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697년

색인 697년

설명이 없습니다.

26 처지: 만세통천, 발해 고왕, 거란, 겐메이 천황, 베네치아,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경주 망덕사지, 고질, 곽자의, 김교각, 다고베르투스 2세, 스오 국, 요숭, 이해고, 정유 (간지), 중국의 연호 목록, 지토 천황, 측천무후, 육국사, 속일본기, 손만영, 쇼토쿠 태자, 신공 (무주), 후지와라씨, 690년대.

만세통천

만세통천(萬歲通天)는 중국 무주(武周) 측천무후의 8번째 연호이.

새로운!!: 697년와 만세통천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697년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697년와 거란 · 더보기 »

겐메이 천황

메이 천황(元明天皇, 661년 ~ 721년 12월 29일)는 제43대 일본 천황이.

새로운!!: 697년와 겐메이 천황 · 더보기 »

베네치아

베네치아()는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베네토 주 베네치아 광역시에 속하는 도시로, 베네토 주의 주도(州都)이.

새로운!!: 697년와 베네치아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 베네치아에 있던 도시국가이.

새로운!!: 697년와 베네치아 공화국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697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경주 망덕사지

경주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

새로운!!: 697년와 경주 망덕사지 · 더보기 »

고질

(高質, 626년~697년)은 당나라에 투항한 고구려 귀족이자 장수이며 당나라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697년와 고질 · 더보기 »

곽자의

분양왕 곽자의 곽자의(郭子儀, 697년~781년)는, 중국 당(唐) 왕조를 섬긴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697년와 곽자의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697년와 김교각 · 더보기 »

다고베르투스 2세

베르트 2세 프랑크의 다고베르트 2세(Dagobert II, Dagobertus II) 혹은 다고베르토 2세(Dagoberto II, 650년 경 ~ 679년 12월 23일)는 메로빙거 왕조 출신 프랑크의 군주로, 프랑크 왕국 아우스트라시아 분국의 국왕이었.

새로운!!: 697년와 다고베르투스 2세 · 더보기 »

스오 국

스오 국 스오 국()은 일본 산요도에 있던 옛 구니이.

새로운!!: 697년와 스오 국 · 더보기 »

요숭

요숭(姚崇, 650년 ~ 721년)은, 중국 당 왕조의 정치가이.

새로운!!: 697년와 요숭 · 더보기 »

이해고

이해고(Li Kaigu, 李楷固)는 거란족 무상가한 이진충의 양자였다가 당나라 장수가 된 거란족 출신 인물이.

새로운!!: 697년와 이해고 · 더보기 »

정유 (간지)

정유(丁酉)는 육십간지 중 34번째이.

새로운!!: 697년와 정유 (간지)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697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지토 천황

황(다이카 원년(645년) ~ 다이호 2년 음력 12월 22일(703년 1월 13일))은, 일본의 제41대 천황이자, 실제로 그 치세를 수행했던 여제이다(칭제의 형태로 정무를 살피기 시작한 것은 슈초 원년(686년) 음력 9월 9일)이나, 재위는 지토 천황 4년(690년) 1월 1일(2월 14일) ~ 지토 천황 11년(697년) 8월 1일(8월 22일)). 이름은 우노노사라라 또는 우노노사사라()이며, 일본식 시호는 《속일본기》 다이호 3년(703년) 12월 17일의 화장(火葬)할 무렵의 오호야마토네코아메노히로노히메노미코토(大倭根子天之廣野日女尊)와 《일본서기》의 요로 4년(720년)의 대대의 천황에게 시호를 올리면서 함께 올려진 다카마노하라히로노히메노스메라미코토(高天原廣野姫天皇)가 있다(단 《일본서기》에서 다카마노하라가 기술되는 것은 모두의 제4의 1서뿐). ‘지토’라는 시호는 762년 경에 오우미노 미후네(淡海三船)가 '계체지통(継体持統)'이라는 숙어에서 따서 올린 시호이다.

새로운!!: 697년와 지토 천황 · 더보기 »

측천무후

측천무후(則天武后, 624년 2월 17일 ~ 705년 12월 16일)는 당나라 고종 이치의 황후이자 무주(武周)의 황제(당나라 제 6대 황제)로, 중국의 여자 황제이.

새로운!!: 697년와 측천무후 · 더보기 »

육국사

육국사(六國史) 고대 일본(日本)의 율령국가가 편찬한 6종의 일련의 정사(正史)를 가리키는 말이.(일본서기,속일본기,일본후기,속일본후기,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일본 3대 실록) 일부에 기전체(紀傳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대체로는 편년체(編年體)로 쓰여져 있. 국가 사업으로서 행해진, 일본의 사서의 편찬은 아스카 시대(飛鳥時代)부터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전기에 걸쳐 행해졌고, 6종의 사서가 남았기 때문에, 이것을 육국사라고 부르고 있. 그 때문에 일본에서 간단히 '국사'라고 하면, 육국사를 뜻하게 되는 경우가 있. 일본서기 이전에도 『천황기(天皇記)』, 『국기(国記)』등의 편찬이 행해진 기록이 있으나, 이들은 현존하지 않. 또, 육국사를 편찬한 이후에 「신국사(新国史)」라 칭해지는 일본사 편찬에 관련된 계획이 있었지만, 완성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전. 또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후에도 육국사 이후의 시대를 대상으로 한 사서 편찬이 계획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고, 대신에 대일본사료(大日本史料)가 편찬되게 되었.

새로운!!: 697년와 육국사 · 더보기 »

속일본기

속일본기()는 일본 헤이안 시대 초기에 편찬된 칙찬사서(勅撰史書)로, 『일본서기』에 이어 육국사의 2번째에 해당.

새로운!!: 697년와 속일본기 · 더보기 »

손만영

손만영(孫萬榮, ? ~ 697년, 재위: 696년~697년)은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697년와 손만영 · 더보기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와 동생(왼쪽: 에구리 황자)과 장남(오른쪽: 야마시로 황손),8세기 목판 복제 쇼토쿠 태자 (574년 2월 7일 ~ 622년 4월 8일(일본서기 - 621년 2월 5일설 있음))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황족이자 정치가였던 우마야도 황자(厩戸皇子) 또는 우마야도 왕(厩戸王)에 대한 후세의 호칭이.

새로운!!: 697년와 쇼토쿠 태자 · 더보기 »

신공 (무주)

신공(神功)는 중국 무주(武周) 측천무후의 9번째 연호이.

새로운!!: 697년와 신공 (무주) · 더보기 »

후지와라씨

후지와라 씨()는, 일본의 역사에서 「후지와라(藤原)」를 우지(氏), 혼세(本姓)로 삼았던 신별 씨족(神別氏族)으로 약칭은 도 씨()이.

새로운!!: 697년와 후지와라씨 · 더보기 »

690년대

690년대는 690년부터 69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697년와 690년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