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912년

색인 912년

설명이 없습니다.

55 처지: 도선, 레온 6세, 롤로, 로마노스 1세, 류리크 왕조, 마의태자,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바실리오스 1세, 건화 (후량), 베르나르 르 단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견훤, 고려 혜종, 궁예, 대인선, 대위해, 나카 쓰카사, 드레블랴네족, 담전파,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효공왕, 장화왕후, 임신 (간지), 이언도, 이언도 (건주방어사), 전촉, 주우규, 주우정, 주전충, 중국의 연호 목록, 진천 임씨, 카롤루스 2세 칼부스, 콘라두스 1세, 콘스탄티노스 7세, 수덕만세, 오토 1세 (작센), 오토 1세 (신성 로마 황제), 올레크 베시, 헤르베르트 3세 (오모이), 여구, 엔기, 설거정, 알렉산드로스 (비잔티움), 하인리히 1세, 신덕왕, 신라의 역대 국왕, 시중 (신라의 관직), 후량 (오대), 왕령모, 왕언장, ..., 10세기, 11월 23일, 5월 11일, 7월 18일, 910년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도선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도선(道詵, 827~898, 전라남도 영암 출생)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풍수설의 대가이.

새로운!!: 912년와 도선 · 더보기 »

레온 6세

온 6세 또는 현제 레온(866년 9월 19일 - 912년 5월 11일)은 886년부터 912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912년와 레온 6세 · 더보기 »

롤로

공구 흐롤프() 또는 롤로(846년/854년경 ~ 932년경)는 프랑스에 정착한 바이킹 두목으로, 노르망디 공국 및 노르만인의 시조이.

새로운!!: 912년와 롤로 · 더보기 »

로마노스 1세

마노스 1세 레카피노스 (870년경 - 944년 12월 16일)은 920년부터 944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912년와 로마노스 1세 · 더보기 »

류리크 왕조

리크 왕조는 862년에서 1598년까지 키예프 루시를 지배한 왕조였.

새로운!!: 912년와 류리크 왕조 · 더보기 »

마의태자

마의태자(麻衣太子, 912년? ~ ?)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912년와 마의태자 · 더보기 »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미나모토노 미쓰나카(912년 4월 29일(추정) ~ 997년 10월 6일)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무장이.

새로운!!: 912년와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 더보기 »

바실리오스 1세

바실리오스 1세 (811년경 - 886년 8월 29일)는 867년부터 886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912년와 바실리오스 1세 · 더보기 »

건화 (후량)

화(乾化)은 후량(後梁)의 태조(太祖)인 주전충(朱全忠)의 치세에 쓰였던 오대(五代)의 연호(年號)이.

새로운!!: 912년와 건화 (후량) · 더보기 »

베르나르 르 단와

인의 베른하르트(Bernard the Dane 또는 Bernard le Danois, 880년 - 960년)은 덴마크 출신 프랑스 바이킹 제후.

새로운!!: 912년와 베르나르 르 단와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912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견훤

훤(甄萱, 867년~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935년 음력 3월)은 후백제를 건국한 후백제의 시조이.

새로운!!: 912년와 견훤 · 더보기 »

고려 혜종

혜종(惠宗, 912년~945년 10월 23일 (음력 9월 15일))은 고려(高麗) 제2대 군주(재위:943년~945년)이다. 자(字)는 승건(承乾), 휘(暉)는 무(武), 묘호(廟號)는 혜종(惠宗), 시호(諡號)는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이다.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오다련(吳多憐)의 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며, 비(妃)는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인 의화왕후(義和王后)이다. 외가의 가세가 미약하여 지위의 위협을 받게 되자 부왕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고려(高麗) 건국 직후 그를 바로 정윤(正尹)으로 삼은 뒤에 921년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하였다. 재위 3년만에 사망하였으나 사망원인은 불명확하다.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적통을 이어받아 왕위에 오른 혜종(惠宗)의 위상은 남다른 바가 있으니 고려사(高麗史) 태묘악장(太廟樂章)에서 혜종(惠宗)은 어느 왕들보다 칭송을 받게 된다.

