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가쓰라-태프트 밀약

색인 가쓰라-태프트 밀약

쓰라-태프트 밀약(桂・タフト密約) 또는 가쓰라-태프트 협정()은 러일 전쟁 직후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과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문제를 놓고 1905년 7월 29일 당시 미국 육군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서 회담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화 기록이.

32 처지: 미국의 대외 관계, 민영환, 가쓰라 다로, 고문 정치, 김윤정 (1869년),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필리핀 관계, 대한제국, 다카히라-루트 협정, 장면, 포츠머스 조약, 이승만, 이상재, 이완용, 일제 강점기, 일진회, 을사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진다 스테미, 청나라의 반식민지화, 유길준, 윤치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영일 동맹, 한미 관계, 한일 병합 조약, 한일 관계, 필리핀의 역사, 시어도어 루스벨트, 1905년,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7월 29일.

미국의 대외 관계

미국의 대외 관계에서는 미국과 다른 나라들 간의 관계를.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미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민영환 · 더보기 »

가쓰라 다로

쓰라 다로(1848년 1월 4일 ~ 1913년 10월 10일)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가쓰라 다로 · 더보기 »

고문 정치

문정치(顧問政治)란, 고문을 통해 간접통치하는 통치유형을 말. 1904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은 제1차 한일 협약을.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고문 정치 · 더보기 »

김윤정 (1869년)

윤정, 1925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김윤정 (1869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필리핀 관계

민국과 필리핀은 일본과 미국이 체결한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피식민지 국가로서 반식민지운동을 전개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1949년 3월 3일에 정식 외교관계를 맺었.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대한민국-필리핀 관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다카히라-루트 협정

히라 고고로 엘리후 루트 루트-다카히라 협정() 또는 다카히라-루트 협정()은 미국 국무부 장관 엘리후 루트와 일본의 다카히라 고고로 주미대사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어 1908년 11월 30일에 체결된 일본 제국과 미국 간의 협정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다카히라-루트 협정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장면 · 더보기 »

포츠머스 조약

머스 조약(Treaty of Portsmouth)은 1905년 9월 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의 대통령의 중재로 미국 뉴햄프셔 주에 있는 군항 도시 포츠머스에서 일본 제국의 전권외상 고무라 주타로와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 세르게이 비테 간에 맺은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포츠머스 조약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이상재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이완용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일진회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진다 스테미

스테미. (1922년) 진다 스테미 (1857년 1월 19일 ~ 1929년 1월 16일)는 일본의 외교관, 관료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진다 스테미 · 더보기 »

청나라의 반식민지화

청나라는 1840년의 아편 전쟁 이후로 유럽 열강들의 계속되는 침략을 받았으며, 1900년에 이르면 열강의 이권 침탈로 인해 반 식민지 상태로 전락하였.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청나라의 반식민지화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유길준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윤치호 · 더보기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William Howard Taft,, 1857년 9월 15일 ~ 1930년 3월 8일)는 미국의 27번째 대통령(1909~1913)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더보기 »

영일 동맹

영일 동맹(英日同盟)은 1902년 1월 30일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하여 이해를 함께하던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과 일본(일본 제국) 양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영일 동맹 · 더보기 »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한미 관계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필리핀의 역사

리핀의 역사는 2007년 칼라오 원인이 발겸됨으로써 적어도 67,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측되고 있. 네그리토 부족이 작은 섬에 최초로 거주를 시작.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필리핀의 역사 · 더보기 »

시어도어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Theodore Roosevelt. Jr.,, 1858년 10월 27일 - 1919년 1월 6일)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작가, 수렵가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시어도어 루스벨트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1905년 · 더보기 »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은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타결하여 최종적 종결을 약속한 사건을 말.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고노 담화와 동일한 내용과 서면으로 총리 대신의 자격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가쓰라-태프트 밀약와 7월 2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가쯔라-타프트 협정, 가츠라 태프트 밀약, 가츠라 테프트 밀약, 가츠라-태프트 밀약, 가츠라-테프트 밀약, 가스라테프트, 가쓰라 태프트 밀약, 가쓰라 태프트 조약, 가쓰라 테프트 밀약, 가쓰라-태프트 협정, 가쓰라-태프트밀약,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쓰라테프트, 카츠라 태프트 밀약, 태프트-가쓰라 밀약, 태프트-카츠라 밀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