (후한), 장균, 장제, 장제 (원강), 장온 (후한), 장양, 이유 (후한), 이사금, 정원지, 조조, 조홍 (후한), 주준, 중국의 연호 목록, 중평, 진힐, 차대왕, 초고왕, 촉한, 추정 (후한), 유기 (동오), 파재, ..., 오 (삼국), 양주의 난, 삼국지연의, 삼국지W, 성공영, 서관, 서관 (후한), 손견, 손익, 손중, 한충, 한충 (후한), 한수 (후한), 하진, 아달라 이사금, 신라의 역대 국왕, 신대왕, 십상시의 난, 원소 (후한), 후한 영제, 황건적, 황건적의 난, 황보숭, 왕국 (후한), 왕윤, 왕상, 왕상 (휴징), 2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8 더) »

도원결의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도원결의 도원결의(桃園結義)는 후한 말 영제시대 황건적이 일어나 유주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있었던 때에 관우와 장비는 형제 같은 우애로 지내고 있었는데 그때 후한의 왕손 유비를 만나서 장비의 집 뒤뜰에서 의형제를 맺었는데 훗날 이 일을 복숭아 밭에서 맺은 결의라고 하여 도원결의라고 불. 황건의 난이 일어났던 서기 184년에 현재의 허베이 성 바오딩 시 줘저우 시에 해당되는 유주 탁현에서 도원결의가 맺어졌.

새로운!!: 184년와 도원결의 · 더보기 »

동관 전투

동관 전투(潼關 戰鬪)는 후한 말기 건안 15년(211년) 조조와 관중 지방의 군벌 연합이 싸워 조조가 승리한 싸움으로 관중 군벌들은 몰락하게 되었.

새로운!!: 184년와 동관 전투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동탁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184년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마원의

마원의(馬元義, ? ~ 184년)는 184년 황건적의 난 때 황건적(黃巾賊)의 장군이며, 장각(張角)의 부하였.

새로운!!: 184년와 마원의 · 더보기 »

막시미누스 트락스

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트락스(184년 ~ 238년)는 로마 제국의 스물 다섯 번째 황제(재위 235년~238년)이.

새로운!!: 184년와 막시미누스 트락스 · 더보기 »

문덕황후 (조위)

문덕황후 곽여왕(文德皇后 郭女王, 184년 ~ 235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魏)의 초대 세조 문황제(世祖 文皇帝) 조비(曹丕)의 황후이.

새로운!!: 184년와 문덕황후 (조위) · 더보기 »

개루왕

왕(蓋婁王, ? ~ 166년, 재위: 128년 ~ 166년)은 백제의 제4대 국왕이.

새로운!!: 184년와 개루왕 · 더보기 »

갑자

갑자(甲子)는 육십간지 중 1번째이.

새로운!!: 184년와 갑자 · 더보기 »

갑훈

갑훈(蓋勳, 140년 ~ 190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고(元固)이며 양주 돈황군 광지현(廣至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갑훈 · 더보기 »

강거 (후한)

강거(羌渠, ? ~ 188년)는 후한말 남흉노(匈奴)의 선우(單于)이.

새로운!!: 184년와 강거 (후한) · 더보기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伐休泥師今, ?~196년, 재위: 184년~196년)은 신라의 제9대 왕이며, 이사금의 칭호를 사용한 7번째 왕이.

새로운!!: 184년와 벌휴 이사금 · 더보기 »

고계수

수(高瀱須, ? ~ ?)는 고구려 신대왕의 아들로 발기와 산상왕 연우의 동생이.

새로운!!: 184년와 고계수 · 더보기 »

고국천왕

국천왕(故國川王, ?~197년, 재위: 179년~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

새로운!!: 184년와 고국천왕 · 더보기 »

곽훈

곽훈(郭勳, ? ~ 184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184년와 곽훈 · 더보기 »

공손도

공손 도(公孫度, ? ~ 204년) 또는 공손 탁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승제(升濟)이며 유주 요동군 양평현(襄平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공손도 · 더보기 »

변장 (삼국지)

변장(邊章, ? ~ 186년)은 중국 후한 말 양주(涼州)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변장 (삼국지) · 더보기 »

광화 (후한)

광화(光和)는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184년와 광화 (후한) · 더보기 »

봉서 (후한)

봉서(封諝, ? ~ 184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184년와 봉서 (후한) · 더보기 »

구수왕

수왕(仇首王, ? ~ 234년, 재위: 214년 ~ 234년)은 백제의 제6대 국왕이.