새로운!!: 912년와 고려 혜종 · 더보기 »

궁예

궁예(金弓裔, 869년 음력 5월 5일 ~ 918년 7월 24일, 재위: 901년 7월 ~ 918년 7월 24일(음력 6월 14일))는 신라의 왕가 서족(王家 庶族) 출신의 승려이자, 태봉의 군주이.

새로운!!: 912년와 궁예 · 더보기 »

대인선

인선(大諲譔, 생몰년 미상, 재위: 906년? ~ 926년) 은 발해 최후의 국왕이.

새로운!!: 912년와 대인선 · 더보기 »

대위해

위해(大瑋瑎, ? ~ 906년?, 재위: 894년? ~ 906년?)는 발해의 제14대 국왕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새로운!!: 912년와 대위해 · 더보기 »

나카 쓰카사

섬네일 나카 쓰카사(中務, 912년 ~ 991년)는 일본 헤이안 시대 중기의 황족, 시인이.

새로운!!: 912년와 나카 쓰카사 · 더보기 »

드레블랴네족

블랴네족을 상대로 복수를 감행하는 올가 드레블랴네족()은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현재의 우크라이나 북부, 벨라루스 남부에 거주했던 동슬라브족 계열의 부족이.

새로운!!: 912년와 드레블랴네족 · 더보기 »

담전파

전파(譚全播, Tan Quanbo, 834년? ~ 918년?《십국춘추(十國春秋)》《자치통감》제270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백승군 절도사(百勝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로서 913년부터 918년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하였.

새로운!!: 912년와 담전파 · 더보기 »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스 2세 포카스(그리스어: Νικηφόρος Β΄ Φωκάς, 912년경 –969년)는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유능한 장군 출신 황제(재위기간:963-969)로 연이은 군사적 성공을 이끌었.

새로운!!: 912년와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 더보기 »

효공왕

효공왕(孝恭王, ? ~ 912년 4월, 재위: 897년 음력 6월 1일 ~ 912년 4월)은 신라의 제52대 왕이.

새로운!!: 912년와 효공왕 · 더보기 »

장화왕후

장군시절의 태조 왕건과 오씨(훗날의 장화왕후)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 吳氏)는 오다련(吳多憐)과 연덕교(連德交) 소생이자 태조(太祖)의 제2왕후이.

새로운!!: 912년와 장화왕후 · 더보기 »

임신 (간지)

임신(壬申)은 육십간지 중 9번째이.

새로운!!: 912년와 임신 (간지) · 더보기 »

이언도

이언도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912년와 이언도 · 더보기 »

이언도 (건주방어사)

이언도(李彦圖, Li Yantu, ? ~ 913년)는 오대십국 시대 전기 때 912년부터 913년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했던 군인이.

새로운!!: 912년와 이언도 (건주방어사) · 더보기 »

전촉

전촉(前蜀, 907년 ~ 925년)은 중국의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성도를 중심으로 한 사천성을 지배하던 나라로 절도사였던 왕건이 건국하였.

새로운!!: 912년와 전촉 · 더보기 »

주우규

주우규(朱友珪, 888년? ~ 913년)는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912년와 주우규 · 더보기 »

주우정

주우정(朱友貞, 888년 ~ 923년)은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제3대 황제.

새로운!!: 912년와 주우정 · 더보기 »

주전충

주전충(朱全忠, 852년 10월 21일 ~ 912년 7월 18일, 재위: 907년 ~ 912년)은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창건자로서 초대 황제이.

새로운!!: 912년와 주전충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912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진천 임씨

임씨(鎭川 林氏)는 충청북도 진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912년와 진천 임씨 · 더보기 »

카롤루스 2세 칼부스

스 2세 칼부스(823년 6월 13일 – 877년 10월 6일)은 840년부터 서프랑크 왕국의 왕이었고 875년에는 서로마 제국 황제이었.

새로운!!: 912년와 카롤루스 2세 칼부스 · 더보기 »

콘라두스 1세

1세 (Conrad I, 독일어: Konrad; 890년경 – 918년 12월 23일)은 동프랑크 왕국의 귀족으로 906년 부터 프랑켄의 공작이었고 911년부터 죽을 때까지 동프랑크의 왕이었.

새로운!!: 912년와 콘라두스 1세 · 더보기 »

콘스탄티노스 7세

스탄티노스 7세 포르피로옌니토스 (905년 - 959년 11월 9일)은 913년부터 959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912년와 콘스탄티노스 7세 · 더보기 »

수덕만세

수덕만세(水德萬歲)는 태봉 궁예의 연호이.

