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649년

색인 649년

설명이 없습니다.

52 처지: 마리아론, 문무왕, 문성공주, 백강 전투, 발해 고왕, 반야경, 가사 (옷), 베르베르인, 고간 (당나라), 고종, 보덕왕, 보장왕, 기유, 김유신, 대하굴가, 교황 마르티노 1세, 교황 목록, 교황 테오도로 1세, 다자이후, 다이카, 다이카 개신, 당 고조, 당 고종, 당 태종, 이정, 이정 (571년), 의자왕, 정관 (당), 정관의 치, 중국의 연호 목록, 진덕여왕, 진평왕, 지토 천황, 카를루크, 태종무열왕, 태화 (신라), 영류왕, 오토모씨 (신별), 혜현, 풍월주, 풍왕, 세노라, 토번국, 송짼감뽀, 한국 불교의 역사, 한일 관계, 아스카 시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왕황후 (당나라), 5월 14일, ..., 640년대, 649.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마리아론

마리아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에 대해 연구하는 기독교의 신학 분야이.

새로운!!: 649년와 마리아론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649년와 문무왕 · 더보기 »

문성공주

브리쿠티(좌)-송첸캄포(中)-문성공주(우) 문성공주(623년경 ~ 680년)는 당나라의 공주로 토번이라 일컫는 티베트 손챈감포 왕의 제2왕비이.

새로운!!: 649년와 문성공주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649년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649년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649년와 반야경 · 더보기 »

가사 (옷)

장삼과 가사를 걸친 스님 모습 가사(袈裟, 산스크리트어: काषाय, 카사야)는 불교 승려가 회색 장삼 위에 입는 장방형의 포를 말.

새로운!!: 649년와 가사 (옷) · 더보기 »

베르베르인

시내를 가로지르고 있는 베르베르 가족 풍경, 알제리 모로코의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Berber, Imazighen)은 나일 계곡 서쪽 북아프리카의 토착 민족으로 대서양에서 이집트 시와 오아시스, 지중해 연안에서 니제르 강까지 불규칙하게 분. 베르베리인은 여러 갈래의 베르베르어를 쓰며, 베르베르인의 인구는 약 2천200만 명 ~ 2천500만 명으로 대부분 모로코(약 1천200만 명)와 알제리(약 900만 명)에 산. 유명한 베르베르인으로는 로마의 작가 아풀레이우스, 교부 성 아우구스티누스, 축구 선수 지네딘 지단 등이 있.

새로운!!: 649년와 베르베르인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649년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종

종(高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오랫동안 재위하며 나라를 수성한 제왕에게 올려지는 묘호이.

새로운!!: 649년와 고종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649년와 보덕왕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649년와 보장왕 · 더보기 »

기유

유(己酉)는 육십간지 중 46번째이.

새로운!!: 649년와 기유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649년와 김유신 · 더보기 »

대하굴가

(大賀窟哥, 590년 ~ 669년, 재위 649년 ~ 669년) 또는 이굴가(李窟哥)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649년와 대하굴가 · 더보기 »

교황 마르티노 1세

황 마르티노 1세(라틴어: Martinus PP. I, 이탈리아어: Papa Martino I)는 제74대 교황(재위: 649년 7월 - 653년 9월 17일Mershman, Francis (1910). "Pope St. Martin I"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9.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새로운!!: 649년와 교황 마르티노 1세 · 더보기 »

교황 목록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된 교황들의 명단이 새겨진 대리석판. 라틴어로 표기된 교황들의 이름 옆에 있는 숫자는 해당 교황의 시신이 매장된 년도를 가리킨다. 이 문서는 《교황청 연감》의 ‘로마 교황들’(I Sommi Pontefici Romani)에 실린 교황 연대표를 토대로 작성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목록이.

새로운!!: 649년와 교황 목록 · 더보기 »

교황 테오도로 1세

황 테오도로 1세(라틴어: Theodorus PP. I, 이탈리아어: Papa Teodoro I)는 제73대 교황(재위: 642년 11월 24일 - 649년 5월 14일)이.

새로운!!: 649년와 교황 테오도로 1세 · 더보기 »

다자이후

특별사적, 다자이후 정청 유적 다자이후()는 7세기 후반, 규슈 지방의 지쿠젠 국(筑前国)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기관의 이름이.

새로운!!: 649년와 다자이후 · 더보기 »

다이카

이카()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649년와 다이카 · 더보기 »

다이카 개신

이카 개신(たいかのかいしん, 大化改新)은, 일본 아스카 시대의 고토쿠 오키미 2년, 일본 연호로 다이카(大化) 2년(646년) 봄 정월 갑자 초하루(1일)에 발호된 「개신(改新)의 조(詔)」를 토대로 한 정치개혁 운동이.

