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9 처지: ㄶ, ㄺ, ㆁ, ㆅ, ᇘ, ㅎ, ㅋㅋ, ㅀ, 된소리와 예사소리, 무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닿소리, ퟗ, 자질문자, 중국어의 한글 표기, 청음과 탁음, 유기음,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파열음, 영화 목록/ㅋ, 오음 (음운학), 한글 낱자, 한글 낱자 목록,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 한글 점자,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아음, 훈몽자회, W (동음이의).
ㄶ
ㄶ(니은히읗)은 한글 낱자의 ㄴ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보다 ㅋ와 ㄶ
ㄺ
ㄺ(리을기역)은 한글 낱자의 ㄹ과 ㄱ을 겹쳐 놓은 것이.
보다 ㅋ와 ㄺ
ㆁ
ㆁ(옛이응, 꼭지이응)은 훈민정음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법에는 쓰이지 않. 17세기에 사라져 현재는 그 자형은 없어지고 끝소리 ㅇ으로 남아 있. 훈몽자회에서는 지금의 이응을 이(伊), 옛이응을 (異凝)으로 불.
보다 ㅋ와 ㆁ
ㆅ
ㆅ(쌍히읗)은 한글 낱자의 ㅎ을 거듭 쓴 것으로,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 한글 초성이.
보다 ㅋ와 ㆅ
ᇘ
ᅟᅠᇘ(리을키읔)은 ㄹ과 ㅋ을 나란히 놓은 것으로 ㄹ과 ㅋ을 이중 조음.
보다 ㅋ와 ᇘ
ㅎ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보다 ㅋ와 ㅎ
ㅋㅋ
민국의 인터넷 신조어로, 한글 자음 중 하나인 'ㅋ'를 이용해 웃음소리를 표현한 것이.
보다 ㅋ와 ㅋㅋ
ㅀ
ㅀ(리을히읗)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보다 ㅋ와 ㅀ
된소리와 예사소리
소리(경음, 硬音, fortis)와 예사소리(例事--, 연음, 軟音, lenis)는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
보다 ㅋ와 된소리와 예사소리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보다 ㅋ와 무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無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ㅋ와 닿소리
ퟗ
(ㄹㄹㅋ, 쌍리을키읔)은 한글 낱자 ㄹ, ㄹ, ㅋ을 겹쳐 놓은 것이.
보다 ㅋ와 ퟗ
자질문자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alphabet)는 표음 문자의 일종으로, 조음 위치와 같은 음운의 자질이 반영된 문자 체계이.
보다 ㅋ와 자질문자
중국어의 한글 표기
중국어의 한글 표기(中國語-表記)는 중국어를 한글로 적는 외래어 표기법이.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보다 ㅋ와 청음과 탁음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보다 ㅋ와 유기음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이 문서에서는 언어별 휴대전화 문자 입력 방식을 기술.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ㅋ와 파열음
영화 목록/ㅋ
음은 'ㅋ'자로 시작하는 영화 목록이.
보다 ㅋ와 영화 목록/ㅋ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보다 ㅋ와 오음 (음운학)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보다 ㅋ와 한글 낱자
한글 낱자 목록
음은 옛 한글을 포함한 모든 한글 낱자 목록이.
보다 ㅋ와 한글 낱자 목록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
음은 한글 낱자 코드 참조표이.
한글 점자
점자 한글 점자(-點字)는 한글을 점자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문자 체계이.
보다 ㅋ와 한글 점자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림으로 나타낸 상용 조합형 인코딩의 구조. 어두운 초록색은 미완성 한글이다. 한글 상용 조합형 인코딩 또는 상용 조합형은 2바이트 문자 인코딩으로, 그냥 조합형이라고도 불린.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보다 ㅋ와 아음
훈몽자회
오른쪽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최세진이 1527년에 쓴 한자 학습서이.
보다 ㅋ와 훈몽자회
W (동음이의)
W 또는 w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보다 ㅋ와 W (동음이의)
또한 키읔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