새로운!!: 912년와 수덕만세 · 더보기 »

오토 1세 (작센)

오토 1세(Otto I, 840년/851년/866년 12월 24일 - 912년 11월 30일)은 동프랑크 왕국의 귀족으로 작센 공작이었.

새로운!!: 912년와 오토 1세 (작센) · 더보기 »

오토 1세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912년 11월 23일 ~ 973년 5월 7일) 또는 오토 대제()는, 하인리히 1세와 링엘하임의 마틸데의 아들로, 작센 공작이자 독일 및 이탈리아의 왕이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첫 황제로 인정받고 있. 951년 그는 도움을 청한 로타리오 3세의 미망인 아델라이드의 구원 요청으로 이탈리아를 침입해 베렝가리오 2세를 독일 왕의 신하로 만들었으며, 계속 반발을 하자 961년 이탈리아를 재침공하여 베렝가리오 2세를 격파하고 962년 교황 요한 12세에 의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제관을 받았.

새로운!!: 912년와 오토 1세 (신성 로마 황제) · 더보기 »

올레크 베시

올레크 베시(생년 미상 ~ 912년)는 노브고로드(벨리키노브고로드)의 대공(재위: 879년 ~ 912년)이자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재위: 882년 ~ 912년)이.

새로운!!: 912년와 올레크 베시 · 더보기 »

헤르베르트 3세 (오모이)

오모이의 헤르베르트 3세(Herbert III de Omois, 910년/913년 - 980년/985년/993년) 또는 베르망두아의 헤르베르트 3세(Herbert III of Vermandois), 헤르베르트 장로공(Herbert the old)는 헤르베르터 왕조 출신 오모아의 백작으로 943년부터 오모아의 백작으로 재직.

새로운!!: 912년와 헤르베르트 3세 (오모이) · 더보기 »

여구

여구(黎球, Li Qiu, ? ~ 911년/912년《자치통감》 제268권)는 중국 오대십국 시대 전기에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했던 군인으로, 911년에 전임 지배자였던 노연창을 암살한 후, 일시적으로 건주를 지배하였.

새로운!!: 912년와 여구 · 더보기 »

엔기

엔기()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912년와 엔기 · 더보기 »

설거정

설거정(薛居正, 912년 ~ 981년)은 중국 송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912년와 설거정 · 더보기 »

알렉산드로스 (비잔티움)

알렉산드로스 (871년 - 913년 6월 6일)은 912년 5월부터 913년 6월 6일까지 13개월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912년와 알렉산드로스 (비잔티움) · 더보기 »

하인리히 1세

인리히 1세 또는 하인리히 매사냥꾼왕 (독일어: Heinrich der Finkler 또는 Heinrich der Vogler; 라틴어: Henricius Auceps) (873년 또는 876년 – 936년 7월 2일)은 912년부터 작센 공작, 919년부터는 독일 국왕이었.

새로운!!: 912년와 하인리히 1세 · 더보기 »

신덕왕

신덕왕(神德王, ? ~ 917년, 재위: 912년 ~ 917년)은 신라의 제53대 왕이.

새로운!!: 912년와 신덕왕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912년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912년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후량 (오대)

후량(後梁, 907년 ~ 923년)은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912년와 후량 (오대) · 더보기 »

왕령모

왕령모(王令謀, ? ~ 937년 10월 10일《자치통감》, 권281.)는 중국 오대십국 시대 오나라 섭정 서지고(훗날의 남당 열조 이변)의 측근이었.

새로운!!: 912년와 왕령모 · 더보기 »

왕언장

왕언장(王彦章, 863년《구오대사》, 권21. ~ 923년 11월 15일《자치통감》, 권272.)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량의 대장이었.

새로운!!: 912년와 왕언장 · 더보기 »

10세기

10세기는 901년부터 1000년까지이.

새로운!!: 912년와 10세기 · 더보기 »

11월 23일

1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7번째(윤년일 경우 3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912년와 11월 23일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912년와 5월 11일 · 더보기 »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912년와 7월 18일 · 더보기 »

910년대

910년대는 910년부터 91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912년와 910년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