새로운!!: 649년와 다이카 개신 · 더보기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唐 高祖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649년와 당 고조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649년와 당 고종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649년와 당 태종 · 더보기 »

이정

이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649년와 이정 · 더보기 »

이정 (571년)

이정(李靖, 571년~649년)은 중국 당나라의 명장으로, 중국 섬서성 장안(長安)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649년와 이정 (571년)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649년와 의자왕 · 더보기 »

정관 (당)

정관(貞觀)은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연호이.

새로운!!: 649년와 정관 (당) · 더보기 »

정관의 치

정관의 치(貞觀之治, 627년~649년) 중국 당나라의 2대 황제 태종 이세민의 치세를 일컫는 말.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가운데 하나로써, 이때 태종을 보좌했던 재상으로는 위징, 방현령, 장손무기 등이 있. 태종은 이들의 보좌를 받으며 밖으로는 돌궐을 제압하는 한편 토번을 회유했으며, 안으로는 조용조 제도와 부병제, 균전제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과거제를 정비.

새로운!!: 649년와 정관의 치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649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649년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649년와 진평왕 · 더보기 »

지토 천황

황(다이카 원년(645년) ~ 다이호 2년 음력 12월 22일(703년 1월 13일))은, 일본의 제41대 천황이자, 실제로 그 치세를 수행했던 여제이다(칭제의 형태로 정무를 살피기 시작한 것은 슈초 원년(686년) 음력 9월 9일)이나, 재위는 지토 천황 4년(690년) 1월 1일(2월 14일) ~ 지토 천황 11년(697년) 8월 1일(8월 22일)). 이름은 우노노사라라 또는 우노노사사라()이며, 일본식 시호는 《속일본기》 다이호 3년(703년) 12월 17일의 화장(火葬)할 무렵의 오호야마토네코아메노히로노히메노미코토(大倭根子天之廣野日女尊)와 《일본서기》의 요로 4년(720년)의 대대의 천황에게 시호를 올리면서 함께 올려진 다카마노하라히로노히메노스메라미코토(高天原廣野姫天皇)가 있다(단 《일본서기》에서 다카마노하라가 기술되는 것은 모두의 제4의 1서뿐). ‘지토’라는 시호는 762년 경에 오우미노 미후네(淡海三船)가 '계체지통(継体持統)'이라는 숙어에서 따서 올린 시호이다.

새로운!!: 649년와 지토 천황 · 더보기 »

카를루크

를루크(고대튀르크어:12px12px12px12px)는 7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준가얼 분지나 중앙 아시아 지방에 존재한 튀르크계 유목민이.

새로운!!: 649년와 카를루크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649년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화 (신라)

화(太和)는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의 연호이자 신라가 독자적으로 사용한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649년와 태화 (신라)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649년와 영류왕 · 더보기 »

오토모씨 (신별)

오토모 씨()는 "오토모(大伴)"을 씨로 삼는 씨족이.

새로운!!: 649년와 오토모씨 (신별) · 더보기 »

혜현

혜현(慧現 또는 慧顯: 570~627)은 백제의 승려이.

새로운!!: 649년와 혜현 · 더보기 »

풍월주

풍월주(風月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된 화랑도의 수장이.

새로운!!: 649년와 풍월주 · 더보기 »

풍왕

풍왕 부여풍(豊王 扶餘豊, 623년?~668년?)은 백제(百濟)의 제32대 국왕이.

새로운!!: 649년와 풍왕 · 더보기 »

세노라

세노라(細奴羅, ? ~ 674년)는 대몽국(대몽국이라는 국명은 제4대 왕 귀의왕 피라각이 육조를 통일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의 제 1대 국왕이.

새로운!!: 649년와 세노라 · 더보기 »

토번국

번(吐蕃)은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7세기 송첸캄포에서 9세기 중순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

새로운!!: 649년와 토번국 · 더보기 »

송짼감뽀

송짼감뽀(생년 미상 ~ 650년)는 토번의 제33대 짼뽀이.

새로운!!: 649년와 송짼감뽀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649년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649년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649년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 614년 – 669년)는 아스카 시대(飛鳥時代)의 중신이자 후지와라 씨(藤原氏)의 선조이.

새로운!!: 649년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 더보기 »

왕황후 (당나라)

황후 왕씨(皇后 王氏, ? ~ 655년)는 당 고종의 황후이.

새로운!!: 649년와 왕황후 (당나라) · 더보기 »

5월 14일

5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4번째(윤년일 경우 1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649년와 5월 14일 · 더보기 »

640년대

640년대는 640년부터 64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649년와 640년대 · 더보기 »

649

649(육백사십구)는 648보다 크고 650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649년와 649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