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GTK+

색인 GTK+

GTK+는 김프 툴킷(GIMP Toolkit)의 준말로, 초기에 김프를 위해서 만든 툴킷이었으며 X 윈도 시스템을 위한 위젯 툴킷 가운데 하나이.

58 처지: 데비안 인스톨러, 마이페인트, 마테 (소프트웨어), 모티프 (위젯 툴킷), 미도리 (웹 브라우저), 미고 (운영 체제), 발라 (프로그래밍 언어), 개인 위키, 가제하카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놈, 기니 (소프트웨어), 김프, 댐 스몰 리눅스, 딜로, 넷프론트, 노틸러스 (파일 관리자), Freedesktop.org, Gedit, GLib, GNU 패키지 목록, GParted, GStreamer, GTK+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 우분투 마테, 입력기, 포플러 (소프트웨어), 폭스 툴킷,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쿠분투, 유비퀴티 (인스톨러), 유닉스 플랫폼 입력기 목록, 유즈블, 파일 관리자, 위젯 툴킷, 오픈디스크, 에메센, 에벌루션 (소프트웨어), 엑스챗, 톰보이 (소프트웨어), 앱티튜드, 핀타, 시나몬 (소프트웨어), 웹 (웹 브라우저), 와이어샤크, Leafpad, LXQt, MinGW, OCaml, OpenGL, ..., Qt (프레임워크), QtParted, SCIM, TiMidity++, Twm, WxWidgets, Xfce, Xlib.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 더) »

데비안 인스톨러

비안 인스톨러(Debian-Installer)는 데비안의 설치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데비안 인스톨러 · 더보기 »

마이페인트

마이페인트(MyPaint)는 이미지 조작이나 후처리가 아닌 페인팅에 초점을 두는 디지털 페인터를 위한 자유-오픈 소스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이.

새로운!!: GTK+와 마이페인트 · 더보기 »

마테 (소프트웨어)

MATE(마테)는 완전히 새로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그놈 3가 2011년 4월에 출시되면서 기존의 데스크톱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그놈 2의 관리 및 개발이 중단되었는데 이 중단된 그놈 2가 다시 개발되어 이를 계승하는 데스크톱 환경이.

새로운!!: GTK+와 마테 (소프트웨어) · 더보기 »

모티프 (위젯 툴킷)

Xt와 관련 라이브러리 X Window System graphics stack 모티프 (Motif)는 X 윈도 시스템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툴킷이고, 유닉스와 POSIX 호환 시스템에서 작동.

새로운!!: GTK+와 모티프 (위젯 툴킷) · 더보기 »

미도리 (웹 브라우저)

미도리(Midori)는 발라와 C, GTK+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이.

새로운!!: GTK+와 미도리 (웹 브라우저) · 더보기 »

미고 (운영 체제)

미고()는 노키아, 인텔, 리눅스 재단이 공동으로 개발한 모바일 운영 체제이.

새로운!!: GTK+와 미고 (운영 체제) · 더보기 »

발라 (프로그래밍 언어)

발라()는 셀프 호스팅 컴파일러를 가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

새로운!!: GTK+와 발라 (프로그래밍 언어) · 더보기 »

개인 위키

인 위키는 주로 개인 용도로 이용되는 위키를 말. 개인 위키는 커뮤니티 위키와 비슷하게 소유자의 데스크톱 환경이나 모바일 컴퓨팅 기기에 구현시킨 정보의 소유자만 접속 가능하나, 커뮤니티 위키와 달리 여러 사용자의 협업을 받을 필요는 없. 개인 위키 소프트웨어는 하나의 개인 위키를 다른 여러 사용자에게 통째로 나누어 줄 수가 있으며 이 위키 소프트웨어를 데이터베이스 엔진이나 웹서버 도움 없이 개인 용도로 설계할 수 있. 여기에는 모인모인이나 트위키가 있으며 이 위키의 경우 역시 개인 용도로만 쓸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 여기에는 추가적으로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WAMP/LAMP 소프트웨어 번들이 필요하지만 이것이 소유자 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하는 것은 아. 일부 개인 위키 중에서는 개인 웹서버 혹은 서드파티에 호스팅시켜 누구나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는 곳도 있.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해당 개인 위키의 소유자는 다른 컴퓨터나 PDA 등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

새로운!!: GTK+와 개인 위키 · 더보기 »

가제하카세

제하카세()는 유닉스 계통 운영체제용으로 GTK+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며,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 게코 레이아웃 엔진과 웹키트를 사용.

