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간경도감

색인 간경도감

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을 한글로 번역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

18 처지: 동국역경원,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심경소현정기,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금강경언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조선 세조,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진실주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22호), 윤사로, 한국 불교의 역사.

동국역경원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은 1964년에 해인사 고려대장경의 번역을 목적으로, 서울특별시 동국대학교에 부설된 기관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동국역경원 · 더보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또는 《반야심경약소》는 당나라 법장(法藏)이 대반야경(大般若經)의 근본 중심 사상인 공(空)과 유(有)의 상성론(相成論)을 골자로 한 《반야심경약소》에 송나라 중희(仲希)의 주해를 더하여 엮은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 더보기 »

반야심경소현정기

반야심경소현정기(언해)(般若心經소顯正記(諺解))는 1464년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판각한 목판에서 1495년에 후인(後印)한 국역불경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반야심경소현정기 · 더보기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公州 東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腹藏典籍)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에 있는 불상에서 나온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 더보기 »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金剛般若經疏開玄抄 卷四~五)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 더보기 »

금강경언해

강경언해 제1장 《금강경언해(金剛經諺解)》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경서 번역서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금강경언해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상1의2,하1의1~2의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一之二,下一之一~二之二)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재)아단문고에 있는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 一之一)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 더보기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二, 十)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 더보기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典籍)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보성선원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들어있던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2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간경도감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목판본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목판본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 더보기 »

진실주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22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진실주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22호) · 더보기 »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윤사로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간경도감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