새로운!!: 184년와 구수왕 · 더보기 »

국연 (양주)

국연(麴演, ? ~ 220년)은 중국 삼국 시대의 무장 · 군벌이.

새로운!!: 184년와 국연 (양주) · 더보기 »

등성

등성(鄧盛, 생몰년 미상)은 후한 후기부터 말기까지의 관료이.

새로운!!: 184년와 등성 · 더보기 »

노식

식(盧植,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유주 탁군 탁현(涿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노식 · 더보기 »

당고의 화

당고의 화(黨錮之禍)는 후한 말기에 일어난 탄압 사건으로 당고의 옥(黨錮之獄) 또는 당고의 금(黨錮之禁)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184년와 당고의 화 · 더보기 »

당주

당주(唐周, ? ~ ?)는 중국 후한 말기 때 황건적(黃巾賊)의 장군이며, 장각(張角)의 부하였.

새로운!!: 184년와 당주 · 더보기 »

장량 (후한)

장량(张梁, ? ~ 184년)은 후한 말기 황건적의 수령 장각과 장보의 동생이.

새로운!!: 184년와 장량 (후한) · 더보기 »

장만성

장만성(張曼成, ?~184년)은 중국 후한 말 황건적(黃巾賊)의 장수이.

새로운!!: 184년와 장만성 · 더보기 »

장각

장각(張角, ? ~ 184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종교 지도자로, 기주 거록군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장각 · 더보기 »

장보

장보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184년와 장보 · 더보기 »

장보 (후한)

장보(張寶,? ~ 184년)는 황건적의 수령 장각(張角)의 동생이자 장량(張梁)의 형이.

새로운!!: 184년와 장보 (후한) · 더보기 »

장균

장균(張鈞, ?~184년)은 후한 말기의 신하이.

새로운!!: 184년와 장균 · 더보기 »

장제

장제는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184년와 장제 · 더보기 »

장제 (원강)

장제(張濟, ? ~ 184년?)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원강(元江)이며 여남군 세양현(細陽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장제 (원강) · 더보기 »

장온 (후한)

장온(張溫, ? ~ 191년 11월 5일(음력 10월 1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백신(伯愼)이며 형주 남양군 양현(穰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장온 (후한) · 더보기 »

장양

장양 또는 장량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종.

새로운!!: 184년와 장양 · 더보기 »

이유 (후한)

이유(李儒, 136년 이전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우(文優)이며 사례 좌풍익 합양현(郃陽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이유 (후한) · 더보기 »

이사금

이사금(泥師今, 尼師今, 尼斯今, 泥斯今)은 신라에서 군주를 뜻했던 칭호 중 하나로, 신라 제3대 왕인 유리 이사금부터 18대 실성 이사금까지 사용된 명칭이.

새로운!!: 184년와 이사금 · 더보기 »

정원지

정원지(程遠志, ? ~ 184년)는 황건적(黃巾賊)의 무장이자 《삼국지연의》에만 기록되어 있는 가공 인물이.

새로운!!: 184년와 정원지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184년와 조조 · 더보기 »

조홍 (후한)

조홍(趙弘, ?~184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184년와 조홍 (후한) · 더보기 »

주준

주준(朱儁, ? ~ 195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위(公偉)이며 양주 회계군 상우현(上虞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주준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184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평

중평(中平)은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네 번째 연호이.

새로운!!: 184년와 중평 · 더보기 »

진힐

힐(秦頡, ? ~ 186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초기(初起)습착치, 《양양기구기》 권4 이며 형주 남군 약현(鄀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진힐 · 더보기 »

차대왕

왕(次大王, 71년~165년, 재위 146년~165년)은 고구려의 제7대 군주이.

새로운!!: 184년와 차대왕 · 더보기 »

초고왕

왕(肖古王, ? ~ 214년, 재위: 166년 ~ 214년)은 백제의 제5대 국왕이.

새로운!!: 184년와 초고왕 · 더보기 »

촉한

촉한(漢, 221년 ~ 263년)은 중국 삼국 시대 때 유비(劉備)가 지금의 사천성 지역에 세운 나라로 정식 국호는 한(大漢)이나 역사상 구분을 위하여 촉한이라고 부른.

새로운!!: 184년와 촉한 · 더보기 »

추정 (후한)

정(鄒靖,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무장이.