새로운!!: GTK+와 가제하카세 · 더보기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페도라에서 AIGLX로 구동한 컴피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는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그림으로 된 화면 위의 물체나 틀, 색상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을 어떠한 기능과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이.

새로운!!: GTK+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더보기 »

그놈

(GNOME: 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은 데스크톱 프로그램 집합의 일종이기도 하며 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의 이름이.

새로운!!: GTK+와 그놈 · 더보기 »

기니 (소프트웨어)

(Geany)는 가벼운 크로스 플랫폼 GTK+ 문서 편집기로 Scintilla에 기초하며 기본적인 통합개발환경(IDE) 기능을.

새로운!!: GTK+와 기니 (소프트웨어) · 더보기 »

김프

(GIMP,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는 그림을 편집하는 데 쓰이는 자유 소프트웨어이.

새로운!!: GTK+와 김프 · 더보기 »

댐 스몰 리눅스

스몰 리눅스()는 John Andrews, et al.가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

새로운!!: GTK+와 댐 스몰 리눅스 · 더보기 »

딜로

(Dillo)는 임베디드 시스템, 오래되거나 느린 컴퓨터를 위한 작은 웹 브라우저.

새로운!!: GTK+와 딜로 · 더보기 »

넷프론트

PSP의 웹 브라우저는 넷프론트에 기반해 있다. 넷프론트(NetFront)는 임베디드 기기용 모바일 웹 브라우저로, 일본의 Access Co.

새로운!!: GTK+와 넷프론트 · 더보기 »

노틸러스 (파일 관리자)

스(Nautilus)는 그놈 데스크톱의 공식 파일 관리자이.

새로운!!: GTK+와 노틸러스 (파일 관리자) · 더보기 »

Freedesktop.org

freedesktop.org는 X 윈도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데스크톱과 관련된 정보 처리 상호 운용 및 공용 기술을 규격 문서화하고 해당 요소들을 사용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을 호스팅하는 사이트이.

새로운!!: GTK+와 Freedesktop.org · 더보기 »

Gedit

에디트(gedit)는 그놈 데스크톱 환경용으로 개발된 자유 소프트웨어인 텍스트 편집기이.

새로운!!: GTK+와 Gedit · 더보기 »

GLib

GLib은 GTK+ 프로젝트의 일부로 시작된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이.

새로운!!: GTK+와 GLib · 더보기 »

GNU 패키지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GTK+와 GNU 패키지 목록 · 더보기 »

GParted

GParted는 디스크 파티션 편집 소프트웨어.

새로운!!: GTK+와 GParted · 더보기 »

GStreamer

GStreamer는 GObject 기반 자료형 체계와 더불어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파이프라인 기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

새로운!!: GTK+와 GStreamer · 더보기 »

GTK+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

아래는 GUI 위젯을 위해 GTK+ 및 클러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이.

새로운!!: GTK+와 GTK+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 · 더보기 »

우분투 마테

우분투 마테 (Ubuntu MATE)는 자유-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이자 우분투의 공식 2차적 저작물이.

새로운!!: GTK+와 우분투 마테 · 더보기 »

입력기

중국어 병음 기반 IME를 조작하는 모습. 입력기 또는 입력 방식 편집기(input method editor, IME)는 한글, 한자처럼 컴퓨터 자판에 있는 글쇠보다 수가 더 많은 문자를 계산하거나 조합하여 입력해 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

새로운!!: GTK+와 입력기 · 더보기 »

포플러 (소프트웨어)

(Poppler)는 PDF 문서 렌더링을 수행하는 라이브러리이.

