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색인 ㄱ

ㄱ()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

43 처지: , , , , , , , , , , ,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고려말, , , 닿소리, 자질문자, 편경, 이음 (음운론), 조선어 신철자법, 찌아찌아어, 청음과 탁음, 체로키 문자, 유기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파열음, 영화 목록/ㄱ, 오음 (음운학), 예사소리, 서울대학교, 한글 낱자, 한글 낱자 목록,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 한글 점자,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한국의 사라진 성씨, 아음, 훈몽자회, 8.

ㄲ()은 한글 낱자의 ㄱ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ㄱ와 ㄲ · 더보기 »

ㄳ(기역시옷)은 한글 낱자의 ㄱ과 ㅅ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ㄳ · 더보기 »

ㄶ(니은히읗)은 한글 낱자의 ㄴ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ㄶ · 더보기 »

ㄺ(리을기역)은 한글 낱자의 ㄹ과 ㄱ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ㄺ · 더보기 »

ㆁ(옛이응, 꼭지이응)은 훈민정음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법에는 쓰이지 않. 17세기에 사라져 현재는 그 자형은 없어지고 끝소리 ㅇ으로 남아 있. 훈몽자회에서는 지금의 이응을 이(伊), 옛이응을 (異凝)으로 불.

새로운!!: ㄱ와 ㆁ · 더보기 »

(미음기역)은 1933년 발표된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서 도입되었던 한글 낱자로, ㅁ과 ㄱ의 합자이.

새로운!!: ㄱ와 ᇚ · 더보기 »

ᅟᅠᆨᆫ(ᅟᅠᆨᆫ, 기역니은)은 한글 낱자 ㄱ과 ㄴ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ᇺ · 더보기 »

(ㄱㄹ, 기역리을)은 한글 낱자 ㄱ과 ㄹ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ᇃ · 더보기 »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새로운!!: ㄱ와 ㅎ · 더보기 »

ᅁ(이응기역)은 한글 낱자 ㅇ과 ㄱ을 겹들여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ᅁ · 더보기 »

(키읔)은 한글 닿소리 중 열한째 글자이.

새로운!!: ㄱ와 ㅋ · 더보기 »

ㅀ(리을히읗)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ㄱ와 ㅀ · 더보기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無聲齒莖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ㄱ와 무성 치경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無聲兩脣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ㄱ와 무성 양순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無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ㄱ와 무성 연구개 파열음 · 더보기 »

고려말

말()은 구소련 국가에 사는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방언이.

새로운!!: ㄱ와 고려말 · 더보기 »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ㄱ와 그 · 더보기 »

낫 낫은 풀, 나무, 곡식 등을 베는 'ㄱ'자 모양의 농기구이.

새로운!!: ㄱ와 낫 · 더보기 »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ㄱ와 닿소리 · 더보기 »

자질문자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alphabet)는 표음 문자의 일종으로, 조음 위치와 같은 음운의 자질이 반영된 문자 체계이.

새로운!!: ㄱ와 자질문자 · 더보기 »

편경

200px 200px 편경(編磬)은 중국과 한국의 전통 악기이.

새로운!!: ㄱ와 편경 · 더보기 »

이음 (음운론)

이음(異音) 또는 변이음(變異音)은 어떤 말소리가 여러 조건에서 다른 발음이 될 경우 언어 화자의 머릿속에는 같은 말소리로 인식되는 소리를 말. 즉 같은 음소로 인식되는 소리.

새로운!!: ㄱ와 이음 (음운론) · 더보기 »

조선어 신철자법

조선어 신철자법(朝鮮語新綴字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성립 전의 38선 이북에서 조선 어문 연구회가 1948년 1월 15일에 정한 한국어 맞춤법으로, 1954년 조선어 철자법이 제정될 때까지 38선 이북의 유일한 공식적인 맞춤법 규범이었.

새로운!!: ㄱ와 조선어 신철자법 · 더보기 »

찌아찌아어

아찌아어(Bahasa Ciacia)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주, 부톤 섬 남부의 바우바우 시에서 쓰는 언어의 하나로서 말 그대로 소수 부족인 찌아찌아족이 쓰는 언어이.

새로운!!: ㄱ와 찌아찌아어 · 더보기 »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새로운!!: ㄱ와 청음과 탁음 · 더보기 »

체로키 문자

문자는 체로키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이.

새로운!!: ㄱ와 체로키 문자 · 더보기 »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새로운!!: ㄱ와 유기음 · 더보기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有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ㄱ와 유성 연구개 파열음 · 더보기 »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이 문서에서는 언어별 휴대전화 문자 입력 방식을 기술.

새로운!!: ㄱ와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 더보기 »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ㄱ와 파열음 · 더보기 »

영화 목록/ㄱ

음은 'ㄱ'자로 시작하는 영화 목록이.

새로운!!: ㄱ와 영화 목록/ㄱ · 더보기 »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새로운!!: ㄱ와 오음 (음운학) · 더보기 »

예사소리

예사소리(例事--)는 숨을 거세게 내지 않으며 목을 긴장시키지 않는 소리.

새로운!!: ㄱ와 예사소리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ㄱ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새로운!!: ㄱ와 한글 낱자 · 더보기 »

한글 낱자 목록

음은 옛 한글을 포함한 모든 한글 낱자 목록이.

새로운!!: ㄱ와 한글 낱자 목록 · 더보기 »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

음은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이.

새로운!!: ㄱ와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 · 더보기 »

한글 점자

점자 한글 점자(-點字)는 한글을 점자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문자 체계이.

새로운!!: ㄱ와 한글 점자 · 더보기 »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림으로 나타낸 상용 조합형 인코딩의 구조. 어두운 초록색은 미완성 한글이다.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또는 상용 조합형은 2바이트 문자 인코딩으로, 그냥 조합형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ㄱ와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 더보기 »

한국의 사라진 성씨

국의 사라진 성씨는 문헌에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지 않는 성씨를 말.

새로운!!: ㄱ와 한국의 사라진 성씨 · 더보기 »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ㄱ와 아음 · 더보기 »

훈몽자회

오른쪽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최세진이 1527년에 쓴 한자 학습서이.

새로운!!: ㄱ와 훈몽자회 · 더보기 »

8

8(팔)은 7보다 크고 9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ㄱ와 8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 , 기윽, 기역,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