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476년

색인 476년

설명이 없습니다.

51 처지: 동서 교회의 분열, 로마 제국, 로마 원로원, 로마 황제 목록,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루카 (토스카나 주), 문주왕, 바실리스쿠스, 게르만법, 고대사, 고전 고대, 병진 (간지), 북위 헌문제, 금사면, 비잔티움 제국, 승명 (북위), 자비 마립간, 장수왕, 이탈리아왕, 이시도르, 일본서기, 제국의 목록, 제논 (황제), 제주특별자치도, 정토론주, 정토교, 중국의 연호 목록, 중세 전기, 유랴쿠 천황, 유송 무제, 율리우스 네포스, 위례성, 탁발씨, 탐라, 영지주의, 오도아케르, 여주시, 연흥 (북위), 삼국 시대, 프랑스의 역사, 프랑크 왕국, 서로마 제국, 서양 중세의 교육, 해구 (백제), 한국의 연호,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원휘, 완령영, 470년대, 476, ..., 5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동서 교회의 분열

동서 교회의 분열(東西 敎會의 分裂)은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 이에 대해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동방 정교회의 시각과 교황과의 일치로부터 동방 정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시각차이가 오늘날까지도 대립하고 있.

새로운!!: 476년와 동서 교회의 분열 · 더보기 »

로마 제국

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가 황제 지배 체제 혹은 원수정(principatus)을 사실상 시작한 기원전 27년부터 몰락까지의 로마를 일컫.

새로운!!: 476년와 로마 제국 · 더보기 »

로마 원로원

thumb 로마 원로원(元老院)은 고대 로마의 정치 기관이.

새로운!!: 476년와 로마 원로원 · 더보기 »

로마 황제 목록

음 목록의 내용은 로마 제국의 황제들의 연대표이.

새로운!!: 476년와 로마 황제 목록 · 더보기 »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물루스 아우구스투스(Romulus Augustus)또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Romulus Agustulus, 460년 ~ 511년 이후)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475년~476년)이.

새로운!!: 476년와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 더보기 »

루카 (토스카나 주)

()는 현재 이탈리아 중북부 토스카나 주 루카 현의 현도로, 북쪽과 서쪽에 아푸안알프스 산맥이 있.

새로운!!: 476년와 루카 (토스카나 주) · 더보기 »

문주왕

문주왕(文周王, ? ~ 477년, 재위: 475년 ~ 477년)은 백제의 제22대 국왕이.

새로운!!: 476년와 문주왕 · 더보기 »

바실리스쿠스

바실리스쿠스(Flavius Basiliscus, ?~477년경)은 비잔티움의 황제로 제논의 제위를 찬탈하여 약 20개월 동안 황제로 있었으나 다시 제논에 의해 쫓.

새로운!!: 476년와 바실리스쿠스 · 더보기 »

게르만법

르만법()이란 독일지방에서 발생한 법체계를 말. 현재 대륙법 체계에 큰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로마법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 한국과 일본이 이 게르만법/독일법의 체계를 도입하였.

새로운!!: 476년와 게르만법 · 더보기 »

고대사

(古代)는 서양의 역사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476년와 고대사 · 더보기 »

고전 고대

전 고대(古典古代, Classical antiquity)는 서양사에서 지역적으로는 지중해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의 긴 기간이.

새로운!!: 476년와 고전 고대 · 더보기 »

병진 (간지)

병진(丙辰)은 육십간지 중 53번째이.

새로운!!: 476년와 병진 (간지) · 더보기 »

북위 헌문제

위 현조 헌문황제 탁발홍(魏 顯祖 獻文皇帝 拓跋弘, 454년 ~ 476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위의 제6대 황제(재위:465년 - 471년).

새로운!!: 476년와 북위 헌문제 · 더보기 »

금사면

사면(金沙面)은 경기도 여주시의 면이.

새로운!!: 476년와 금사면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476년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승명 (북위)

승명(承明)은 중국 북위(北魏) 효문제(孝文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476년와 승명 (북위) · 더보기 »

자비 마립간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 ~ 479년 3월 12일(음력 2월 3일), 재위 458년 ~ 479년 3월 12일)은 신라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476년와 자비 마립간 · 더보기 »

장수왕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

새로운!!: 476년와 장수왕 · 더보기 »

이탈리아왕

이탈리아왕 왕위의 상징인 랑고바르드의 철관. 이탈리아왕()은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중세 이탈리아 왕국을 지배한 군주.

새로운!!: 476년와 이탈리아왕 · 더보기 »

이시도르

세비야의 이시도르 세비야의 이시도르(Isidore of Seville, 560년경 ~ 636년 4월 4일)는 30년 이상 세비야의 대주교로 지낸 사람으로, 역사가 몽탈렝베르는 그를 고대 세계의 최후의 학자로 언급.

새로운!!: 476년와 이시도르 · 더보기 »

일본서기

350px 일본서기()는 일본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로, 일본의 육국사(六國史)의 첫 번째에 해당.

새로운!!: 476년와 일본서기 · 더보기 »

제국의 목록

이 문서는 제국의 목록에 대해 서술.