새로운!!: GTK+와 포플러 (소프트웨어) · 더보기 »

폭스 툴킷

폭스 툴킷은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위젯 툴킷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만드는 라이브러리이.

새로운!!: GTK+와 폭스 툴킷 · 더보기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C 버클리 캠퍼스 풍경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버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 대학교이며 미국을 대표하는 공립대학교이.

새로운!!: GTK+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더보기 »

쿠분투

분투(Kubuntu)는 우분투를 기반으로 KDE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이.

새로운!!: GTK+와 쿠분투 · 더보기 »

유비퀴티 (인스톨러)

유비퀴티(Ubiquity)는 우분투와 그 파생 배포판들의 기본 설치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유비퀴티 (인스톨러) · 더보기 »

유닉스 플랫폼 입력기 목록

분류:유닉스.

새로운!!: GTK+와 유닉스 플랫폼 입력기 목록 · 더보기 »

유즈블

유즈블(uzbl)은 C와 GTK+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이.

새로운!!: GTK+와 유즈블 · 더보기 »

파일 관리자

미드나잇 커맨더. 파일 관리자 또는 파일 탐색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파일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파일 관리자 · 더보기 »

위젯 툴킷

위젯 툴킷(widget toolkit), 위젯 라이브러리(widget library), GUI 툴킷(GUI toolkit)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이용하기 위한 위젯을 모아 둔 것이.

새로운!!: GTK+와 위젯 툴킷 · 더보기 »

오픈디스크

오픈디스크(OpenDisc)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질 높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을 엄선하여 제공하는 계획이.

새로운!!: GTK+와 오픈디스크 · 더보기 »

에메센

에메센(Emesene)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닷넷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픈 소스 인스턴트 메신저이.

새로운!!: GTK+와 에메센 · 더보기 »

에벌루션 (소프트웨어)

에벌루션(Evolution, 이전 이름: 노벨 에벌루션, 시미엔 에벌루션)은 그놈의 공식 개인 정보 관리자이.

새로운!!: GTK+와 에벌루션 (소프트웨어) · 더보기 »

엑스챗

엑스챗(X-Chat)은 유닉스 계열에 널리 사용되는 IRC 클라이언트이.

새로운!!: GTK+와 엑스챗 · 더보기 »

톰보이 (소프트웨어)

보이(Tomboy)는 데스크톱의 쪽지나 메모를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톰보이 (소프트웨어) · 더보기 »

앱티튜드

앱티튜드(aptitude)는 어드밴스트 패키징 툴 (APT)의 프론트엔드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앱티튜드 · 더보기 »

핀타

(Pinta)는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비트맵 이미지 편집 및 제작 프로그램이. Paint.NET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그림판과 유사한 기능을 보유하였.

새로운!!: GTK+와 핀타 · 더보기 »

시나몬 (소프트웨어)

시나몬(Cinnamon)은 GTK+ 3 툴킷 기반의 데스크톱 환경이.

새로운!!: GTK+와 시나몬 (소프트웨어) · 더보기 »

웹 (웹 브라우저)