새로운!!: 184년와 추정 (후한) · 더보기 »

유기 (동오)

유기(劉基, 184년 ~ 23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경여(敬輿)이며 청주 동래군 모평현(牟平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유기 (동오) · 더보기 »

파재

재(波才, ?~?)는 장각(張角)을 따르던 황건적의 장수이.

새로운!!: 184년와 파재 · 더보기 »

오 (삼국)

오(吳, 229년 ~ 280년) 또는 동오(東吳), 손오(孫吳)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의 하나로 친자 3대에 걸쳐 구축되었.

새로운!!: 184년와 오 (삼국) · 더보기 »

양주의 난

양주의 난(涼州-亂)은 기원후 184년에서 189년까지 후한의 서량 지방에서 일어난 불온사태이.

새로운!!: 184년와 양주의 난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184년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삼국지W

《삼국지W》는 한국의 개발사 snapThinking에서 개발한 전략 시뮬레이션 웹게임이.

새로운!!: 184년와 삼국지W · 더보기 »

성공영

성공 영(成公 英, ? ~ 220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양주(涼州) 금성군 (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성공영 · 더보기 »

서관

서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84년와 서관 · 더보기 »

서관 (후한)

서관(徐灌, ? ~ 184년 음력 7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184년와 서관 (후한) · 더보기 »

손견

손견(孫堅, 155년? ~ 191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184년와 손견 · 더보기 »

손익

손익(孫翊, 184년 ~ 204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장수로 자는 숙필(叔弼)이며, 손견(孫堅)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184년와 손익 · 더보기 »

손중

손중(孫仲, ? ~ 184년)은 황건적의 무장이.

새로운!!: 184년와 손중 · 더보기 »

한충

충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184년와 한충 · 더보기 »

한충 (후한)

충(韓忠, ? ~ 184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184년와 한충 (후한) · 더보기 »

한수 (후한)

수(韓遂, 145년 이전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관서 일대의 세력가로 자는 문약(文約)이며 양주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한수 (후한) · 더보기 »

하진

(何進, ? ~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수고(遂高)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하진 · 더보기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阿達羅泥師今, ? ~184년, 재위: 154년~184년)은, 신라의 제8대 국왕이며, 상대(上代)의 마지막 박씨 군주이.

새로운!!: 184년와 아달라 이사금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184년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대왕

신대왕(新大王, 89년~179년, 재위 165년~179년)은 고구려의 제8대 군주이.

새로운!!: 184년와 신대왕 · 더보기 »

십상시의 난

십상시의 난은 후한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에 십상시에 의해 발생하여 무려 2,000명에 달하는 환관과 사람들이 죽은 사건으로 동탁이 이 사건을 이용해 권력을 잡았으며, 권력을 휘두르던 대장군 하진이 죽었.

새로운!!: 184년와 십상시의 난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후한 영제

효령황제 유굉(漢 孝靈皇帝 劉宏, 156년 ~ 189년, 재위 168년 ~ 189년)은 중국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장제(章帝)의 고손자이.

새로운!!: 184년와 후한 영제 · 더보기 »

황건적

황건적(黃巾賊)은 중국 후한(後漢) 말기에 장각(張角)을 우두머리로 하여 봉기해 184년 황건의 난을 일으킨 유적(流賊)이.

새로운!!: 184년와 황건적 · 더보기 »

황건적의 난

황건적의 난(黃巾賊- 亂)은 중국 후한 말기 호족 지주에 의한 토지겸병의 위기에 끊임없이 직면해 있던 농민이 황건적(黃巾賊)이 되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184년와 황건적의 난 · 더보기 »

황보숭

황보 숭(皇甫嵩, ? ~ 195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의진(義眞)이며 양주 안정군 조나현(朝那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황보숭 · 더보기 »

왕국 (후한)

왕국(王國, ? ~ 188년)은 중국 후한 말기 서량(西凉) 지방의 군벌이.

새로운!!: 184년와 왕국 (후한) · 더보기 »

왕윤

왕윤 왕윤(王允, 137년 ~ 192년 7월 4일(음력 6월 7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사(子師)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기현(祁縣)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왕윤 · 더보기 »

왕상

왕상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184년와 왕상 · 더보기 »

왕상 (휴징)

왕상 왕상(王祥, 184년 ~ 26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서진 시대의 관료로, 자는 휴징(休徵)이며 서주 낭야국 임기현 사람이.

새로운!!: 184년와 왕상 (휴징) · 더보기 »

2세기

2세기는 101년부터 200년까지이.

새로운!!: 184년와 2세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