새로운!!: 476년와 제국의 목록 · 더보기 »

제논 (황제)

제논(Flavius zeno, 425년경 - 491년 4월 9일)은 로마 제국의 황제로 474년 2월부터 491년 죽을 때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원래 이름은 타라시코디사이며, 도중에 장인 레오 1세의 처남인 바실리스쿠스가 그의 제위를 찬탈하여 약 1년간 궐위상태에 있었으나 곧 다시 제위를 되찾고 죽을 때까지 황제로 통치했다.

새로운!!: 476년와 제논 (황제) ·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는 대한민국 남해상의 섬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이.

새로운!!: 476년와 제주특별자치도 · 더보기 »

정토론주

《정토론주(淨土論註)》는 정확하게는 《무량수경 우바제사 원생게 주(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註)》라 하며, 약해서 《무량수경론주(無量壽經論註)》《왕생론주(往生論註)》《논주(論註)》.

새로운!!: 476년와 정토론주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476년와 정토교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476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세 전기

중세 전기(中世 前期)는 유럽사의 중세기간 중 일부이며, 476년부터 1000년까지를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476년와 중세 전기 · 더보기 »

유랴쿠 천황

유랴쿠 천황(418년 10월 ~ 479년 9월 8일)은 일본의 21대 천황(재위: 456년 12월 25일 ~ 479년 9월 8일)이.

새로운!!: 476년와 유랴쿠 천황 · 더보기 »

유송 무제

유송 고조 무제 유유 송 고조 무황제 유유(宋 高祖 武皇帝 劉裕, 363년 ~ 42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초대 황제로, 자는 덕여(德輿)이.

새로운!!: 476년와 유송 무제 · 더보기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Julius Nepos. 430년경 ~ 480년 5월 9일)는 고대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서로마 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476년와 율리우스 네포스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476년와 위례성 · 더보기 »

탁발씨

탁발씨()는 삼국 시대와 진나라 시기의 선비족 지파인 탁발선비의 성씨로서, 이들은 후에 북위(北魏)를 건립하였.

새로운!!: 476년와 탁발씨 · 더보기 »

탐라

국(耽羅國, 기원전 2337년 ~ 1402년)은 제주도의 왕국이었.

새로운!!: 476년와 탐라 · 더보기 »

영지주의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는 고대에 존재하였던 혼합주의적 종교 운동 중 하나로, "Gnosticism" 항목,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새로운!!: 476년와 영지주의 · 더보기 »

오도아케르

오도아케르(Odoacer, 433년 ~ 493년 3월 14일) 혹은 오도바카르(Odovacar), 게르만식으로 아우다바크르(Audawakr)는 초대 이탈리아왕(재위 480-493)이.

새로운!!: 476년와 오도아케르 · 더보기 »

여주시

여주시(驪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476년와 여주시 · 더보기 »

연흥 (북위)

연흥(延興)은 중국 북위(北魏) 효문제(孝文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476년와 연흥 (북위)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476년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프랑스의 역사

랑스 역사의 시작은 대체로 프랑크족의 왕 클로비스 1세(Clovis Ier)가 갈리아 지방의 가장 큰 부분을 정복했던 486년으로 알려져있.

새로운!!: 476년와 프랑스의 역사 · 더보기 »

프랑크 왕국

랑크 왕국()은 5세기 말 게르만족의 한 부족인 프랑크족이 현재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를 아우르는 지역에 세운 왕국이.

새로운!!: 476년와 프랑크 왕국 · 더보기 »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은 285년부터 476년 또는 480년까지 유럽에 존재하던 제국이.

새로운!!: 476년와 서로마 제국 · 더보기 »

서양 중세의 교육

중세 초기의 고등교육기관이었던 '''대성당학교''' 중의 한 곳인 트론헤임 대성당학교. 중세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476년부터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1453년까지의 약 1,000년의 시기이.

새로운!!: 476년와 서양 중세의 교육 · 더보기 »

해구 (백제)

(解仇, ? ~ 478년)는 백제 문주왕(文周王), 삼근왕(三斤王) 때의 병관좌평(兵官佐平) 으로,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해(解)씨 출신 귀족이.

새로운!!: 476년와 해구 (백제) · 더보기 »

한국의 연호

국의 연호는 고구려 광개토왕이 최초로 사용한 이래 몇 차례 사용되었.

새로운!!: 476년와 한국의 연호 · 더보기 »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오도리쿠스 대왕(Theodoric the Great, 454년 ~ 526년 8월 30일, 재위 488년 ~ 526년)은 동고트 왕국의 초대 국왕이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이탈리아의 군주였.

새로운!!: 476년와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 더보기 »

원휘

원휘(元徽)는 중국 송(宋) 후폐제(後廢帝) 유욱(劉昱)의 연호이.

새로운!!: 476년와 원휘 · 더보기 »

완령영

완령영(阮令嬴, 476년 ~ 542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남제와 양나라 때 사람이.

새로운!!: 476년와 완령영 · 더보기 »

470년대

470년대는 470년부터 47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476년와 470년대 · 더보기 »

476

476(사백칠십육)은 475보다 크고 477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476년와 476 · 더보기 »

5세기

5세기는 401년부터 500년까지이.

새로운!!: 476년와 5세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