웹(Web, 이전 이름: 에피파니(Epiphany, 주현절)은 그놈 컴퓨터 데스크톱상의 웹 브라우저이다. 갈레온의 자손격 되는 브라우저이기도 하다. 이것은 모질라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게코 레이아웃 엔진(2.26.3 이전)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웹키트(2.28 이후) 엔진을 사용한다. 많은 게코 기반 브라우저들처럼, 웹은 탭 브라우징, 쿠키 관리, 팝업 차단 그리고 확장 기능 시스템을 제공한다. 웹은 웹 확장 패키지를 이용해 확장할 수 있다. 다만 웹은 툴 킷에 GTK+2를 사용해 GNOME과 잘 통합되고 있어 모질라 XU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모질라 파이어폭스와 달리 XUL를 사용한 확장 기능은 사용할 수 없으며, 독자적인 확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계층화된 폴더를 바탕으로 한 북마크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웹은 북마크를 분류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북마크는 ("위키백과"와 같은) 여러 개의 카테고리 ("위키", "백과사전", 그리고 "웹사이트"와 같이)에 존재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한 북마크와 분류되지 않은 북마크를 보여주는 특별한 카테고리도 있다. 이것은 이것은 SQLite 데이터베이스로 북마크와 역사를 통합할 계획인 Firefox 3.0에서 자리잡을 특징과 비슷하다. 웹이 지원하는 또다른 혁신적인 기능은 (원래는 갈레온에서 지원한 기능이다) "스마트 북마크"이다. 이 기능은 툴바에 있는 주소창 또는 텍스트박스에서 하나의 주제를 따와 가지고 간다. 웹은 GNOME의 휴먼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에 충실히 따르며 간단한 사용자 경험을 목표로 갈레온의 창시자이기도 한 Marco Pesenti Gritti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 결과, 웹은 독자적인 테마 설정이 없다. 이것은 GNOME Control Center에서 설정할 수 있는 GNOME 설정에만 따른다.

새로운!!: GTK+와 웹 (웹 브라우저) · 더보기 »

와이어샤크

와이어샤크(Wireshark)는 자유 및 오픈 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이.

새로운!!: GTK+와 와이어샤크 · 더보기 »

Leafpad

잎사귀메모장(Leafpad)은 GPL라이센스 로 작성된 무료 소프트웨어이.

새로운!!: GTK+와 Leafpad · 더보기 »

LXQt

LXQt는 완전한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발 중인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번들이.

새로운!!: GTK+와 LXQt · 더보기 »

MinGW

MinGW(과거 이름: mingw32)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로 포팅한 GNU 소프트웨어 도구 모음이.

새로운!!: GTK+와 MinGW · 더보기 »

OCaml

OCaml(Objective Caml)은 Caml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요 구현체로서 Xavier Leroy, Jérôme Vouillon, Damien Doligez, Didier Rémy 등의 사람들이 1996년에 작성하였.

새로운!!: GTK+와 OCaml · 더보기 »

OpenGL

오픈 그래픽 라이브러리(줄여서 OpenGL)은 1992년 실리콘 그래픽스사에서 만든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스 표준 API 규격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간 플랫폼 간의 교차 응용 프로그래밍을 지원.

새로운!!: GTK+와 OpenGL · 더보기 »

Qt (프레임워크)

Qt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GUI 프로그램 개발에 널리 쓰이는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이.

새로운!!: GTK+와 Qt (프레임워크) · 더보기 »

QtParted

Qt파티드(QtParted)는 디스크 편집 소프트웨어.

새로운!!: GTK+와 QtParted · 더보기 »

SCIM

SCIM 로고 SCIM(Smart Common Input Method)은 30개 이상의 언어(CJK와 각종 유럽어)를 지원하는 POSIX 스타일 운영 체제(리눅스나 BSD를 포함)를 위한 입력기 플랫폼이.

새로운!!: GTK+와 SCIM · 더보기 »

TiMidity++

TiMidity++(간단히 TiMidity)는 하드웨어 신시사이저 없이도 미디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이.

새로운!!: GTK+와 TiMidity++ · 더보기 »

Twm

twm(Tom's Window Manager → Tab Window Manager → Timeless Windows Manager)은 X 윈도 시스템의 초창기 창관리자 가운.

새로운!!: GTK+와 Twm · 더보기 »

WxWidgets

wxWidgets (이전 이름: wxWindows)는 크로스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주는 위젯 툴킷이.

새로운!!: GTK+와 WxWidgets · 더보기 »

Xfce

Xfce(엑스에프시이)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GNU/리눅스, 솔라리스, BSD 등) 플랫폼을 위한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이.

새로운!!: GTK+와 Xfce · 더보기 »

Xlib

Xlib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X 윈도 시스템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이.

새로운!!: GTK+와 Xlib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GTK, Gtk, 김프 툴킷.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